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과 항만에서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 시행하던 입국전 검사를 통한 코로나19 음성 확인서 제출 의무 조치가 오는 11일부터 전면 해제된다.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8일 회의에서 중국, 홍콩, 마카오발 입국자에 대해 남아있던 조치를 모두 해제하기로 결정했다. 중대본은 "중국 내 코로나19 상황이 춘절 연휴 이후에도 1개월 이상 안정세를 지속하고, 국내외 중국에 대한 유전체 분석 결과 우려할 만한 신규 변이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판단에 따른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중국 주간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12월 4주 447만5000명에서 2월 4주 7만7000명으로 대폭 감소했다.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입국후 검사는 지난 1일 해제됐는데, 직전 사흘간(지난달 26~28일) 입국자 양성률은 0.7%로 낮았다. 정부는 지난 1월 2일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입국 전후 코로나 검사를 의무화하고 단기비자 발급을 중단했다가 중국 내 코로나 상황이 안정화 단계에 접어든 것을 확인한 후 방역 조치를 단계별로 완화했다. 중국도 앞서 보복 조치로 시행했던 한국인의 중국행 단기 비자 발급 중단을 해제했다. 양국의 비자 발급 제한 조치 해
최근 중국 북방지역의 낮 최고기온이 25도를 넘으면서 지난해의 역대급 폭염과 가뭄이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글로벌 기후변화가 극과 극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어 주목된다. 7일 중국 중앙기상대에 따르면 전날 정저우, 우한, 창사 등의 낮 기온이 올해 들어 처음으로 25도를 넘었다. 이는 평년 같은 때와 비교해 12도나 높은 수치다. 특히 북방에 속하는 정저우는 28도까지 올랐고, 베이징도 23도를 기록해 3월 초순 날씨로는 2008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중앙기상대는 오는 9∼10일 정저우의 최고기온이 30도에 달해 여름 날씨를 보이는 등 일부 북방 지역은 3월 상순 기온으로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보했다. 예년보다 이른 고온의 날씨와 함께 일부 지역이 가뭄에 시달리는 등 작년에 겪었던 기후 재해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남서부 지역인 구이저우 일대는 지난해 연말부터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아 강과 저수지들이 바닥을 드러내 제한 급수가 이뤄지고 있다. 작년 중국은 창장(長江, 양쯔강) 유역을 중심으로 60여 년 만에 최악의 폭염과 가뭄이 이어져 식수난과 막대한 농작물 피해를 봤다. 중국 수력발전 기지인 쓰촨성의 전력 생산이 절반으로 줄
지난해 중국의 인터넷 이용자 수가 11억 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인터넷정보센터(CNNIC)가 최근 발표한 '제51차 중국 인터넷 발전 현황 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중국 네티즌 수는 전년 대비 3549만 명 증가한 10억 6700만 명을 기록했다. 전체 인터넷 보급률은 75.6%에 달했다. 보고서는 중국의 5G+산업 인터넷 발전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온라인 의료와 농촌의 디지털화 방면에서도 큰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 특히 중국의 온라인 의료 사용자 규모는 전체 네티즌의 34%를 차지하는 3억 6300만 명으로, 전년 대비 21.7% 증가했다. 리샤오둥(李曉東) 중국인터넷협회 부이사장 겸 푸시(伏羲)싱크탱크 창립자는 "지난해 중국 산업의 디지털화 발전이 가속화됐고, 인터넷 관련 기술과 응용 혁신이 공업∙교통∙의료∙교육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중국의 연례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兩會,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와 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가 4일 공식 일정에 들어갔다. 올해 양회는 이른바 '스파이 정찰 풍선' 문제와 러시아 무기 제공 의혹 등으로 미국과의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시진핑 3기 공식 출범이라는 상징성이 있다. 4일 오후 3시(현지시간) 양회의 시작을 알리는 정책 자문회의인 정협 전국위원회 회의(14기 1차)가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막을 올렸다. 