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세계 최대 주류시장이다. 고급 술이란 술은 다 모여있다. 이 중국 시장에 스코틀랜드 증류 공장이 통째로 수출된다. 중국은 전통 바이주 이외 위스키와 포도주 시장에서 큰 손으로 떠오른 지 오래다. 16일(현지시간) BBC 등에 따르면 증류기와 제어 밸브 등을 포함해 35t에 달하는 장비들이 스코틀랜드에서 출발해 톈진 항구로 향했다. 장비들의 목적지는 네이멍구 자치구다. 네이멍구 남쪽 도시 오르도스에 중국 멍타이 그룹에서 추진 중인 네이멍구 사상 최초의 위스키 증류 공장 건립을 위한 것이다. 포사이스 측에서 파견된 엔지니어 5명의 감독해 장비들을 조립하게 된다. 공장의 개장 시기는 올해 말로 예상된다. 멍타이 그룹은 네이멍구에서 가장 큰 민간기업 중 하나다. 석탄 및 전력생산에 주력해왔다. 멍타이 그룹이 위스키 시장 진출을 위해 2019년 스코틀랜드의 발렌타인 인터내셔널에 위스키 제조 설비 전체를 수입한 것이다. 계약 금액만 3백만파운드(약 47억원)에 달한다. 스코틀랜드는 위스키의 본고장이다. 모든 증류 장비는 증류기 제조회사 포사이스에서 제조됐다. 포사이스는 스코틀랜드 로시스 마을에 있는 역사를 자랑하는 증류기 제조회사다. 발렌타인은 장비 수출 이외
중국이 신기술를 확보를 위해 연구개발(R&D)에 에 집중 투자를 하면서 오는 2025년이면 R&D 지출이 미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현재 미국은 신기술을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강하게 중국을 압박하고 있다. 16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미국 워싱턴 소재 싱크탱크인 아스펜연구소는 최근 중국의 경제 운용 계획을 분석한 이 같은 내용의 보고서를 내놨다. 중국은 매년 경제5개년 계획을 내놓고 있다. 현재 중국은 '제14차 5개년(2021∼2025년) 경제계획'을 시행 중이다. 보고서는 이 계획이 이행되면 2025년 중국의 R&D 지출이 미국을 능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올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국회 격) 업무 보고서는 과학기술 분야 '8대 신산업'과 '7개 영역'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겠다면서 '제14차 5개년(2021∼2025년) 경제계획' 기간 R&D 지출을 매년 7% 이상씩 늘릴 것이라고 적시했다. 아스펜연구소 보고서는 과학과 혁신 분야에 대한 미국의 투자가 저조하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R&D 지출은 지난 2000년 이후 연평균 16%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미국의 R&D 지출 평
세계 최대 탄소 배출국인 중국이 전국 통합 방식의 탄소배출권 거래방식을 도입했다. 그동안 중국 권역별 거래방식을 택해왔다. 중국의 국가 단위의 보다 체계적인 탄소 배출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은 글로벌 '탄소 넷 제로'에 동참한다고 하면서도 그 시한을 놓고는 유럽과 이견이 큰 상황이다. 중국은 자국 사정에 따라 목표 달성 시한을 늦춰 달라고 주장하고 있다. 경제 매체 차이신(財新)은 16일 중국의 임시 전국 통합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인 상하이거래소가 이날 오전부터 운영을 시작했다고 전했다. 그동안 중국은 베이징직할시, 상하이직할시, 광둥성 등 7개 시범 지역에서 권역별 탄소배출권 거래소를 따로 운영했다. 정식 전국 통합 탄소배출권 거래소는 조만간 설립될 예정이다. 전국 통합시장에는 중국내 발전 기업 2천여 곳을 참여하게 된다. 중국 당국은 향후 적용 업종을 넓혀나갈 계획이다. 중국의 발전산업은 아직 석탄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그만큼 탄소 배출량이 많다는 의미다. 이날 첫 거래 탄소배출권 가격은 1t당 52.78위안(약 9천300원)이었다. 중국 민간 연구기관인 로듐그룹에 따르면 지난 2019년 중국의 탄소배출량은 세계 온실가스의 27%로 세계 1
