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주택 공급 규모 10년간 27.4% 증가

 

1990년대 초반 한중 수교 직후 중국을 찾은 많은 이들이 놀라는 게 중국인들의 생활모습이었다. 그 넓은 땅을 두고 사는 집을 보면 대단히 좁았다. 

조밀한 모습이었지만, 그래도 그 많은 인구가 왜 그 넓은 땅을 두고 그리 좁은 집에 살까하는 의문을 지우기 힘들었다.

하지만 이 같은 모습이 최근 들어 거의 사라졌다. 

사실 누가 그렇게 궁핍하게 좁게 사는 걸 스스로 원했으랴. 생활이, 경제가 궁핍한 게 가장 큰 원인이었던 것이다.

개혁개방이래 중국의 생활공간은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최근 10여 년간 중국의 주택 공급 규모는 지속적으로 늘어나 주택 부족 문제가 점차 해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주택건설부(住建部)에 따르면 2020년 중국 성진(城镇)의 일인당 주택 면적은 38.6㎡에 달한다. 2010년에는 30.3㎡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10년 사이에 8.3㎡, 즉 27.4%가 증가한 것이다.

해당 통계에서 말하는 성진(城镇)은 중국의 도시와 읍을 모두 포함한 것이다.

데이터에 따르면 10년간 읍의 일인당 주택 면적은 10.26㎡가 증가했으며 증가폭은 32%이다.

10년간 도시의 일인당 주택 면적은 7.37㎡ 증가하여 증가폭이 25.2%이다.

성(省)을 기준으로 보면 시짱(西藏), 후난(湖南), 장시(江西), 허난(河南), 후베이(湖北), 광시(廣西), 장쑤(江蘇), 윈난(云南), 푸젠(福建), 산시(陕西), 안후이(安徽) 등 11개 성의 주민 일인당 주택 면적이 40㎡를 넘었다.

그 중 장쑤성과 푸젠성만이 동부연해에, 다른 9개 성은 모두 중서부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지난 10년간 중국 중서부 지역의 일인당 주택 면적이 대폭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시짱의 주민 일인당 주택 면적은 지난 10년간 15.8㎡ 증가했으며, 장쑤성은 12.5㎡ 증가했다.

도시가 발달할 수록 생활공간도 커지고 있는 것이다. 베이징만해도 그렇다. 과거 베이징의 중심지였던 2환 이내의 주택들을 보면 대단히 좁다. 좀 넓다 싶으면 청나라부터 이어지던 사합원을 쪼개고 쪼개서 공동 생활을 하는 게 일반적인 모습이었다. 

하지만 4환 밖의 베이징 주택들은 대단히 넓은 게 장점이다. 중국 베이징에서 부동산업을 하는 왕청(35)씨는 "베이징의 주택들은 4환 이상 외곽으로 나올수록 크고 좋다"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