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도시별 과학 기술 혁신 역량 순위 1위는 베이징인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의 장점은 당 중앙의 강한 지도력이다. 한국에서는 리더십이라고 하는 데 중국은 영도라는 표현을 쓴다. 한국에도 영도라는 단어가 있는데, 좀 군사적 색채가 짙다. 한중간의 적지 않은 감정적 문제는 사실 이처럼 서로가 쓰는 단어가 실제 늬앙스를 달리한다는 점에서 나온다. 한국에서 북한과 차별을 두면서 북한이 쓰는 단어를 의도적이든 의도하지 않았든 달리 쓰면서 생긴 현상일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어쨌든 중국의 장점은 중앙 정부의 강한 리더십이다. 중국은 그 리더십으로 발전의 방향을 제시하고 각 행정조직, 즉 지방정부가 따라오는지를 평가하면 된다. 중국에서 출세를 하고 싶으면 이 중앙 정부가 제시한 기준과 목표 달성에 좋은 성과를 내면 되는 것이다. 장점은 중앙이 제시한 목표를 빠르게 달성하는 것이지만, 단점은 지나친 관료주의, 행정편의적 평가에 각종 부조리가 감춰진채 드러난 성과만 중시하게 된다는 점이다. 중국 공산당의 제 20기 3차 전체회의의 주요 과제 중 하나는 ‘발전을 위한 제도와 메커니즘을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제 해당 목표에 맞는 지방 정부의 조치들을 평가하
인간의 오만, 무지에서 나온다. 제대로 모르니까, 자기만 잘난 줄 알게 되고 오만하게 되는 것이다. 소위 4차 산업혁명의 시대인 고도화 IT(정보통신기술) 시대를 살다보니, 우리가 흔히 착각하는 게 모든 게 인간들이 새롭게 만든 것이라는 착각이다. 대표적인 IT시대의 '쌀'이라는 반도체다. 반도체를 우리는 공장에서 그냥 뚝딱 만들어 낸다고 알고 있다. 하지만 실은 큰 착각이다. 자연이 준 규소와 게르마늄 등의 광물이 없으면 반도체를 만들 수 없다. 탄소 자체를 우리는 아직도 석유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얻는다. 인간은 자연이 준 물질을 이용할 뿐 스스로 만들어 내는 것은 없다. 그저 인간은 여전히 자연이 준 것들의 쓸모를 발견해 가는 존재일 뿐이다. 인간으로서 저절로 겸손하게 되는 대목이다. 실제 IT 기술 발달과 함께 각광을 받는 게 광물을 자연에서 캐내는 광산업이다. 실제 올 2024년 2분기 말 현재 세계 50대 광산 기업의 총 시장 가치는 1조 4,300억 달러에 달해 3월 말보다 420억 달러 증가했다. 이러한 성장은 주로 구리 및 금 가격 상승으로 인해 수혜를 입었습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금과 구리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음에도 불구하고 광산업체들
유니콘 동화속에 나오는 동물이다. 말 처럼 생겼지만, 이마에 뿔이 하나 달렸다. 전설 속에서도 사람들 앞에 아주 드물게 나타난다. 오늘날 유니콘은 혁신적 기술을 기반으로 사업 시작과 함께 기업 가치가 10억 달러, 약 1조원에 달하도록 급성장한 스타트업 기업을 말한다. 지난 2013년 벤처 투자자인 에일린 리가 처음으로 이런 기업을 유니콘에 비유하면서, 이제는 국제사회에 통용되는 용어가 됐다. 미국의 구글이나, 메타 등도 이런 유니콘의 하나였다. 마이크로소프트 역시 첫 시작은 차고였다고 하니, 이제는 그 이상으로 성장해 세계 시장을 좌지우지하는 수준으로 성장한 글로벌 IT회사들은 대부분이 이 유니콘 시절이 있었던 셈이다. 오늘날에도 이들의 뒤를 잇는 유니콘들이 자라고 있다. 최근 후룬 연구원은 광저우에서 2024년 전세계 유니콘 기업 순위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그럼 세계 1위의 유니콘 기업은 어딜까? 엔비디아가 비상장이었으면 단연코 1위겠지만, 엔비디아는 이미 상장한 회사다. 회사 가치가 애플과 함께 글로벌 1, 2위를 다툰다. 그럼 현재 글로벌 유니콘 1위는 어느 기업일까? 1위는 틱톡의 주인인 바이트댄스였다. 후룬은 중국 기업 분석으로 유명한 곳이다. 포
