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8월 중국 수출입 전년 대비 10.1% 증가

 

'10.1%'

올 1~8월 작년 동기 대비 중국 수출입 총액 증가폭이다. 올 상반기 중국은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해 광저우, 상하이, 베이징 등 주요 경제 도시들이 봉쇄를 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출물량 총액이 전년 동기 대비 10% 이상 성장한 것이다. 

일단 중국 경제 침체 정도가 글로벌 전망치보다 심하지 않을 수 있다는 신호여서 주목된다. 

중국 당국은 올해 5.5% 성장이 목표지만 연초 주요 경제 도시들의 잇따른 봉쇄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는 게 글로벌 시장의 컨센서스다. 

중국 세관총서 발표에 따르면 올해 1~8월 중국의 수출입 총액은 27조3000억 위안으로 작년 동기 대비 10.1% 성장했다.

수출은 14.2% 늘어난 15조4800억 위안, 수입은 5.2% 증가한 11조8200억 위안으로 집계됐다. 무역 흑자는 3조6600억 위안으로 작년 동기 대비 58.2% 증가했다.

일반 무역 수출입은 두 자릿수가 증가해 비중이 늘었다. 지난 8개월간 일반 무역 수출입은 14.1% 증가한 17조5500억 위안으로 대외무역 총액의 64.3%를 차지했다. 이는 작년 동기 대비 2.3% 증가한 수치이다. 가공 무역 수출입은 5조4800억 위안으로 3.5% 증가하여 20.1%의 비중을 차지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아세안, 유럽연합, 미국 등 주요 무역국의 수출입이 모두 증가했다.

지난 8개월간 아세안 국가와의 무역총액은 4조900억 위안으로 전체 무역 총액의 15%를 차지했다. 유럽연합은 3조7500억 위안으로 전체 무역총액의 13.7%를 차지했다.

미국과의 무역총액은 10.1% 증가한 3조3500억 위안으로 전체 무역총액의 12.3%를 차지했다. 한국과의 무역총액은 7.8% 증가한 1조6000억 위안으로 전체 무역총액의 5.9%를 차지했다.  

미중 갈등 속에도 미국과 교역규모는 더욱 커진 것이다. 사실 미국 기업들이 글로벌 경제 생태계에서 머리 역할을 하고 중국은 손발 역할을 하는 게 기존의 글로벌 공급망의 일반적인 구조였다. 그러던 것이 소비 중심의 미국 경제는 계속 적자를 거듭하고, 생산 중심의 중국 경제는 흑자를 거듭하자 양국 간 갈등의 골이 깊어졌고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새로운 화두로 떠오른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