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윈이 사라졌다." 중국인은 물론 세계 경제계를 놀라게 했던 중국발 뉴스였다. 실제 한동안 마윈은 공식 활동무대에서 사라졌다 다시 등장하기도 했다. 중국 당국과의 갈등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고 한다. 실제 중국에서는 마윈은 공산당이 키운 기업이라는 설이 많다. 마윈 스스로가 공산당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갈등은 그런 마윈이 서구식 정부 혁신을 언급하고 나선 탓으로 전해진다. 이렇게 중국 정부와 알리바바의 갈등이 계속되는 가운데, 알리바바의 인터넷 브라우저가 중국 내 여러 앱스토어에서 삭제됐다. 기자가 확인한 바에 따르면 16일(현지시각) CNBC 등 외신은 화웨이와 샤오미가 운영 중인 안드로이드 앱스토어 등에서 알리바바의 ‘UC브라우저’가 삭제되거나 다운로드 기능이 중단됐다고 보도했다. 이번 알리바바 브라우저 삭제 조치는 화웨이와 샤오미 스마트폰 이용자들에게만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CNBC 측은 “화웨이·샤오미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통화를 통해 이처럼 밝혔다”며 “중국의 한 삼성 스마트폰 이용자는 삼성 앱스토어에서 여전히 이 브라우저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UC브라우저는 애플 앱스토어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CNBC는 이전부터 이어
중국 당국이 전자상거래에 대한 규제 강도를 높여가고 있다. 16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의 시장감독 기관인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SAMR)은 전자상거래 운영자의 책임 목록을 만드는 등 전자상거래 관련 새로운 규칙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SAMR 관계자는 "온라인 쇼핑 시장을 정화하고 건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올해 일련의 행동을 통해 더 강력한 규제책을 채택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SAMR은 전자상거래와 관련이 있는 플랫폼 회사에 대한 책임을 명확하게 규제하는 한편 온라인 거래를 표준화하고 공정한 경쟁을 유지하며, 소비자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규칙을 시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SAMR은 전국적으로 전자상거래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다. 특히 SAMR은 '광군제'(光棍節, 싱글데이)를 비롯한 거대 전자상거래 기업들이 주최하는 이벤트 행사에서 위법 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규제를 강화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광군제는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阿里巴巴) 그룹이 매년 11월 11일 개최하는 대규모 쇼핑 이벤트다. 중국 제2위의 전자상거래 기업인 징둥
테슬라가 중국에서 생산 중인 중형 SUV가 지난 2월 중국 전기 판매 순위 세 번째에 올랐다. 기자가 확인한 바에 따르면 지난 10일(현지시각) CNBC는 중국승용차협회(CPCA)의 발표 자료를 인용해 테슬라가 중국에서 생산 중인 ‘모델Y’의 판매 대수가 올해 2월 4630대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중국에서 팔린 전기차 중 세 번째에 달하는 양으로, 납품 3개월 만에 이뤄낸 성과다. CNBC는 모델Y의 판매실적을 두고 “일주일에 달하는 설 연휴가 있었던 만큼 올해 2월 자동차 판매는 전반적으로 감소했다”며 “이 같은 상황에도 인기가 있었다는 뜻”이라고 평했다. 실제로 CPCA에 따르면 2월 전국 승용차 판매량은 1월에 비해 45.5% 감소했다.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 엑스펑과 리오토 역시 2월 인도량이 각각 2000대를 조금 넘는 데 그쳤다. 1분기 전망치 역시 평소보다 낮게 책정했다. 모델Y의 성과는 가격 경쟁력과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의 미흡한 경쟁력 때으로 보인다. CNBC는 “중국 매체들이 사전에 발표한 가격보다 30% 저렴한 가격에 판매됐다”며 이어 “중국 전기차 시장에서 스타트업들은 여전히 큰 자동차 회사들보다 뒤처졌다”고 했다. 하지만 CPCA가 발표
