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7월 중국 전자정보제조업 부가가치, 작년 동기 대비 9.8% 증가

 

중국은 거대한 경제가 연평균 5.5% 성장 목표에 근접하며 발전하는 나라다.

5.5%의 복리면 대략 10년이면 배가 된다. 지난 2021년 중국 국내총생산(GDP)은 114조 위안(약 2경1330조 원)을 넘는다. 

이 숫자가 현재 수준으로 경제 성장을 이루면 10년 뒤에는 228조 위안이 된다는 것이다. 

중국의 성장률만큼 각 분야의 성장도 이뤄진다. 다만 올해의 경우 중국은 연초부터 이어진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봉쇄 정책으로 경제에 막대한 타격을 입은 상황이다. 

글로벌 경제 전문가들은 올해만큼은 중국 당국이 성장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한 상황이다. 

현재 중국에서는 대략 1~7월 사이의 경제 성적표들이 나오고 있다. 일부는 전문가들의 분석과 부합하고 일부는 예상 외의 선전을 하고 있다.

대표적인 게 전자정보제조업이다. 

최근 중국 매체에 따르면 올 1~7월 중국 규모이상(规模以上) 전자정보제조업의 부가가치가 작년 동기 대비 9.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7월의 규모이상(规模以上) 전자정보제조업의 부가가치는 작년 동기 대비 7.3% 증가했다.

생활가전, 통신설비, 휴대전화 등을 포함하는 전자정보제조업의 부가가치 증가 속도는 공업과 첨단기술제조업을 각각 6.3%와 3.9% 앞섰다.

수출 규모 또한 지속해서 확대되었다. 올 1~7월 규모이상 전자정보제조업의 수출인도액(出口交货值)은 작년 동기 대비 7.1% 성장했다.

수출인도액은 기업이 생산하여 대외무역 또는 직영(위탁) 수출(홍콩, 마카오, 대만 포함)을 진행하거나, 외환 가격으로 결제하여 대량으로 판매하거나, 국내 또는 국경지대에서 대량으로 수출을 진행한 상품의 가치이다.

기업의 경영 수입 또한 안정적으로 성장했다. 올 1~7월 규모이상 전자정보제조업이 실현한 영업 수입은 8조2907억 위안으로 작년 동기 대비 7.9% 성장했다.

이 같은 전자정보, 즉 IT분야 제조업의 성장은 중국의 집중적인 육성에 따른 것이어서 다른 분야에도 같은 성적을 기대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중국은 새로운 경제 5개년 계획 구간에 진입하면서 AI(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의 IT 산업의 육성에 전력을 집중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