중국이 위안화 국제화를 촉진하기 위해 자국의 금융 중심지인 상하이(上海)에서 역외 위안화 거래를 추진하기로 했다. 중국이 위안화 기축통화 지위 굳히기에 나섰다는 평이다. 위안화 역외 거래규모가 커지면 해외 위안화 보유국이 늘어나 기축통화로서 지위도 높아지게 된다. 특히 중국은 디지털 위안화 상용화 단계에 들어선 상황이다. 중국이 디지털 기축통화에서 한 걸음 앞서 나가는 데 이번 조치가 초석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16일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공산당과 국무원은 전날 밤 공동으로 발표한 '높은 수준의 개혁개방을 통해 푸둥(浦東)신구를 사회주의 현대화 선도 지역으로 만드는 것에 관한 의견(지침)'에서 "위안화 자금의 국경 간 쌍방향 유동을 촉진한다"며 "상하이 국제금융센터에 걸맞은 역외 금융 시스템을 만들어 푸둥에서 통제가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위안화 역외 거래를 발전시켜나간다"고 밝혔다. 아울러 당·정은 이번 지침을 통해 자국이 도입을 추진 중인 법정 디지털 화폐인 디지털 위안화(e-CNY)를 대외 무역 거래에 활용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당·정은 지침에서 "무역 금융에 관련된 블록체인 표준 체계를 구성하고 법정 디지털 화폐 시범 사
중국의 2분기 성장률이 8%에 이르렀다. 전분기보다 반으로 줄었고 시장 기대치에도 조금 못미치는 수준이다. 하지만 과거 코로나 직전 성장세와 견줘 조금 상회하는 수준이다. 간단히 전분기 기조효과로 인한 갑작스런 성장은 정상 궤도로 돌아오는 현상이었고, 2분기 수준은 그 정상궤도를 제대로 이어가는 수준이라는 것이다. 15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전분기대비)은 7.9%를 기록했다. 중국의 상반기 국내총생산(GDP)은 53조2천167억 위안으로 작년 동기보다 12.7% 증가했다. 앞서 1분기 중국은 18.3%의 성장률을 보였다. 이는 1992년이래 중국의 전분기 대비한 분기성장률로는 역대 최고치였다. 전문가들은 1분기의 경우 코로나 19사태로 직전분기의 성장률이 바닥으로 떨어진 탓이라고 지적했다. 기저효과에 따른 것이라는 의미다. 예컨대 직전 분기 성장이 바닥으로 떨어졌으나 직후 바로 정상궤도로 돌아오면서 성장률이 두자릿수로 치솟았다는 것이다. 중국은 코로나 이전 연간 대략 6.5%의 성장을 해왔다. 즉 이번 2분기 8% 성장은 기존 정상적인 수치와 견줘 조금 상회하는 수준인 셈이다. 앞서 중국의 분기별 경제성장률은 작
중국의 가상화폐에 대한 공세가 지속되고 있다. 14일 허페이짜이셴(合肥在線)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중국에서 네이멍구(內蒙古), 쓰촨(四川) 등지에 이어 안후이(安徽)성도 가상화폐 채굴을 금지키로 했다. 그동안 네이멍구와 안후이 등지는 세계 가상화폐 채굴장의 주요 집결지였다. 이번 안후이성 조치까지 합쳐 그동안 채굴 능력을 기준으로 중국 내 비트코인 채굴장의 90% 이상이 폐쇄된 것으로 추정된다. 안후이성은 전력 공급 상황을 이유로 들었다. 현지 언론 보도에서 안후이성 관계자는 “앞으로 3년간 전력 공급 부족이 심각할 것”이라며 “모든 가상화폐 채굴 프로젝트를 중단시키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실제 안후이 성은 전력 부족 상황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안후이성은 에너지나 전력 소비가 많은 신규 사업도 엄격히 통제할 예정이다. 전력 소모량에 맞춰 데이터 센터 건설도 허락한다는 방침이다. 안후이성에 앞서 네이멍구 자치구는 지난 5월 가상화폐 채굴에 연루된 개인과 기업을 '신용 불량 명단'(블랙리스트)에 올리는 등의 조치를 했다. 이번 조치는 전세계 가상화폐 시장에 직접적인 타격을 줬다. 중국 당국은 “가상화폐 채굴 업자들을 지원하거나 비호한 공직자도 엄하게 처벌
중국 '가전 신화'의 주인공 장진둥(張近東·58) 회장이 퇴진했다. 장 회장은 중국 최대 가전제품 판매 회사인 쑤닝(蘇寧)을 창업한 인물이다. '가전왕'으로 불려도 무리가 없는 인물이다. 13일 경제지 차이신(財新) 등에 따르면 쑤닝은 12일 저녁 앞으로 장 회장이 '명예 회장'을 맡는다고 밝혔다. 장 회장은 명예회장으로 이사회 구성원으로서 모든 권리를 행사하지 않을 것이라고 쑤닝측은 밝혔다. 다만 회사의 중장기 발전을 위한 건의와 기업 문화 전승 등을 지도하는 고문역할을 할 예정이다. 장 회장의 퇴진은 '한 세대의 막'으로 평가된다. 장 회장의 퇴진은 쑤닝의 지배구조 변경 때문이다. 중국 정부가 조성한 민관 펀드는 최근 쑤닝 지분을 인수해 사실상 경영권을 장악했다. 쑤닝은 무리한 사업 확장으로 유동성 위기를 겪었다. 이에 장쑤성 정부는 국유기업인 화타이(華泰)증권과 알리바바 계열사 타오바오(淘寶)·샤오미(小米)·하이얼(海爾)·메이디(美的)·TCL 등 민영 기업이 참여하는 민관 펀드 '장쑤 신유통 혁신 펀드 2기'를 조성해 쑤닝에 투자하도록 했다. 펀드는 지난 9일 쑤닝에 88억3천만 위안(약 1조5천억원)을 출자했다. 확보한 지분은 16.96%에 달한다.