중국전통의 춘제 명절 연휴동안 , 중국 극장가 박스오피스가, 역대 최고액을 기록한 2019년 보다32% 가 증가해, 무려 78억 2200만위안 , 한화로 환산해 약 1조 2천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국가영화국이 어제 18일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서 2월11일~17일 전국 영화 박스오피스는 역대 최고 기록인 2019년 59억500만 위안보다 32.47% 증가한 78억2200억 위안으로 알려졌다. 이는 또 세계 단일 시장에서의 일일 박스오피스와, 세계 단일 시장 주말 박스오피스 등 극장수입관련 한 모든 세계 기록을 새로 세운 것으로 신화통신은 전했다. 올해 춘제 연휴 극장가는 2019년(1억3200만명) 대비 21% 늘어난 1억6천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17일 기준 연간 총 박스오피스는 115억8800만 위안, 관객 수는 2억6200만 명, 국산 영화 박스오피스는 112억2600만 위안으로 집계됐다. 입장수입과도 연동되면서 관객들이 완성도가 높은 영화로 선정한 영화로는 ‘안녕, 리환잉 , Hi, Mom’과 ‘당인가탐안 3편’, ‘인조흉용’ 등 세 영화가 선정돼, 올해 춘제 연휴 영화 관객 만족도 1위~3위를 차지했다. 진실한 가족애를 그린 ‘니
신화통신등 중국매체들은 15일 이사회가 164개 회원국의 만장일치로 새로운 사무총장으로 선출한 나이지리아 재무장관출신인 오콘조-이웨알라 신임총장의 첫 기자회견인터뷰를 비중있게 보도하면서, 향후 세계무대에서의 무역질서의 재편가능성에 대해 큰 관심을 표명했다. 신화통신은 특히 신임 총장이 , 세계 무역질서에서 세계 여러나라들이 무역을 지속하면서 발생한 신뢰의 부족 문제가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지적한 부분을 강조해 보도했다. 신화통신등은 WTO 신임총장이 , 세계 무역의 2대 강국인 미국과 중국간의 무역전쟁을 염두 둔 , 세계무역현장에서는 불신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는 부분을 부각시켜 보도했다. 또 신화통신은, 세계무역기구(WTO) 신임 사무총장에 오른 응고지 오콘조-이웨알라 총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으로 인한 세계경제의 충격을 신속하게 극복하겠다고 밝힌 부분도 중점보도했다. 이 문제는 중국이 가장 먼저 코로나백신의 자국내 접종을 시작했고 세계 각국으로의 수출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나온 언급으로서 중국의 향후 무역수지 상황과 직결되는 영역이다. 신화통신은 이와 관련해, 신임총장이 " 백신·의료 장비의 '자유로
중국에서 중국국영제약회사인 시노팜의 백신인 것처럼 식염수로 만든 가짜 백신이 대량으로 생산해 유통시켜온 약 80여명이 검거되면서 가짜 코로나19백신 경계령이 발동됐다. 신화통신은 중국공안당국이 이달 초, 수도 베이징과 산동성 일대에서 식염수로 만든 가짜 백신약 3천여 병을 적발하면서, 최근 이 가짜 백신을 생산해온 80여명의 범죄인들을 일망타진했다고 밝혔다. 공안당국에 따르면 이번에 검거된 가짜백신 생산자들은, 중국전역 21곳의 숙박업소와 창고에서 정규백신과 유사하게 생긴 작은 병들을 전문적으로 수거해 세척한 다음, 정규백신을 생산하고 있는 중국 국영 제약회사인 시노팜의 백신 라벨과 똑같이 인쇄한 종이를 붙이고, 병안에 생리 식염수를 넣고 봉한 뒤, 유통시켜온 것으로 알려졌다. 공안당국은 , 이 들 가짜 백신생산범들은 가짜로 만든 시노팜 백신을 주로 해외에 수출하려는 일당들에게 비싼 값에 넘겼다고 밝혔는데, 이 일당들이 이 가짜백신들을 해외 어느나라에 수출했는지는 보도되지 않았다. 신화통신이 보도한 바에 따르면, 공안당국은 이번에 검거된 가짜백신 제조범들이 약 6만 회 접종분량의 가짜백신을 수출업자에게 넘기면서 취득한 불법이익이 무려 천 800만 위안 ( 한
중국이 세계 5G 핸드폰 출하량에서 여전히 세계 최대량을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휴대폰공장에서 지난 달 1월 한 달동안 생산한 기기가 무려 약 2천 727만대를 기록했다고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신화통신은 이와 함께, 중국공장에서 지난 1월에 출하된 5G 휴대폰기기의 숫자는 전 세계에서 출하되는 5G휴대폰 총량의 약 68%를 점유하는 신기록을 세웠다고 보도했다. 이 통신은 국무원산하의 중국데이터통신 연구원의 자료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하면서, 지난 1월 에 중국에서 새로 출시한 5G 휴대폰가운데는 23가지 기종이 새롭게 출시되는 기종이었다면서 이는 전세계 공장에서 새롭게 출시되는 신기종 가운데 약 60%를 차지했다고 덧붙혔다. 신화통신은 이같은 통계조사결과를 보도하면서, 중국공장에서의 5G 휴대폰의 생산비율이 지난해 보다 월등하게 높은 이유중 하나로, 중국이외의 생산경쟁국들이 아직 코로나19 감염우려로 인해 관련 생산공장의 풀 가동을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을 꼽았다.
