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이 일부 중국 해커 집단을 차단했다고 밝혔다. ‘Earth Empusa’, ‘Evil Eye’ 등으로 불리는 이들은 해외에 거주하면서 악성 웹사이트를 통해 위구르 무슬림들을 감시한 것으로 전해진다. 25일(현지시각) CNBC는 이 같은 소식을 보도했다. 차단당한 해커들은 위구르와 터키 지역 뉴스 사이트와 닮은 도메인을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악성 웹사이트를 꾸린 것으로 전해진다. 해당 사이트를 방문한 이들은 해커에 의해 감시당할 수도 있다. 또 해커들은 위구르족이 자주 방문하는 웹사이트를 공격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더해 가짜 페이스북 게정을 통해 언론인, 학생, 인권운동가, 위구르 공동체 구성원 등으로 가장한 뒤 위구르족 사람들과 신뢰를 쌓은 뒤 악성 링크를 누르도록 유도했다. 페이스북은 앱스토어처럼 디자인된 “키보드 앱, 기도 앱, 사전 앱 등 위구르를 테마로 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한 곳"을 지적하며, 해당 사이트에서 다운한 모든 앱에 감시에 악용될 수 있는 악성 소프트웨어가 포함됐다고 밝혔다. 이에 페이스북은 악성 웹사이트 도메인이 자사 플랫폼에서 공유되는 것을 차단하고, 해킹 그룹의 계정을 다운시켜 활동을 제한했다고 밝혔다. 단 페이스북은 차단
중국이 군사 및 국영기업 관계자들의 테슬라의 전기차 이용을 금지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자사 제품엔 보안 문제가 없다며 “우린 틱톡과 같다”고 밝혔다. 중국의 위협에 자존심 강하기로 유명한 괴짜 억만장자 머스크가 바짝 긴장하는 모양새다. 최근 CNN에 따르면 머스크는 테슬라의 자동차들이 절대로 중국의 정보를 빼돌리는데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머스크는 중국 정부가 주최한 포럼에서 “우린 어떤 정보에든 자신있다는 강력한 장점이 있다”며 “만약 중국을 포함한 어디에서든 테슬라의 차가 정보를 캐내는 데에 사용된다면 문을 닫겠다”고 말했다. 최근 중국 공산당은 군사 및 일부 군영기업 관계자들이 출근 시 테슬라 전기차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발표했다. 테슬라 내 센서와 GPS가 중국 주요기관의 위치 등을 파악하는 데에 악용될 수 있고, 휴대폰 연동 기능을 통해 운전자의 인적사항와 연락처 목록에 접근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머스크는 이에 반박하면서 지난해 비슷한 이유로 논란이 됐던 틱톡의 사례를 들었다. 틱톡은 중국에서 개발된 동영상 기반 SNS 틱톡은 지난해 정보 유출 등에 악용될 수 있다는
미국의 중국 기업 제재가 이어지는 가운데 이번엔 중국이 미국 기업에 대한 제재에 나섰다. 대상은 테슬라다. 사실 전기차는 중국이 가장 신경을 썼던 단계를 뛰어넘는 산업발전 전략 가운데 하나였다. 중국 공산당이 군 당국과 일부 국영기업 관계자의 테슬라 자동차 이용을 제한했다. 테슬라가 수집한 정보가 미국 정부에 보내져 국가 기밀 유출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한 것이다. 지난 19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 등 외신은 중국이 테슬라 자동차에 대한 보안 검토를 지시했다고 보도헀다. 관계자들은 차량에 부착된 센서가 주위를 촬영할 수 있고, 시간·장소·상황 등을 파악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테슬라 자동차와 휴대전화를 동기화할 경우 테슬라 측이 운전자의 인적사항과 연락처 목록에 접근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관계자들은 해당 정보들이 미국 정보에 보내질 것을 우려한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테슬라는 자율주행 자동차 경쟁에 대비해 차량 내부 카메라를 권장하는 입장을 유지해왔다.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들이 차량 주행 상황에 집중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과거 “우버·리프트와 경쟁을 시작하고, 사람들이 테슬라의 공유 자율주행자동차로 돈을 버
