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조782억9000만 위안’ 한화로 약 559조 원이다. 중국의 지난 2022년 연구개발(R&D) 투자 총액이다. 전년 대비 10% 이상 증가했다. 국가는 물론이고 기업의 R&D 투자는 미래 개척의 필수 요건이다. 낭비해서도 안되지만, 그렇다고 아껴서도 안된다. 한국은 올해 이 R&D 예산을 대폭 삭감한 반면, 우크라이나 지원 등에는 마구 퍼주고 있다. 둘 다 투자는 투자지만, 하나는 우리가 우리를 위한 투자이며, 다른 하나는 향후 다른 이들이 우리에게 혜택으로 갚아줬으면 하는 투자다. 중요한 것은 투자는 공식적인 부채가 아니라는 점이다. 결과에 따라 바닥에 버려지는 물처럼 사라질 수도 있는 것이다. 중국이 옳을까, 한국이 옳을까? 바로 10년 뒤 결판이 난다. 아쉽게도 바둑의 승패는 포석에서 결정되듯 이미 결론의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최근 중국의 연구개발(R&D) 투자 관련 데이터가 발표됐다. 중국의 2022년 R&D 투자 총액은 3조782억9000만 위안(약 559조 원)으로 전년 대비 10.1% 증가했다. 불변 가격으로 계산하면 R&D 경비는 전년 대비 7.7% 증가하여 '14차 5개년 계획'의 '전 사회
‘미니앱(小程序)’ 중국이 내놓은 또 하나의 IT 혁신이다. 대형 플랫폼 역할을 하는 앱 속에서 작동하는 작은 앱을 말한다. 간단히 사람 몸 속에 있는 다양한 장기들처럼 사람의 혈관과 근육, 뼈를 기반으로 각자 독특한 역할을 하는 앱이다. 이미 주요 작동 기반은 대형 앱을 통해 갖추고 있어, 자신들의 역할만 충실히 실현하는 기능만 장착하면 돼 제작도 간편하다. 중국에서는 이미 이같은 ‘미니앱’들이 등장해 인기를 끌면서 새로운 산업군을 형성하고 있다. 이제 대형 앱을 제작하기 위한 막대한 자금이나 기술자가 필요 없는 시대가 되고 있는 것이다. 이미 성숙한 플랫폼에서 그 플랫품 이용자들을 위해 미니앱을 만들면 사업의 리스크도 줄이는 것은 물론 대박의 가능성도 커진다. 최근 중국 넷이즈(NetEase) 전자상거래 연구센터와 넷이즈 디지털 라이프 스테이션이 '2023년 9월 중국 디지털 생활 미니앱(小程序) Top 50'을 발표했다. 이번 순위는 15일 뎬슈바오(电数宝)의 데이터베이스를 기준으로 산정했으며 그 중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메이퇀(美团) 2위 BOSS즈핀(BOSS直聘) 3위 슌펑쑤윈+(顺丰速运+) 4위 쳥츠어마(乘车码) 5위 이졔지아요(
'16.1%' 지난 8월 중국 숙박 및 요식업 생산지수다. 두 자릿수 증가세를 시현했다. 숙박 및 요식업 생산이 는다는 것은 중국 사회가 코로나19 팬데믹의 악몽을 완벽히 벗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숙박 및 요식업은 대표적인 소비산업이다. 중국 각 지역의 경기 활력 증가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현재 중국 경제는 부동산 악재가 무겁게 압박을 가하는 상황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은 여름 관광 수요 증가에 힘입어 숙박, 음식, 교통, 기타 서비스 산업 부문에서 모두 급속한 성장을 유지했다. 8월, 숙박 및 요식업 생산 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6.1% 증가했으며, 교통 운수, 창고, 우정업의 생산 지수는 9% 증가했다. 영업용 여객 수송량은 전년 동기 대비 57.7% 증가했으며, 그 중 철도 여객 운수량과 항공 여객 운수량의 증가폭이 더 컸다. 올해 지속적인 경제 회복에 힘입어 현대 서비스업, 특히 정보 기술 관련 서비스업은 비교적 빠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8월 정보 전송, 소프트웨어 및 정보 기술 서비스 산업의 생산 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11.5% 증가했으며 성장률은 전월보다 빨라졌다. 또한 산업 고도화 발전 추세가 뚜렷
