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대의 경제 지역은? 역시 광둥성이었다. 베이징의 방점은 정치도시, 상하이의 방점은 금융 중심 도시에 있고 광둥성은 중국에게 '세계의 공장'이라는 타이틀을 만들어 준 도시다. 중국은 지역 개발에서 지역 특색이 자연스럽게 발현되도록 했다. 광둥성은 아시아 최대의 교역항인 홍콩이 인근에 있어 이를 중심으로 광저우, 선전 등지에 제조업 중심의 공업단지를 중국 당국이 심혈을 기울여 개발했다. 광둥성은 현 시진핑 주석의 부친인 시중쉰이 덩샤오핑의 지지를 등에 업고 중국 개혁개방을 이끌어 낸 곳으로도 유명하다. 광둥성에 이어 중국 경제 규모 2위 자리는 장쑤성이 차지했다. 산둥성은 최근 중국 당국의 동북 3성 지역 개발에 힘입어 경제규모 3위를 차지했다. 중국 31개 성급 지역들이 양회(兩會,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앞두고 지난해 경제 성적표를 하나 둘 발표하고 있다. 지난 30일까지 발표된 지난해 중국 성급 지역 GDP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광둥성 2위 장쑤성 3위 산동성 4위 저장성 5위 쓰촨성 6위 허난성 7위 후베이성 8위 푸젠성 9위 후난성 10위 상하이 광둥(广东), 장쑤(江苏), 산동(山东), 저장(浙江) 등이 1~
중국 쑤저우시가 주택 구매 제한을 전편 철폐하여 주택 구매 시 면적 및 개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는 소식이 온라인에서 화제가 됐다. 중국 당국이 부동산 경기 부양을 위해 통제에서 지역별 부양으로 정책을 선회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중국 경제는 부동산 경기가 식으면서 침체에 대한 우려도 깊어지고 있다. 일단 네티즌들은 반기면서도 시장의 동향을 살피는 모습이다. 부동산이라는 게 개별 가계 입장에서는 워낙 투자 규모가 큰 탓이다. 시장 방향성이 결정되기 전에 쉽사리 투자를 했다가 손해를 보면 감당하기 어렵다. 30일 중국 현지 매체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쑤저우시는 신축 및 구축을 막론하고 더 이상 주택 구매 자격 심사를 하지 않지만 신축 부동산 매매는 2년 제한제를 그대로 유지한다. 30일 쑤저우시 주택도시농촌개발국은 "오늘부터 개수 제한 심사가 없으며 주맥 구매 자격도 따로 따지지 않는다"고 밝혔다. 쑤저우시는 지난해 9월 이미 구매 제한 규제를 완화했다. 120㎡ 이하의 부동산을 구매한 경우 타지 호적 보유자도 쑤저우 호적 보유자와 같은 대우를 하며 사회 보험과 개인 소득세를 납부하지 않아도 된다. 농촌에서 쑤저우시로 진입한 농민공, 청년, 신규 취업자 등이 부동
중국 도시 가운데 과학 기술 혁신 순위가 가장 높은 도시는? 상하이? 선전? 항저우? 광저우? 모두가 훌륭한 후보들이다. 하지만 1위는 베이징으로 꼽혔다. 베이징은 중국판 MIT로 불리는 칭화대가 있고, 특정 분야의 기술만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연구 대학들이 적지 않다. 이들의 힘이 모여 기술 혁신의 베이징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서우두(首都) 과학기술발전 전략연구원(CISTDS)'이 지난 28일 '2023년 중국 도시 과학 기술 혁신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지난해 중국 도시 과학 기술 혁신 순위에서 허페이시는 처음으로 Top 10에 진입했다. 1위 베이징(北京) 2위 선전(深圳) 3위 상하이(上海) 4위 쑤저우(蘇州) 5위 항저우(杭州) 6위 난징(南京) 7위 광저우(廣州) 8위 톈진(天津) 9위 우한(武漢) 10위 허페이(合肥) CISTDS는 ‘중국 도시 과학 기술 혁신 발전 지수 및 지표 체계’를 만들어 지급 이상 도시 288개의 과학 기술 혁신 수준을 평가했다. 이는 중국 도시 혁신의 새로운 모습을 그려낸 것으로 평가받는다. 해당 지표는 3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1단계는 자원 혁신, 환경 혁신, 서비스 혁신, 혁신 실적 등 4개의 세부 항목으로 이루