정협 개막식에는 시진핑 국가주석 등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들과 정협 주석단 및 2100여 명이 참석해 정부 업무보고, 국가계획 및 예산 보고, 최고인민법원과 최고인민검찰원 업무보고 등을 청취했다. 중국의 국회격인 전인대는 5일 오전 개막식을 시작으로 13일까지 계속된다. 리커창 총리가 개막식에서 정부 업무보고를 통해 중국의 경제성장 목표를 비롯해 올 한해의 주요 정책 목표를 발표한다. 또 2900여 명의 전인대 대표들은 회의 기간 제20기 중앙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2중전회)가 마련한 정부 고위직 인사 문제와 각종 법안을 추인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 전인대에서는 시진핑 집권 3기 체제의 국정 운영을 법적·제도적으로 뒷받침할 각종
중국국가는 짧다. 1절이 전부다. 내용도 명료하다. 起来! 不愿做奴隶的人们! 把我们的血肉,筑成我们新的长城! 中华民族到了最危险的时候, 每个人被迫着发出最后的吼声。 起来! 起来! 起来! 我们万众一心,冒着敌人的炮火前进! 冒着敌人的炮火前进! 前进! 前进! 前进!进! 일어나라 ! (깨어나라!) 노예가 되고 싶지 않은 이들이여 ! 우리의 피와 살로 새로운 만리장성을 만들자 ! 중화민족이 가장 위태로운 이 때에 억압받는 모든 이들의 최후의 함성이 터져나오리! 일어나라! 일어나라! 일어나라! 우리 모두 한마음으로, 적의 포화에 맞서 전진하자! 적의 포화에 맞서 전진하자! 전진 ! 전진 ! 전진 ! 나아가자 ! 중국 국가의 별칭은 '의용군진행곡(义勇军进行曲)'이다. 1935년에 상하이에서 개봉된 영화 '풍운아녀(风云儿女)'의 주제곡, 즉 OST이다. 가사는 한 눈에 봐도 전투적이고 비장하다. 곡은 힘차고 울림이 장엄하다. 이런 내용과 느낌의 주제곡이 삽입된 영화라면 스토리가 어떠할지 감이 잡힌다. 영화가 개봉됐던 당시 시대 상황을 살펴보면 영화와 주제곡의 메시지가 더 명료해진다. 당시 상하이는 이미 영국, 미국, 프랑스 등 서구 열강들의 행정권과 치외법권이 보장된 조계지가 광
1966년 4월 16일 중국 공산당은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회의를 항저우(杭州)에서 개최한다. 이 자리에서 마오쩌둥(毛泽东)은 “우한(吴晗)의 문제는 그가 혼자가 아니라는 점에서 심각하다"라는 발언을 통해 문화대혁명의 불씨에 기름을 붓는다. 이 회의를 통해 문화대혁명은 중앙 무대에서 공식화됐고, 중국 전역으로 활활 타 들어갔다. 들불처럼 문화대혁명이 번졌지만, 아직 그 마화(魔火)가 누구를 향하고 있는지 저우언라이(周恩来) 등 중난하이(中南海)의 지도자들을 알지 못했다. 1966년 4월 9일부터 12일까지 3차례 연이은 서기처 회의를 통해 이미 마오쩌둥의 '해서파관(海瑞罷官)' 비판에 대한 의도가 명확해졌다. 우한의 비판에 대한 비판이 문제라는 것이다. 말 그대로 우한의 비판은 진정한 적을 불러내기 위한 유인책이었던 것이다. 이어 마오쩌둥은 1966년 4월 16일 항저우에서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회의를 연다. 이제 메신저 보이, 캉성(康生)이 아닌 마오가 직접 나선 것이다. 중국의 주인 마오쩌둥이 문화대혁명의 선봉이 되는 순간이었다. 이 회의에는 저우언라이를 비롯한 류샤오치(刘少奇), 덩샤오핑(邓小平), 예젠잉(叶剑英) 등이 참석했다. "나는 단
중국이 글로벌 유망 기술 37개 부문의 연구개발(R&D)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중국의 '기술굴기'가 갈수록 두드러진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는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2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호주전략정책연구소(ASPI)는 주요 유망 기술 부문 논문 수와 피인용 횟수 등을 분석한 결과를 담아 이런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중국이 우위를 보인 37개 부문 중 나노 물질 제조, 수소 전력, 합성 생물학, 초음속, 전기 배터리, 무선통신 등 8개 부문에선 거의 독점적인 위상을 차지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중국은 지난 5년간 첨단 항공 엔진 부문에서 발표한 영향력 높은 논문의 48.49%를 차지했다. 이는 최근 중국의 초음속 미사일 기술 진전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 보고서는 중국 연구 개발의 중추로 중국과학원을 지목하면서 "44개 부문 대부분에서 1위나 2위 기관에 들었다"고 설명했다. 중국과학원 선임 연구원 중 상당수가 미국· 영국·호주· 뉴질랜드·캐나다 등 영어권 기밀 공유 동맹인 '파이브 아이즈(Five Eyes)'에서 석사 및 박사 과정을 마쳤다며 해외 선진 지식의 유입을 중국이 경쟁 우위 요인
