애플이 스마트폰 세상을 연 이래, 스마트폰 시장은 크게 고급형과 일반형 시장으로 나뉜 상태다. 고급형을 주도하는 것은 역시 애플이다. 삼성이 기술로 바로 뒤를 쫓고 있지만, 애플은 초기 마케팅의 성공으로 '애플 문화'를 만들어 충성도 높은 고객들을 대거 양성한 상태다. 감각과 디자인을 중시하면 애플, 터치펜 등 기능을 중시하면 삼성을 쓰는 양분 구도를 만들고 있다. 하지만 애플을 쓰던 젊은이들이 중년이 됐을 때 삼성이 지금의 명성을 유지할 것이라는 데 회의적인 이들이 적지 않다. 그만큼 '애플 문화'에 빠져든 젊은 세대가 많기 때문이다. 고급형 스마트폰 아래 새롭게 형성된 시장이 바로 일반형 시장이다. 이 시장의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것은 가성비다. 같은 값이면 기능이 좀 더 나은 것이 당연하지만, 큰 차이가 없는 기능이라면 무조건 가격이 싼 게 좋다는 소비자들이다. 중국은 세계 최대 스마트폰 시장이다. 이 거대한 시장의 80%는 가성비를 쫓는 소비자들이 구성하고 있다. 최근 중국 전자기기 평가업체 안투투(安兔兔)에서 '가성비 높은 휴대폰 순위'를 발표했다. 7월 기준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Redmi Note12Turbo 2위, OnePlu
'2541개' 올 상반기 중국 상하이에만 설립된 해외 투자 법인 수다. 중국에서 사업을 하겠다고 기업을 세운 수가 2500개를 훌쩍 넘어서는 것이다. 중국 시장의 매력을 보여주는 수치다. 미중 갈등이 고조되면서 중국 시장이 마치 글로벌 공급망에서 분리되는 양 전해지고 있는 게 한국 현실이다. 하지만 실제는 다르다. 미국 역시 중국 시장에 대한 투자를 여전히 지속하고 있다. 미국의 공식적인 입장도 "중국이 글로벌 룰을 준수해야 한다"는 것이지, "중국을 글로벌 공급망에서 배제시킨다"는 것은 아니다. 물론 첨단 기술 분야에서 중국을 배제시키려는 움직임도 있다. 미국은 중국이 그냥 세계의 공장으로서 글로벌 사회가 필요로 하는 생활용품을 만드는 나라로 머물기를 바라는 듯 싶다. 특히 중국이 반도체와 AI(인공지능) 분야에서 미국과 경쟁하길 바라지 않는다. 하지만 미국은 과거 한국이 자동차 산업에 뛰어드는 것을 거의 모든 수단을 써서 막았던 나라다. 일본 자동차의 미국 진출을 막기 위해 오늘날 중국에 썼던 과세 수단을 썼다. 결과는 미국의 실패였다. 한국의 자동차 산업은 세계가 놀랄 정도로 성공했고, 일본은 미국의 규제 덕에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자동차 산업을
나라가 발전하는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바로 교통수단이다. 교통 인프라가 좋아야 인구의 이동이 늘고, 물류가 원활해지는 때문이다. 중국은 땅 넓기로 세계에서도 손꼽는 나라다. 교통은 중국에 왕조가 들어선 이래 중요한 사업이었다. 진시황이 천하를 통일하고 한 첫 번째 일이 전국의 도로망을 규격에 맞춰 통일한 것이다. 전국에 마찻길이 생기고 사람들과 물자의 이동이 늘면서 중국 경제는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개혁개방이래 중국이 택한 정책도 다르지 않다. 가장 먼저 철도 길을 정비했다. 중국 장쩌민 정권이 가장 성공한 일이 바로 전국 고속철도망 도입과 건설이다. 중국은 현재 세계에게 고속철도망이 가장 촘촘하게 건설된 나라다. 주요 도시마다 고속철도가 연결돼 있다. 고속철 속도도 이미 기술 전수국인 프랑스 등 유럽과 경쟁을 하고 있다. 이런 철도망은 국가적으로 중요한 일이다보니, 거기서 일하는 이들 역시 자부심과 함께 좋은 대우를 받는다. 대학의 교통 운수 전공 또한 중국에서 인기가 높다. 졸업 후 철도, 도로, 수로, 항공 운송 기반 시설 등 안정적인 관련 기업에서 커리어를 쌓을 수 있고 보수도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2023년 중국의 교통 운수 학과
'8억2190만 달러' 한화로 1조 660억 원가량이다. 중국에서 스타벅스가 올 1월부터 6월까지 커피를 팔아 번 돈이다. 반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60% 이상 오르면서 완전히 코로나19 팬데믹의 악몽을 벗어나는 모습이다. 한국에서 스타벅스를 운영하는 SCK컴퍼니(옛 스타벅스커피코리아)의 올 1분기 매출액은 6829억 원이다. 인구 대비 한국의 스타벅스 매출도 대단하지만 매장 수에서 미국 현지에 뒤지고 있는 중국 스타벅스의 매출도 놀랍다. 무엇보다 중국은 커피보다는 아직 차를 즐겨 마시는 문화인 때문이다. 2일 스타벅스 차이나가 올해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이번 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스타벅스 차이나의 2분기 매출은 8억2190만 달러로 지난해 동기 대비 60%, 전 분기 대비 10% 증가했다. 동일 매장 매출은 46% 증가했으며 동일 매장 거래량은 48% 증가했다. 평균 고객 단가는 전 분기 대비 1% 감소했다. 매장 확장 측면에서 살펴보면 2분기에 237개의 매장이 신설됐다. 지난 6월말 현재 중국 250개 도시에서 6480개의 매장이 운영되고 있다. 디지털 운영 측면에서 살펴보면, 배달 사업 매출이 지난해 동기 대비 63% 증가해 전체 매출의 25