동일한 항공편의 동일한 클래스 좌석을 각기 다른 3개의 플랫폼에서 구매하였더니 가격이 모두 다르고, 심지어 차이가 930위안(약 17만 원)이라면? 고객입장에서 황당하기 그지 없는 일이다. 바로 항공권 유통의 문제다. 최근 중국 인민일보 위챗 공식 계정에 소개된 중국 한 누리꾼의 사연에 네티즌들의 관심이 폭주하고 있다. 해당 누리꾼이 온라인에 자신의 항공편 구매 경험을 공유하며 ‘빅데이터 차별(특정한 알고리즘으로 소비자에게 상이한 가격을 제시하는 것)’ 문제가 다시금 논란이 되었다. 3개 플랫폼 중 가장 높은 요금을 제시한 플랫폼은 대리업체의 가격 착오이거나 일부 계정에서 지나치게 많은 쿠폰을 적용한 경우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중국 네티즌들은 판매 주도권을 거머쥔 온라인 플랫폼들이 정보량이 적은 소비자를 대상으로 ‘빅데이터 차별’을 서슴지 않고 있다고 비난하고 있다. 베이징소비자협회(北京市消費者協會)가 최근 발표한 소비자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61.21%가 빅데이터 차별 문제가 각기 다른 유저가 누리는 할인이나 쿠폰 등에서 발생한다고 답하였고 45.76%는 플랫폼을 여러 번 검색하고 나면 가격이 자동으로 올라가 있다고 답했다. 또 36.92%의 응답
''고담 시티' 거의 매일 스모그로 자욱한 베이징시를 두고 한 말이다. 고담 시티는 영화 배트맨에 등장하는 도시다. 검은 하늘에 도시 자체가 제대로 보이지 않는 묘한 곳이다. 중국의 스모그 가득한 베이징시 모습이 마치 영화 속의 고담 시티 같다는 말이었다. 바로 10m 앞의 빌딩이 스모그 속에 사라졌다 다시 나타나는 게 바로 베이징시의 스모그였다. 빌딩이 눈앞에서 사라질 정도니, 사람이나 차량은 말할 것도 없다. 하지만 이런 중국에도 공기 맑은 도시가 있다. 가장 공기가 맑은 곳은 바로 쿤밍이었다. 중국 생태환경부가 지난해 중국 도시별 대기질 순위를 최근 발표했다. 대기질이 좋은 Top 10 도시는 다음과 같다. 1위 쿤밍(昆明) 2위 라싸(拉萨) 3위 장자커우(张家口) 4위 하이커우(海口) 5위 푸저우(福州) 6위 샤먼(廈門) 7위 황산(黄山) 8위 저우산(舟山) 9위 후이저우(惠州) 10위 리수이 (麗水) 지난해 12월 기준 중국 전역 339개 지급(地級)시 이상 도시에서 대기질이 양호한 일수는 81.9%로 전년 대비 1.3%p 하락했다. 대기질 심각이나 그 이상의 오염으로 나온 일수는 3.3%로 전년 대비 0.9%p 증가했다. PM 2.5(초미세먼지 기
캐비어는 푸아그라, 송로버섯과 함께 '서양 3대 식재료'로 알려져 있다. 값이 비싸고 검은색이라는 이유로 '블랙 골드'라고도 불린다. 캐비어는 일반적으로 특정 어종의 알을 염장한 것을 말하는데 특히 철갑상어 알이 최고로 꼽힌다. 캐비어 가운데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꼽히는 '오세트라'의 경우 보통 15그램에 6만 원가량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조사에서 중국이 세계 캐비어 시장 공급량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중국 현지 매체 제일제경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중국에 수백 개의 철갑상어 양식장이 운영되며 중국은 이미 세계 최대 캐비어 생산국이자 수출국이 되었다고 전했다. 특히 저장성 서부 취저우(曲州)의 한 마을은 세계 캐비어 생산 능력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중국 캐비어 업계의 선두주자로서 아시아 최대 규모의 캐비어 가공 공장을 건설한 '항저우 천도호(千岛湖 ) 철갑상어 기술'은 최근 수년 간 매년 두 자릿수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현재 캐비어의 연간 글로벌 수요량은 600~700t으로 판매가 정점에 이르렀던 1997년 2000t의 3분 1로 줄어들었다. 2000년 이전에는 캐비어 공급원이 주로 야생 철갑상어 낚시에 의
최근 중국 온라인에서 ‘향상사교(向上社交)'가 네티즌들의 주목을 끌고 있다. 한자 뜻으로 보면 무슨 말인지 쉽게 짐작이 된다. 위를 향해 사회적 교류를 하라는 의미다. 간단히 너보다 나은 사람과 사귀라는 뜻이다. 한국에서는 개발도상 시절, 지금의 86세대가 그들의 부모에게 자주 듣던 소리다. 간단히 공부 성적이 뛰어나고 잘 사는 집 친구를 사귀라는 조언이었다. 친구를 사귀어도 배울 점이 있는 친구를 사귀라는 전통적 유교 가치관을 현대 자본주의 식으로 변형한 것이다. 당시 한국 사회에서 이 같은 사고는 생활 실천 강목으로 대대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오늘날 중국도 다르지 않다. 이에 대해 일부 세태를 한탄하는 중국 네티즌들도 있지만, 대부분이 실천 강목으로 받아들여 생활하고 있는 듯 싶다. 오늘날 한국은 어떨까? 이제 실천 강목이 아니라 생활 DNA가 되지 않았을까? 25일 중국 현지 온라인 매체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향상사교'는 “자신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과의 관계 맺기”를 의미한다. 매일같이 온라인에 올라오는 대학입시 및 취업 성공 사례에 거의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용어다. 특히 중국의 많은 인플루언서들이 성공에 목마른 많은 이들을 구독자로 끌어모으기