기존 산업에 IT를 접목해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하는 '3신' 계획을 추진 중인 중국이 빅데이터 산업 육성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첨단기술의 허브'인 광둥성 선전시에 광둥성, 홍콩, 마카오 지역에서 생산유통되는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대규모 빅데이터 센터를 건립키로 했다. 선전은 중국 '개혁·개방 1번지'로 유명하다. 이번 계획으로 첨단 산업 구조 변화의 1번지로 자리매김할 지 주목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광둥성 정부는 지난 1일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기술 허브' 선전시에 '웨강아오 대만구(大灣區·Great Bay Area)' 지역을 위한 빅데이터 센터를 건립키로 한 것이다. 빅데이터 센터는 2022년까지 완공될 계획이다. 당장 내년부터 가동이 가능한 것이다. 웨강아오 대만구는 광저우, 선전, 둥관, 후이저우, 주하이, 포산, 중산, 장먼, 자오칭 등 광둥성 9개 주요 도시와 홍콩과 마카오를 연결하는 거대 경제권을 의미한다. 지역 특성상 이들 지역에는 각종 첨단산업이 몰려있고, 이들이 이용하며 생산하는 데이터는 중국 첨단산업 동향과 발전 방향을 가늠케하는 특색을 지닐 것으로 기대된다. 광둥성 정부는 "새로운 빅데이
중국 당국의 디디추싱에 대한 규제는 미국 투자자는 물론, 중국 국내 투자자들에게도 막대한 손실을 초래했다. 특정 기업에 대한 당국의 갑작스런 규제 강화는 시장의 불확실성을 키운다는 점에서 향후 중국 관련 산업 발전에도 장애가 될 것으로 우려된다. 이런 가운데 중국 당국이 해외 증시에 디디추싱 같은 기업을 규제하는 대가로 오는 2030년까지 한화로 최대 5경 원이 넘는 비용을 치를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미국의 싱크탱크 애틀랜틱 카운슬의 프레더릭 캠프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글을 CNBC 방송에 기고했다. 그는 글에서 "이번주 글로벌 투자자들은 중국 공산당이 장악력을 유지하는 데 얼마를 치르겠다는 것인지 분명하게 알 수 있었다"면서 "2030년까지 중국이 신규 자금 흐름에서 45조7천억 달러(약 5경2천조 원)에 달하는 비용을 치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2030년 중국 자산 및 부채 규모는 총 48조6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중국 당국이 지금처럼 규제를 하고 나서면서 불확실성 증가로 투자가 늘지 않아 지난 2020년 규모(2조9천억 달러)에 머물 수 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즉 중국 당국은 신규 투자분을 규제에 대
테슬라가 중국에서 반전을 모색하고 있다. 앞서 테슬라는 중국에서 여론 악화로 불매 운동까지 벌어졌었다. 하지만 테슬라 오너인 일론 머스크의 잇따른 구애 등으로 여론에 변화 조짐이 나타나는 것이다. 12일 중국 증권일보 등에 따르면 지난 6월 테슬라 상하이 공장의 판매량은 3만3천155대에 달했다. 이는 지난달보다 29% 늘어난 수치다. 이에 테슬라는 지난달 중국 토종 업체 비야디(比亞迪·BYD)에 이어 중국내 전기차 판매 2위를 차지했다. 이는 테슬라에 악화됐던 중국 여론이 변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앞서 지난 4월 세계적 자동차 전시회인 상하이 모터쇼에서 한 여성이 테슬라의 전시 차량 지붕 위에 올라가는 기습 시위를 벌였다. 이 여성은 자신이 테슬라 차주라 밝히며 브레이크 고장 때문에 사고가 났다고 주장했다. 중국 매체들은 이를 대서특필했고, 이 여성에 동조하는 여론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지난 4월을 기점으로 테슬라는 중국 지역 판매량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이 같이 상황이 악화되자 일론 머스크가 직접 나섰다. 공산당을 칭송하고 중국내 투자를 강화했다. 결국 머스크의 노력에 중국 민심이 조금씩 긍정의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테슬라는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