'중국 에너지 회사가 아람코의 직위를 넘보고 있다.' 땅 속의 검은 다이몬드, 석유를 무진장 가지고 있어 세계 최대 부를 쌓는 회사가 바로 사우디아라비아의 아람코다. 자국에서 생산되는 석유를 그냥 파는 것만 아니라, 세계 곳곳에 정유회사를 설립하고, 사업 다각화로 부에서 부를 창조하고 있다. 한국의 좋은 회사 1위로 꼽히는 'S-OIL'의 주인 역시 아람코다. 아람코는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유회사다. 그런데 중국이 그 부의 직위를 넘보다니? 실제 최근 발표된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 순위에서 2위에 랭크된 아람코를 중국의 전력 공급 회사인 국가전망유한회사가 바짝 뒤쫓고 있다. 중국 에너지 소비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짐작케하는 대목이다. 글로벌 사회를 대상으로 원유를 공급하는 아람코에 전력공급만으로도 버금가는 게 중국의 에너지 소비 수준이다. 실제 중국 에너지 기업들은 5위에 중국석유천연기집단, 6위에 중국 석유화공집단 등이 랭크돼 중국 에너지 산업의 현황을 웅변하듯 대변했다. 과거 글로벌 1위의 명성을 지닌 엑슨 모빌은 7위로 내려앉은 모습이다. 2일 중국판 포춘 '차이푸(财富)'에서 '2023년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을 발표했다. Top 10 순위는 다
중국 인터넷 경제의 성장세가 2%대에 그치고 있다. 미국 등 성숙한 경제의 성장률이 2%다. 그럼 중국 인터넷 경제는 이제 완연한 성숙기에 접어든 것일까? 전문가들의 의견은 두 가지 포인트를 주목하라고 조언한다. 하나는 기술력 기반의 시장 규모다. 이는 현재의 인터넷 기술이 제공하는 시장 규모가 성숙기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다. 현재 인터넷 쇼핑의 기본은 사진 나열식이 주를 이룬다. 최근 들어 라이브 방송을 통한 판매 방식이 등장했지만 여전히 사진 나열식이다. 사고 싶은 물건의 사진을 찾으면서 클릭해 주문하는 방식이다. 라이브 방식으로 사고 싶은 물건에 대한 설명을 들으면서 클릭해 주문하는 방식으로 발전했지만 이는 찾아서 보는 청취자들만 대상으로 한다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앞으로는 다양한 기술을 통해 새로운 판매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예컨대 메타버스 기술을 통해 거리를 걸으면서 앞서 가는 이의 멋있는 패션을 보고 스마트폰으로 체크해서 주문하는 방식도 있을 수 있다. 두 번째는 무역 장벽의 제거다. 글로벌 경제는 자유무역주의에 의해 오늘날 급성장을 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국의 경제 주권 때문에 눈에 보이지 않는 무역 장벽은
중국 경기 침체의 주범으로는 부동산업이 꼽힌다. 부동산은 중국 경제 성장의 최대 공신이었다. 그런 부동산이 이제는 경기 침체의 주범으로 꼽히는 데는 중국 경제 성장 과정이 낳은 버블 탓이다. 중국은 본래 땅값이 '0'인 나라였다. 모든 땅은 나라의 소유로 거래되지 않았다. 개혁개방과 함께 그 땅의 이용권이 개인에게 불하됐다. 지방 정부는 해외 기업과 자금을 유치하는 방법으로 일단 장부가가 0원인 땅을 제공했다. 해외 자금은 무상으로 땅을 50년, 70년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고 그 땅 위에 돈을 들여 크고 화려한 건물을, 공장을 지었다. 건물이 지어져 지역 개발이 이뤄지면 자연스럽게 땅에도 값이 매겨졌다. 그 값은 하루가 다르게 올랐다. 지방 정부는 값이 매겨진 땅의 이용권을 경매를 통해 일반 개발자에게도 불하하기 시작했다. 중국 전역의 부동산 개발이 시작된 것이다. 동시에 중국 각 지역에서 정부에게 주택 이용권을 받아 살고 있던 중국인 모두의 자산이 조금씩 커졌다. 중국 국민 개인 재산의 90%가량이 부동산이다. 부동산은 이렇게 중국에서 부를 이루도록 했다. 하지만 부동산 개발이 한계에 부딛치면서,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부도위기에 직면하면서 최근 상황