중국 국가통계국이 공산당 최대 정치 이벤트인 3월 양회(兩會,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인민정치협상회의)를 앞두고 '2022년 중화인민공화국 국가 경제 및 사회 발전 통계 공보'를 발표했다. 국가통계국은 공보 앞머리 성명서에서 “2022년 중국 경제는 성장을 유지하고, 혁신 주도의 발전이 더욱 심화하였으며 개혁과 개방이 꾸준히 추진되었다”고 밝혔다. 또 “인민 생활에 기반이 되는 고용, 식량 및 에너지 안보가 효과적으로 안정돼 사회주의 현대화 국가를 건설하는 새로운 여정에서 확고한 발걸음을 내디뎠다”고 평가했다. ▲ 1인당 GDP 8만 5698위안 (약 1633만 원) 중국의 지난해 국내총생산(GDP)은 121조 207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동부지역의 GDP는 62조 2018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2.5%, 중부지역은 26조 6513억 위안으로 4.0%, 서부지역은 25조 6985억 위안으로 3.2% 증가했다, 산업 부문별로 보면, 1차산업의 부가가치는 8조 8345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4.1%, 2차산업은 48조 3164억 위안으로 3.8%, 3차산업은 63조 8698억 위안으로 2.3% 증가했다. 1차산업의 부가가치는 GDP
중국이 "2035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화를 달성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현재 중국 당국이 전국에 세우고 있는 5G 기지국 수를 보면 그냥 구호에 그치는 계획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세계 최대의 5G 통신망이 중국 전역에서 가동되고 있다. 통신사들이 경비를 문제로 기지국 건설에 소극적인 한국과는 정반대의 모습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지난 27일 중국 국무원은 '디지털 차이나' 건설을 촉구하는 미래 디지털 성장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전면 촉진하는 데 중요한 디지털화에 박차를 가하면서 5세대 이동통신(5G), 사물인터넷(IoT), 데이터 센터, 슈퍼컴퓨팅 기술의 개발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이를 통해 2025년까지 디지털화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루고, 2035년까지는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국무원은 디지털 인프라와 데이터 자원이 해당 계획의 주요 토대이며, 중국은 디지털 혁신과 보안을 강화하는 동시에 경제, 거버넌스, 문화, 사회, 기업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IoT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5G 네트워크·기가바이트 광 네트워크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으로 올해 2분기부터 경제 회복이 본격화할 경우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경제 성장과 수출이 호전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중국 리오프닝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성장률은 지난해 3.0%에서 리오프닝 등의 영향으로 올해 5.0%까지 높아질 전망이다. 중국 성장률 2%포인트 상승의 한국 성장률 제고 효과는 0.3%포인트 안팎으로 추정됐다. 하지만 중국의 한국 중간재 수요 등이 줄어 중국 성장에 따른 수혜 정도가 과거 수준에는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됐다. 한은은 앞서 지난 23일 중국의 올해 성장률 예상치를 기존 4.5%(작년 11월)에서 5.0%로 올려 잡고, 이를 반영해 0.1%포인트를 우리나라 올해 성장률에 더했다. 중국 성장이 우리나라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 주로 대(對)중국 재화 수출과 중국 관광객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한은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내수 경기에 민감한 화학공업제품 등의 수출이 증가하고 시차를 두고 휴대전화·반도체 등 IT(정보기술) 제품 수출도 회복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관광객도 다음 달 1일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유전자증폭(P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