세계적인 반도체의 공급부족으로 인한 품귀사태가 각국의 경제근간을 크게 흔들고 있는 가운데, 중국 국유경제의 사령탑인 중국 국무원이 , 자국내 반도체 생산기업들에게 강력한 생산증대방안을 마련하라고 특별지시를 내긴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관영 신화통신은 중국 국무원이 SMIC등 국내 반도체전문회사들에게 , 특히 자국산 자동차생산에 필요한 반도체를 우선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과감한 수출제한 조치들을 지시하는 특별문건을 발송했다고 보도했다. 한편 중국의 경제전문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은 중국의 최대 반도체 생산라인을 보유한 자국의 제 1위 기업인 SMIC 와 함께 , 이미 지난해 말 부터 중국 광동성 선전시에 새로운 대규모 생산공장을 신설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접촉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 와함께, 세계 1, 2위를 다투는 대만의 반도체회사인 TSMC , 한국의 삼성전자가와의 긴급협상들을 통해, 자국 자동차회사들에 대해 필요한 반도체를 우선공급하는 방안을 협의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의 화폐정책을 총괄하는 인민은행등 경제당국의 발표한 바에 따르면, 올해 첫달인 지난 1월의 중국내 통화공급량이 2020년 12월에 비해 무려 약 10% 가까히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택구입과 관련된 대출규모은 더 크게 늘어, 지난 1월 한달 동안에만 전 달에 비해 무려 13, 3% 가 늘어난 290조 위안을 기록했다고 신화통신등 국영언론들이 일제히 경고하고 나섰다. 신화통신등 중국 경제관련 전문매체들은, 이처럼 통화량이 급증한 것은 2021년 의 중국 국내경제성장률을 6% 로 설정한 당국의 지침에 따라 , 연초부터 강력한 경제활성화 드라이브를 걸기위해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중국내수 기업들에 대한 과감한 금융지원정책을 실시했기 때문이라고 보도했다. 신화통신등은 또 이와 함께 국민들의 소비를 자극하기 위해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의 한도등 각종의 대출문턱을 크게 낮춰 지난 1월 한달동안에 은행 융자규모가 지난 해 12월에 비해 약 300% 가량 급증했다는 중국은행당국의 발표를 비중있게 보도했다.
중국 규제 당국은 미국 전기자동차(EV) 업체 테슬라에 대해 연료전지 발화와 이상 가속 등과 관련해 행정지도를 실시했다고 신화망(新華網)과 재경망(財經網) 등이 9일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 총국은 전날 늦게 테슬라를 대상으로 국내 소비자가 제기한 연료전지 발화와 비정상적인 가속, 무선 소프트웨어 개량 등에 관한 면담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시장감독관리 총국은 공업신식화부, 응급관리부,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CAC), 교통운수부와 함께 최근 테슬라 간부를 불러 행정지도를 했다고 전했다. 중국 당국자는 테슬라 측에 중국 법률에 따라 사업을 운영하고 내부 관리를 엄격히 하는 한편 소비자 권리를 보호하도록 요구했다. 이에 테슬라는 소비자가 불만을 표시한 문제를 철저히 조사해 우선적으로 해결하고 조사를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고 한다. 테슬라는 상하이 공장에서 전기차 모델3와 SUV형 모델Y를 생산하고 있다. 중국에서 제조한 전기차는 1월에만 1만5484대가 팔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