마윈(馬雲)의 규제 정면 비판 후 중국 정부가 알리바바 그룹 전반을 향한 고강도 압박을 이어가는 가운데 이번에는 알리바바의 음식 배달 서비스인 어러머(饿了麽)가 새로 단속 대상이 됐다. 19일 온라인 매체 펑파이(澎湃) 등에 따르면 안후이성 허페이(合肥)시 시장감독관리국은 알리바바 계열 음식 배달 서비스인 어러머에 입점한 식당 중 일부가 식품 영업 허가를 갖추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면서 어러머를 상대로 정식 조사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시장감독관리국은 어러머의 경쟁사인 메이퇀(美團) 역시 같은 문제가 발견돼 함께 조사 중이라고 설명하면서 향후 두 회사에 벌금을 부과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어러머와 메이퇀은 한국의 '배달의 민족'처럼 음식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양사는 중국의 음식 배달 서비스 시장을 거의 양분하고 있다. 마윈이 작년 10월 공개 포럼에서 감독 당국을 정면으로 비판한 이후 중국 공산당과 정부는 알리바바 등 거대 인터넷 기업들을 향한 규제를 크게 강화했다. 특히 알리바바는 중국의 여러 인터넷 기업 중에서도 가장 강도 높은 규제와 단속의 대상이 되고 있다. 알리바바의 핀테크 계열사 앤트그룹의 경우 작년 11월 상장이 취소된 가운데 당국의
인터넷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중국 인터넷 당국이 이번에는 딥페이크(deepfake) 기술 사용에 대한 단속에 초점을 맞췄다. 19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의 사이버 감독기관인 중국 국가사이버정보판공실(CAC)과 공안국(PSB)은 최근 중국의 인터넷 관련 기술 기업 11곳과 회의를 열고 이런 입장을 전달했다. 회의에는 바이트댄스(ByteDanceㆍ字節跳動), 알리바바(阿里巴巴), 텐센트(騰迅·텅쉰), 샤오미(小米), 콰이서우(快手) 등 중국의 주요 인터넷 관련 기업들이 대부분 소집됐다. CAC와 공안국은 회의에서 딥페이크 기술을 사용하는지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있다면서 기술기업들에 위반 사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자체 점검을 할 것을 지시했다. 딥페이크는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기존에 있던 인물의 얼굴이나, 특정한 부위를 영화의 CG처럼 합성한 영상편집물을 말한다. CAC와 공안국은 오디오 기반 소셜미디어 애플리케이션(앱)의 법규 위반 행위도 엄밀하게 들여다볼 방침이라고 밝혔다. CAC와 공안국의 주요 인터넷 관련 기술 기업을 대상으로 한 회의 소집은 중국인 인터넷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상황에서 나온 것이어
중국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업체로 미국 정부의 규제 표적 가운데 한 곳인 SMIC(中芯國際ㆍ중신궈지)가 중국의 '기술 허브'인 광둥(廣東)성 선전(深圳)시에 새로운 반도체 공장을 세우기로 했다. 18일 로이터 통신과 중국의 재화망(財華網),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SMIC는 전날 선전시 정부와 손잡고 선전시에 새로운 반도체 웨이퍼 가공(wafer fabrication) 공장을 건설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SMIC는 발표문을 통해 선전의 새 공장이 회로 선폭 28나노(㎚)와 그 이상의 제품을 생산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면서 한 달에 12인치 웨이퍼 4만 개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선전 새 공장은 내년에 생산을 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SMIC는 덧붙였다. SMIC와 선전시가 주도하는 펀드는 새 공장 건설을 위해 23억5천만달러(약 2조6천400억원)를 공동으로 출자할 방침이다. 지분은 SMIC와 선전시 정부 주도의 펀드가 각각 55%와 23%를 갖기로 했다. SMIC의 선전 반도체 공장 신설 발표는 세계적인 반도체 부족 사태와 미국과 중국 간 '기술전쟁'이 지속되면서 중국 정부가 반도체 '자급자족'을
"마윈이 사라졌다." 중국인은 물론 세계 경제계를 놀라게 했던 중국발 뉴스였다. 실제 한동안 마윈은 공식 활동무대에서 사라졌다 다시 등장하기도 했다. 중국 당국과의 갈등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고 한다. 실제 중국에서는 마윈은 공산당이 키운 기업이라는 설이 많다. 마윈 스스로가 공산당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갈등은 그런 마윈이 서구식 정부 혁신을 언급하고 나선 탓으로 전해진다. 이렇게 중국 정부와 알리바바의 갈등이 계속되는 가운데, 알리바바의 인터넷 브라우저가 중국 내 여러 앱스토어에서 삭제됐다. 기자가 확인한 바에 따르면 16일(현지시각) CNBC 등 외신은 화웨이와 샤오미가 운영 중인 안드로이드 앱스토어 등에서 알리바바의 ‘UC브라우저’가 삭제되거나 다운로드 기능이 중단됐다고 보도했다. 이번 알리바바 브라우저 삭제 조치는 화웨이와 샤오미 스마트폰 이용자들에게만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CNBC 측은 “화웨이·샤오미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통화를 통해 이처럼 밝혔다”며 “중국의 한 삼성 스마트폰 이용자는 삼성 앱스토어에서 여전히 이 브라우저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UC브라우저는 애플 앱스토어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CNBC는 이전부터 이어