많은 이들이 지구의 미래를 우려한다. 인류의 증가세가 지구의 천연환경이 수용할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는 우려다. 실제 인류가 에너지를 소비하면서 만들어낸 기후변화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수준에 다달았다. 지금처럼 기후변화가 이뤄진다면 지구는 인류가 살기 힘든 위성으로 변할 수 있다. 인류 뿐 아니라 인류가 만든 기후 변화는 지구 상의 많은 생물들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소위 인류에 대한 '지구의 반격'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구가 인류를 벌하기 전에 인류 스스로가 생존을 끝낼 것이라는 분석도 많다. 전세계 산업화로 경제적 부가 쌓이게 된 나라의 특징이 고령화다. 간단히 애를 낳지 않아고 스스로 늙어가고 있다는 의미다. 간단히 '종족 자살'을 행하고 있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이 고령화, 혹은 초고령화 사회에 필요악으로 찾아오는 게 '질병'과 '노화'로 인한 신체 기능의 상실이다. 인류가 이에 대항하는 유일한 길이 바로 '의학'이다. 의학적 발전을 통해 질병을 막고, 치료하며 노화를 늦추거나 '세포 재생기술'을 통해 신체 스스로가 시간이 지날 수록 젊어지도록 만들고자 하는 것이다. 사실 인류는 스스로가 노자가 언급한 '멈춤의 시간' 속으로 달려가
이제 '바캉스의 철'이다. 한 때 "열심히 일한 그대 떠나라"라는 광고가 한국에서 인기를 끈 적이 있다. 지금은 없어진 카드회사의 광고였다. 카드 한 장 들고가서 일단 쓰시고 보라는 상술이 담긴 광고였지만, 열심히 일한 한국인들에게는 적지 않은 위로가 되는 말이었다. 그 말 그대로 이제 열심히 일한 사람이라면 한 해 마음 놓고 쉬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중국이라고 다르지 않다. 개혁개방 이전 '만만디', 천천히 천천히의 나라는 이제 글로벌 모두가 경탄하는 '빨리 빨리'의 나라가 됐다. 중국인 스스로가 과거 한 때 그런 시절이 있다고 믿지 못할 정도다. 중국인이나 한국인 모두가 충분히 자신을 위한 시간을 누릴 자격이 있다는 게 한중21 편집국의 생각이다. 자 그럼 짐을 싸서 떠나볼까? 그런데 문제가 있다. 어디로? 어디에서 쉴까하는 문제다. 중국 휴가지는 '인산인해' 사람이 산을 이루고 바다를 이룬다는 말이 거짓이 아닐 정도로 사람이 붐빈다. 본래 사람들이라는 게 가는 곳이, 좋아하는 곳이 비슷한 법이다. 그럼 이 무더운 여름 중국인이 즐겨 찾는 피서지는 어디일까? 자연과 어우러지는 시원한 계곡, 우거진 풀숲일 수도 있고 활기찬 레저를 즐길 수 있는
올림픽 시즌이다. 스포츠 스타들의 평생을 기울인 게임 덕에 글로벌 각국의 시민들이 밤을 새우며 환호한다. 흔히 이 경기들을 ‘각본없는 드라마’라고 한다. 그만큼 예상치 못한 반전이 이어지고, 감동이 쏟아진다는 의미다. 중국인구는 무려 15억명에 달한다. 그들 역시 자신들이 좋아하는 스포츠 스타의 각본 없는 드라마에 환호하고 감동한다. 특히 이번 파리올림픽은 중국에게는 남다르다. 올림픽의 특수를 프랑스보다도 더 누리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 각국 매체들은 그래서 이번 올림픽을 ‘재주는 수탉이 부리고, 돈은 펀더가 챙긴다’고 평하고 있다. 수탉은 프랑스를 상징하고, 판다는 중국을 상징한다. 사실 중국이 가장 좋아하는 현명함이다. ‘바보 같은 똑똑함’, ‘난득호도’라고 한다. 돈도 챙기고 스포츠도 즐기니, 금상첨화다. 그럼 중국인들이 가장 환호하는 스포츠는 어떤 종목일까? 1위는 베드민턴, 2위는 탁구, 3위는 배구였다. 2024년 파리 올림픽이 공식 개막하면서 생활 운동에도 많은 관심이 모이고 있다. 메달리스트를 배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리가 직접 즐길 수 있는 운동이나 관람하며 휴식할 수 있는 게 진정한 스포츠다. 중국인들이 사랑하는 스포츠는 실제 일상에서
'14조 6천억 달러' 한화로 약 2경 215조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중국 500대 기업의 영업익 규모다. 한국 500대 기업이 지난 2023년 매출은 총 3,902조6,459억원, 영업이익도 202조2,467억원을 기록했었다. 중국 500대 기업의 총매출은 한국 500대 기업의 100배를 훌쩍 넘는 수치다. 중국 500대 기업의 상위권은 모두 대형 국영기업들이 차지했다. 1위는 한국전력 같은 중국전력(국가전망), 2위는 중국석화(시노펙), 3위는 중국석유 가 차지했다. 지난 26일 포춘지 중국어 사이트는 2024년 중국 500대 기업 순위를 선정하였다. 1위부터 3위에 오른 기업은 각각 국가전망(스테이트 그리드), 중국석화(시노펙), 중국석유였다. 올해 500대 기업에 오른 중국 기업의 작년 영업 수익은 14조 6천억 달러(약 2경 215조 원)에 달한다. 작년 순위와 비교해 약 3%로 하락하였다. 순이익은 7,064억 달러(약 978조 814억 원)로 작년에 비해 약 1.5% 하락하였다. 올해 순위에 오른 기업의 영업 수익 기준은 37억 4천만 달러(약 5조 1,784억 원)로 작년에 비해 약 9% 상승하였다. 올해 포춘 차이니즈가 발표한 포춘차이나 5