"중국이 다시 세계 최강국이 된다면 그 최대 기여자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이다."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들의 글로벌 진출에 대한 평가다. 과장된 부분도 있지만, 생활용품 분야에서는 이미 이 말이 현실화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이다. 그만큼 가성비 면에서 최고의 제품을 구할 수 있도록 최적화한 곳이 바로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이다. 그 이용자들은 이미 중국을 넘어서 미국, 유럽 등 각지로 확산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이용자들이 급증하고 있다. 특정 제품들은 택배로 받는 시기가 한국 현지보다 늦어서 그렇지 중국 타오바오를 통해 구매하는 경우 훨씬 싼 경우가 많은 때문이다. 이런 중국 플랫폼 가운데도 성장세가 두드러진 게 바로 타오바오(淘寶, Taobao)다. 최근 골드만삭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이용 시간이 3개월 연속 증가했으며, 지난 6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4% 증가했다. 특히 중국 3대 종합 전자상거래 플랫폼 중 하나인 타오바오의 사용자 활동(DAU/MAU)은 45%에 달해 성장률이 전자상거래 앱 중 1위를 차지했다. 또한 제3자 모니터링 기관이 발표한 2022년 4월~2023년 6월 연간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2분기 타오바오 앱의 월간
'1조6297억6000만 위안' 한화로 약 291조 원에 달한다. 중국의 '기술 허브' 선전시 올 상반기 GDP(지역총생산)다. 전년 동기 대비 6%이상 성장했다. 선전시는 중국이 자랑하는 공업도시다. 최근에는 IT와 바이오 등 첨단 기술 기업들이 집중돼 중국 첨단 기술 산업의 '파일럿 도시' 역할을 하고 있다. 중국 전체 경제 동향을 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현재 중국 경제는 침체 조짐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정부는 부양책을 내놓을 예정이지만 지나친 인위적 부양은 경제의 건전한 성장에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그만큼 중국 정부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28일 선전시 통계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선전시의 지역 총생산은 1조6297억6000만 위안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6.3% 증가했다. 그 중 2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5681.98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했으며 3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1조604.57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7.2% 증가했다. 상반기 선전시의 규모이상 산업 부가가치는 지난해 동기 대비 3.9% 증가했으며 성장률은 1~5월 대비 1.4포인트 상승했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규모이
현대, 기아차는 중국 시장에서 이제 기회를 잃었을까? 중국 진출 초기 일본차를 위협할 정도로 위세를 떨어던 현대, 기아차였다. 주문량을 맞추기 위해 중국 베이징은 물론 충칭 등에 공장을 새로 지었을 정도다. 하지만 한중 간 사드 갈등이 불거지면서 갑자기 소비자들의 호응이 사라졌다. 한국 제품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의 호응도가 낮아진 것도 문제지만, 중국에서 현대, 기아차의 독점 부품 공급 방식이 문제가 됐다. 중국 내 수익을 고가의 부품 구입 방식을 통해 빼돌린다는 의혹이 제기된 탓이다. 그럼 이제 중국에서 현대, 기아차는 다시 과거 위상을 찾을 기회가 없는 것일까? 미약하지만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여전히 역할을 하고 있어, 기회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올 상반기 중국 중국 자동차시장 합자 브랜드 판매 실적이 그 방증이다. 28일 중국 현지 온라인 매체 소후자동차(搜狐汽车)에 따르면 올 상반기 중국에서 판매된 합자 브랜드 자동차는 약 480만대로 지난해 동기 대비 4% 감소했다. 국가별 합자 브랜드 판매 실적 Top 5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독일계 합자 브랜드 203만4476대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 2위 일본계 합자 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