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500대 민영기업 R&D 투자액 순위, 1위 텐센트

 

연구개발(R&D)은 한 나라의 미래 자산을 가꾸는 일이다.

현재 글로벌 사회에서 톱 상태의 기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해도 R&D를 등한시 한다면 반드시 10년 이내 국가의 기술 수준이 뒤쳐지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기술 수준은 뒤쳐졌다고 느끼는 순간이 이미 만회하기 어려운 경우기 대부분이다. 그런 이유로 기업에게만 기술 개발을 맡겨서도 안된다. 국가 차원에서 막대한 자금을 장기적으로 투자해 기초과학 기술 기반을 구축해야 글로벌 선두권의 산업 생태계가 유지된다. 

간단히 미국을 보면 된다. 미국이 국방, 군사 관련 기술로 개발한 인터넷은 현재 전세계 사람들의 일반 생활의 도구로 이용되고 있다. 인터넷 관련 기술들이 대부분 미국에서 나왔고, 미국 기업들은 빠르게 이 기술들을 기반으로 상업화에 성공했다.

중국은 늦었지만 이 같은 R&D의 중요성을 너무도 잘 알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도 등한시 하지 않지만 기업들 역시 R&D투자에 어느 때보다 적극적이다. 

25일 중국차이푸망(中国财富网)에 따르면 중국 포춘이 최근 '500대 민영기업 연구개발(R&D) 투자액 순위'를 발표했다.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텐센트

2위 알리바바

3위 바이두

4위 저장제리

5위 메이퇀

6위 마이커지

7위 비야디

8위 징동

9위 샤오미

10위 닝더스다이 

 

1~3위는 텐센트, 알리바바, 바이두가 이름을 올렸으며 저장제리, 메이퇀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그 중, 바이두, 마이커지, 텐센트의 R&D 강도는 10%를 넘어섰다. 바이두, 마이커지, 텐센트의 R&D 강도는 각각 18.85%, 11.40%, 11.07%이다.

R&D 투자 상위 6개 기업의 R&D 비용은 모두 200억 위안을 초과했으며 1위 텐센트는 614억100만 위안을 기록했다. 

마이커지는 2년 연속 R&D 투자 비용 6위를 차지했다. 마이커지는 최근 몇 년 동안 분산식 데이터베이스 및 컴퓨팅 인프라, 블록체인, 개인 정보 컴퓨팅, 데이터 및 네트워크 보안, 인공지능의 5대 기반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 개발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