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베이징 유니버설 스튜디오, 1년만에 숙박 고객 80% 급증

 

'80%'

올해 여름 휴가 기간(7월 1일부터 8월 31일)사이 베이징 유니버설 스튜디오에 1박을 더 묵은 고객의 작년 동기 대비 증가세다.

베이징은 코로나19 재유행으로 봉쇄까지 당했지만, 억눌렸던 중국 소비자들의 '놀고 싶은 마음'까지 봉쇄하지는 못했다. 거의 보복 소비 수준으로 매출이 성장한 것이다. 

베이징 유니버설 스튜디오가 개관 1주년을 맞았다.

베이징 유니버설 스튜디오는 작년 9월 20일 개장했다. 많은 사람들이 개장을 기다렸지만, 코로나19 팬데믹이 절정이던 시기여서 과연 막대한 돈을 들인 테마파크가 성공할 수 있을까, 하는 우려를 낳았다.

하지만 개장 직후 테마파크 검색량에서 베이징 유니버설 스튜디오는 곧바로 1위에 올랐다. 베이징 권역의 코로나19 확산으로 잠시 휴업한 기간이 있었지만, 여전히 뜨거운 인기를 유지하고 있다.

주목할만한 것은 베이징 유니버설 스튜디오의 인기가 상승하면서 주변 숙박시설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1.5일 입장권 시스템이 숙박시설 이용 패턴을 바꾸었다.

베이징 당국의 조사 결과, 1.5일 입장권의 연쇄효과로 올해 여름 휴가 기간(7월 1일부터 8월 31일)에 1박을 더 묵은 고객이 작년 동기 대비 80% 증가했다. 베이징 유니버설 스튜디오 주변의 숙박시설 예약량은 작년 동기 대비 약 50% 증가했다.

안 그래도 베이징은 자금성 때문에 중국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꼭 가봐야 하는 관광지로 꼽히고 있다. 여기에 유니버설 스튜디오 효과까지 겹치면서 베이징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도 가장 붐비는 도시가 됐다. 

실제 중국의 여행 플랫폼 취날(去哪儿)에 따르면 베이징 유니버설 스튜디오 주변의 숙박시설에서 하룻밤을 더 투숙해 발생한 숙박비와 식사비 및 교통비를 합치면 1인당 최소 1500위안의 소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징 유니버설 스튜디오는 다음달 국경절(10월 1일) 휴가를 앞두고 많은 여행객이 예약에 나서 현재 판매되는 입장권 중 절반 이상이 국경절 휴가 기간의 입장권이라고 밝혔다. 예약 고객 중 베이징 현지 관광객 비중은 50%를 넘었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