애플 빼고는 전부 중국 업체였다. 지난 2023년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5위 이상의 실적이다. 삼성의 이름은 이제 중국 시장에서 그 존재감을 잃어가고 있다. 중국은 14억 인구가 전부 스마트폰을 가지는 나라다. 그만큼 시장 규모가 크다는 의미다. 실제 매년 3억 대 가량의 새로운 스마트폰이 출하하고 있다. 중국은 이 같은 스마트폰 기반을 이용해 글로벌 플랫폼들을 속속 만들어내고 있다. 중국 중심의 소비재 글로벌 공급망 구축이라는 큰 틀 속에서 데이터 보안까지 강화하며 자국 기업을 키우려는 중국 당국의 의도가 엿보이지만, 그래도 애플의 명성을 흔들지는 못하고 있다. 애플에 이어 글로벌 2위 업체인 삼성의 위상은 이미 바닥으로 향한 상태다. 2023년 중국 스마트폰 시장의 기상도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인터네셔널 데이터 코퍼레이션(IDC)'이 2023년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 순위를 최근 발표했다. Top 5 업체는 다음과 같다. 1위 애플 17.3%(시장 점유율) 2위 Honor 17.1% 3위 OPPO 16.7% 4위 vivo 16.5% 5위 샤오미 13.2% IDC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은 약 2억7100만 대로 전년 대비 5.0% 하
‘인민이 먹고 사는 문제만큼은 반드시 해결하겠다!’ 덩샤오핑은 개혁개방을 추진하면서 샤오캉(小康) 사회, 즉 모두가 편안하고 풍족한 생활을 누리는 나라를 공산당의 최우선 정책 목표로 제시했다. 공산당 창건 100주년인 지난 2021년 시진핑 주석은 중국이 샤오캉 사회를 전면 달성했다고 공언했다. 곡물, 즉 식량 생산 측면으로만 보면 이는 덩샤오핑이 제시한 목표에 정확하게 부합했다. 중국 농업농촌부가 23일 국무원 신문판공실에서 '2023년 농업·농촌 경제 결산'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날 발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곡물 생산량은 6억 9541만t으로 전년 대비 888만t(1.3%) 증가했다. 이는 9년 연속 풍작 기준인 6억 5000만t 이상이며 역대 최고 기록이다. 또 지난해 곡물 파종 면적은 총 119만㎢로 전년 대비 0.5% 늘었고, 1무(畝, 667㎡)당 평균 수확량은 전년 대비 2.9㎏ 증가한 389.7㎏을 기록했다. 31개 성급 지역 27곳의 곡물 생산이 증가했다. 지난해 중국의 곡물 수입량은 1.6억t으로 전년 대비 11.7% 증가했다. 주로 사료로 이용되는 대두는 전년 대비 11.4% 증가한 6641만t이 수입돼 곡물 수입량의 60% 이
중국 크로스오버 전자상거래(e커머스) 플랫폼의 발전이 눈부시다. 현재 중국은 글로벌 독자 공급망 시스템을 구축 중이다. 중국이 제조한 제품을, 중국 플랫폼을 통해 글로벌 소비자들에게 판매한 뒤 중국 중심의 물류망을 통해 각국 가정에 직접 배달한다는 구상이다. 이 구상은 이미 조금씩 실현되는 모습이다. 중국은 경제를 정치적 무기로 최대한 활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세계 각국이 소비재 대국 중국에 의존하게 되면 중국 없이는 국민생활의 안정을 담보하지 못하는 순간이 오게 될 수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중국 데이터 분석 기관인 data.ai가 발표한 '2024년 모바일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3년 글로벌 쇼핑 앱 다운로드 횟수 상위 1~4위는 중국 4대 크로스오버 전자상거래 기업인 테무(Temu), 쉬인(SHEIN), 알리 익스프레스(AliExpress), 틱톡 셀러(TikTok Seller)가 차지했다. 이들 4대 전자상거래 플랫폼은 최근 수년 간 중국내 탄탄한 공급망, 높은 가성비와 SNS 마케팅 전략 등을 통해 선진국 및 개도국 시장에서 점유율을 급속히 확대했다. 한국 전자상거래 시장의 경우 지난해 알리 익스프레스는 한국에서 가장 많은 다운로드 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