인간의 발전은 언제부터일까? 많은 이들이 주저하지 않고 이야기 한다. 바로 문자가 만들어진 이후다. 우리는 문자의 시대를 '역사의 시대'라 부른다. 문자가 만들어지고 사건을, 경험을 기록할 수 있게 되면서 인류는 지혜를 쌓을 수 있게 됐고 그 지혜를 학습한 뒤 새롭게 지혜를 만들어낼 수 있는 경지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소위 문명은 모두 역사의 시대 등장을 한다. 바로 지혜들이 문명을 만들었다. 그 지혜의 집약을 우리는 '책'이라 부른다. 지혜를 모아 문자로 기록해 놓은 것이다. 문자 기록의 발전이 문명의 발전 속도를 더하도록 했다. 나무 조각에 기록하던 것이 종이가 만들어지고 오늘날의 책이 등장했다. 더 많은 정보를 기록하고 전파할 수 있게 되면서 문명은 더욱 빠르게 발전할 수 있었다. 20세기 들어 컴퓨터가 발전하면서 책은 더욱 간편한 형태가 됐다. 더욱 작은 공간에 더욱 많은 정보를 기록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하지만 너무나 많은 지혜가 쌓이면서 문제가 생겼다. 인류 모두가 조금씩 책을 멀리하게 된 것이다. 문자 대신 쉽게 정보를 전해주는 동영상에 집중하게 됐다. 하지만 톨스토이가 ‘인간의 꿈을 담은 책은 지혜의 열쇠’라고 말했듯, 책은 인류가 발전하는
한 때 노트북은 미국 IBM, HP가 석권하던 시절이 있었다. 노트북은 컴퓨터를 노트처럼 접어서 들고 다니도록 만들면서, 언제 어디서나 업무가 가능하도록 만든 획기적인 제품이었다. 당연히 초기 미국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절대적 우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미국은 빠르게 노트북 제조를 다른 나라에 넘기며, 노트북 운영체제만을 장악하는 식의 컴퓨터 산업 생태계를 만들어 갔다. 그 제조를 미국에서 이어 받은 게 일본이었다. 그 사이 노트북은 고급형과 보급형으로 구분이 됐고, 보급형 시장에서 가성비를 앞세운 한국에 일본 역시 시장을 조금씩 내줘야 했다. 하지만 한국은 더욱 짧은 시간내에 시장을 다시 중국 등에 내줘야 했다. 중국은 절대적 가성비를 무기로 순식간에 노트북 시장의 절대적 강자로 부각됐다. 그렇게 컴퓨터 산업 생태계가 변화는 사이 노트북은 일상 필수품이 되었다. 전세계 각종 브랜드에서 다양한 상품을 내놓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품질을 개선하고 여러가지 기능을 추가해 소비자에게 만족을 선사하고 있다. 오늘날 노트북은 모바일 컴퓨터 시장에서 좀 구식에 해당한다. 스마트폰과 패드가 성능을 키우면서 글로벌 노트북 시장을 압박하고 있다. 그럼에도 업무 분야에서는 아직 노트
사물인터넷은 '4차 산업 혁명'의 핵심이다. 4차 혁명은 지금도 급속히 진행중이다. 컴퓨터의 지능을 활용하고, 주변의 모든 기기를 통신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을 갖추자는 게 사물인터넷의 핵심 개념이다. 사물인터넷 개념이 등장하고 나서 공장 로봇을 활용한 자동화 개념이 발전했고 오늘날 '로봇공장', '스마트 공장'이 등장했다. 식물의 자라는 과정을 센서를 통해 측정하고 그에 맞춰 배수 등의 보조 시절을 작동시키도록 컨트롤 하는 '스마트 농업'도 가능해졌다. 현재 사물인터넷의 개념을 끊임없이 확장해 단순히 컴퓨터의 반복 작업만 가능한 게 아니라,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상황에 맞춰 인간처럼 그 때 그 때 다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수준까지 발전해가고 있다. 사람보다 더욱 냉철하고, 오차 없이 매 순간 최선의 판단이 가능하게됐다.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이 바로 '사물인터넷'이다. 사물과 사물을 인터넷으로 연결, 서로 센서로 느끼고 통제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해당 분야는 글로벌 IT기업들이 각자의 영역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미국의 대형 IT회사들은 소프트웨어 개발과 대형 클라우드 시스템, AI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한국 등은 그 기본이 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