중국 당국이 전자상거래에 대한 규제 강도를 높여가고 있다. 16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의 시장감독 기관인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SAMR)은 전자상거래 운영자의 책임 목록을 만드는 등 전자상거래 관련 새로운 규칙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SAMR 관계자는 "온라인 쇼핑 시장을 정화하고 건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올해 일련의 행동을 통해 더 강력한 규제책을 채택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SAMR은 전자상거래와 관련이 있는 플랫폼 회사에 대한 책임을 명확하게 규제하는 한편 온라인 거래를 표준화하고 공정한 경쟁을 유지하며, 소비자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규칙을 시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SAMR은 전국적으로 전자상거래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다. 특히 SAMR은 '광군제'(光棍節, 싱글데이)를 비롯한 거대 전자상거래 기업들이 주최하는 이벤트 행사에서 위법 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규제를 강화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광군제는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阿里巴巴) 그룹이 매년 11월 11일 개최하는 대규모 쇼핑 이벤트다. 중국 제2위의 전자상거래 기업인 징둥
테슬라가 중국에서 생산 중인 중형 SUV가 지난 2월 중국 전기 판매 순위 세 번째에 올랐다. 기자가 확인한 바에 따르면 지난 10일(현지시각) CNBC는 중국승용차협회(CPCA)의 발표 자료를 인용해 테슬라가 중국에서 생산 중인 ‘모델Y’의 판매 대수가 올해 2월 4630대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중국에서 팔린 전기차 중 세 번째에 달하는 양으로, 납품 3개월 만에 이뤄낸 성과다. CNBC는 모델Y의 판매실적을 두고 “일주일에 달하는 설 연휴가 있었던 만큼 올해 2월 자동차 판매는 전반적으로 감소했다”며 “이 같은 상황에도 인기가 있었다는 뜻”이라고 평했다. 실제로 CPCA에 따르면 2월 전국 승용차 판매량은 1월에 비해 45.5% 감소했다.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 엑스펑과 리오토 역시 2월 인도량이 각각 2000대를 조금 넘는 데 그쳤다. 1분기 전망치 역시 평소보다 낮게 책정했다. 모델Y의 성과는 가격 경쟁력과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의 미흡한 경쟁력 때으로 보인다. CNBC는 “중국 매체들이 사전에 발표한 가격보다 30% 저렴한 가격에 판매됐다”며 이어 “중국 전기차 시장에서 스타트업들은 여전히 큰 자동차 회사들보다 뒤처졌다”고 했다. 하지만 CPCA가 발표
중국전통의 춘제 명절 연휴동안 , 중국 극장가 박스오피스가, 역대 최고액을 기록한 2019년 보다32% 가 증가해, 무려 78억 2200만위안 , 한화로 환산해 약 1조 2천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국가영화국이 어제 18일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서 2월11일~17일 전국 영화 박스오피스는 역대 최고 기록인 2019년 59억500만 위안보다 32.47% 증가한 78억2200억 위안으로 알려졌다. 이는 또 세계 단일 시장에서의 일일 박스오피스와, 세계 단일 시장 주말 박스오피스 등 극장수입관련 한 모든 세계 기록을 새로 세운 것으로 신화통신은 전했다. 올해 춘제 연휴 극장가는 2019년(1억3200만명) 대비 21% 늘어난 1억6천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17일 기준 연간 총 박스오피스는 115억8800만 위안, 관객 수는 2억6200만 명, 국산 영화 박스오피스는 112억2600만 위안으로 집계됐다. 입장수입과도 연동되면서 관객들이 완성도가 높은 영화로 선정한 영화로는 ‘안녕, 리환잉 , Hi, Mom’과 ‘당인가탐안 3편’, ‘인조흉용’ 등 세 영화가 선정돼, 올해 춘제 연휴 영화 관객 만족도 1위~3위를 차지했다. 진실한 가족애를 그린 ‘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