"책상 다리만 빼고 다리 달린 것은 다 먹는다." 바로 중국의 요리 다양성을 이야기한다. 어찌 보면 폄하하는 말 같지만, 중국 현지의 다양한 음식들을 보면 '맞다'며 절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사실 인간의 문화 가운데 가장 빼놓을 수 없는 게 음식 문화다. 중국 음식문화는 곡식의 가루를 빚어 만드는 면요리, 두부 요리에서 그 면과 두부를 발효해서 먹는 경지까지 발전 과정이 다양한 스팩트럼 위에 전개된다. 중국 음식 관광 발전을 위해 중국관광아카데미, 후난성 문화관광부, 천저우시 인민정부가 공동 주최하는 '2023년 중국 음식 관광 발전 포럼'이 천저우에서 15~16일 개최된다. 이번 포럼에서는 '2023년 중국 관광·미식 10대 도시' 순위가 발표했다.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베이징 2위 창사 3위 청두 4위 충칭 5위 광저우 6위 포산(순덕) 7위 우한 8위 양저우 9위 취아저우 10위 카이펑 1위는 역시 베이징이다. 베이징은 명청 시대의 황도였다. 황제가 살고, 고관대작들이 대를 이어 살던 곳이다. 각 지역에서 과거에 합격한 인재들이 몰려들었다. 자연히 지방의 음식들이 베이징으로 올라왔고, 오늘의 다양한 베이징 음식문화를 만들었다. 베이징카오야(오리구이
'7361억 위안' 약 134조 800억 원이다. 중국이 올해 1~8월 수자원 보호에 투입한 금액이다. 중국은 물이 귀한 나라다. 베이징 지역은 특히 물이 부족해 명청 시대 운하를 만들어 식수를 조달해야 했다. 최근 산업화로 중국은 식수뿐 아니라, 공업 용수 수요를 맞추기 위해서라도 물 저장은 물론 수질 보존에도 힘을 써야 한다. 무엇보다 최근 기후 변화로 급증하는 수해 방지를 위해서라도 국가 차원의 수자원 관리가 필수인 상황이다. 14일 중국 CCTV에 따르면 국무원 보도판공실은 전날 기자회견을 열어 "올해 고품질 수자원 보호 사업을 확고히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지난해 10월 중국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에서 가뭄, 홍수 등 재해 예방을 위한 수자원 및 환경 관리 계획을 제시한 바 있다. 그에 따라 올해 초부터 성, 시, 현 등 각급 수자원 보호 부서는 홍수와 가뭄을 예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국가 수자원망 건설 측면에서는 창장(長江) 남북 수로 중도선 사업, 베이부만 주변 수자원 할당 사업, 화이허 하구 수로 프로젝트 2단계 등 다수의 주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황허(黃河) 상류 간쑤성과 닝샤자치구 경계 지역에 대규모 수력
'탄소 제로' 현재 세계에서 가장 핫한 경제 주제다. 인류 생존을 위한 기후 보존을 위해 꼭 필요한 조치지만, 모두가 공감하면서도 실천에는 주저하는 분야다. 대표적으로 중국이 그렇다. 글로벌 회의장 곳곳에서 때만 되면 "세계가 같이 동참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지만, 정작 중국내 문제에 대해서는 "국정을 생각해 시기를 조절해야 한다"고 말한다.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이 같은 입장은 미국도 마찬가지다. 사실 여기에는 산업화의 시간적 격차가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글로벌 기후 악화는 산업화의 산물이자 산업화의 부작용이다. 18세기부터 20세기 중반까지 모든 산업화를 주도한 것은 영국을 필두로 한 서구 국가들이었다. 오염물질 배출을 주도했던 나라들이 기후협약 실천을 주저하는 판이니, 글로벌 산업화와는 거리가 멀었던 중국 입장이야 오죽할까.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류의 미래를 위해서 꼭 해야 하는 게 기후협약 실천이다. '탄소 제로'를 앞당기는데 기여하는 글로벌 신에너지 기업 리스트가 최근 발표됐다. 14일 중국 현지 매체 중국에너지뉴스(中國能源報)에 따르면 최근 중국 산시(山西)성 타이위안에서 열린 ‘2023년 타이위안 에너지 저탄소 발전 포럼’에
'116억2000만 위안' 한화로 약 2조 1216억 원 가량이다. 중국 한 와인박람회를 통해 이뤄진 거래 규모다. 한 번의 박람회가 만들어낸 경제 가치가 2조 원이 넘는다. 바로 중국 시장의 힘이다. 한국의 적지 않은 매체들이 중국 시장의 힘을 과소 평가하고, 심지어 무시하기까지 한다. 과거 조선이 그랬다. 결국 경제에 무식하고, 게으르며 위선적인 선비들이 택한 게 바로 돈을 천시하는 일이었다. 백성들에게 돈을 천한 것이라고 하고, 그래서 천민들이 돈을 벌어 자신들을 부양해야 한다고 가르쳤다. 결국 조선을 나라를 잃고 말았다. 시장의 힘을 인정하고, 그 힘을 이용할 줄 알아야 현명한 것이다. 당장 중국 와인박람회에도 적극 참여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13일 중국 현지 매체 중신망(中新網)에 따르면 제12회 중국(구이저우)국제와인박람회가 지난 9~12일 구이저우성 구이양에서 개최돼 온·오프라인 총 거래액 116억2000만 위안(약 2조 1216억 원)을 달성했다. 중국 상무부와 구이저우성 인민정부가 공동 주최한 이번 박람회는 '더 나은 삶을 창조하기 위한 글로벌 와인 수집'을 주제로 열렸으며 한국, 뉴질랜드, 아일랜드, 조지아, 몰도바 등 2
한국과 중국이 멀어진다는 건, 한국 입장에선 시장을 잃는 것이다. 중국만 잃는 게 아니다. 화교로 대변되는 아시아 시장을 잃는 것이다. 물론 본토 중국과 화교들은 다르다. 무엇보다 과거 국민당의 뿌리, 즉 대만의 색이 더 짙다. 그렇지만 이 화교들의 경제적 기반은 대만보다는 중국에 더 깔려 있다. 중국 본토의 눈치를 보지 않는 화교 상인들이 거의 없을 정도다. 한국이 잃고 있는 대표적인 중국 시장이 바로 스마트폰 시장이다. 역시 물론, 중국 시장의 주도권은 중국 토종 브랜드들이 대거 회수해간 상태다. 하지만 그럼에도 중국 스마트폰 시장은 말 그대로 거대한 바다와 같다. 바다의 변두리, 목좋은 곳만 차지해도 수익은 짭짤하다. 한국은 그것마저 잃고 있는 것이다. 삼성은 지금까지 초월할 초를 써,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초월적인 격차라는 의미의 '초격차' 기술 차이를 표방해왔다. 하지만 이제 중국 기업들의 기술 수준은 빠르게 늘어, 초는 분초의 초, 작을 초로 변한지 오래다. 기술 차이로는 소비자들이 그 차이를 실감할 수 없을 지경이다. 그 결과가 당장 보여지는 중국 시장 점유율이다.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 IDC에서 올 상반기 중국 내 고가(600달러 이상) 휴대
'39조 8300억 위안' 한화로 약 7247조 원이다. 중국 민간 500대 기업들의 매출액이다. 중국석유화학, 중국이동통신 등 대형 국유기업들을 빼고 민간기업들만 살핀 규모다. 지난 2022년 한국의 500대 기업의 총매출이 4060조2038억 원이었다. 중국 민간기업 매출액이 대략 한국 500대 기업의 1.8배 규모인 것이다. 사실 중국 경제 규모를 생각하면 좀 작다. 상대적으로 중국 국유 및 공기업들의 매출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짐작이 되는 대목이다. 12일 중국 전국공상련(全国工商联)이 '2023년 중국 500대 민간기업 연구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500대 민간기업의 영업수입은 39조 8300억 위안(약 7247조 원)으로 전년 대비 3.94% 증가했다. 자산 총액은 46조 31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1.21% 증가했으며, 세후 순이익은 1조 64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4.86% 감소했다. 매출순이율, 순자산이율, 순자산수익률은 각각 4.13%, 3.67%, 10.81%를 기록했다. 500대 민간기업 중 상위 17개 기업의 영업수입이 3000억 위안을 초과했으며, 그 중 8개 기업의 영업수입은 5000억 위안
중국 칭다오시는 산둥성 1위 경제 도시다. 과거 독일에 의해 지역 경제 기반이 마련되면서 도시 자체가 유럽풍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아름다운 해안도시다. 특히 칭다오는 도시의 중국 동북지역 경제 동향을 알려주는 리트머스 역할을 한다. 중국 동북지역은 경제적으로 베이징에서 상하이로 이어지는 동부 연안 경제 구역에서 조금은 소외됐지만, 그 덕에 발전 여력은 더 크다. 칭다오에서 영향력이 큰 기업들은 미래 중국 경제에서도 적지 않은 역할을 할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그럼 칭다오에서 영향력이 큰 기업들은 어떤 곳들이 있을까? 하이얼그룹이 1위를 차지했고, 지역 기반의 기업인 칭다오항이 2위를 차지했다. 하이얼그룹은 가전 제품으로 유명한 기업이다. 높은 가성비로 한국 시장에서도 나름의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12일 중국 현지 매체 칭다오뉴스네트워크가 '칭다오시 상장기업 8월 위챗 영향력 순위'를 발표했다.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하이얼그룹 2위 칭다오항 3위 덕재고분 4위 리군그룹 5위 해신시상 6위 새륜그룹 7위 칭다오맥주 8위 고측고분 9위 영강생명 10위 오가마 하이얼그룹은 9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칭다오항과 덕재고분도 2, 3위를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