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
지난 7월 중국의 규모이상(规模以上) 공업 부가가치 증가분이다.
중국 당국은 매년 일정 규모 이상의 공업 부가가치를 측정해 발표하고 있다. 중국 제조업 등 산업 전반의 부가가치 증가를 살펴보는 지표다.
국가의 부는 이 부가가치의 증가분이 결정한다. 얼마나 높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수 있느냐가 한 국가의 현재 성장 수준을 보여주는 것이다.
사회의 각 분야 가운데 생산 관여 부분의 생산 가치라는 점에서 GDP의 정화인 셈이다.
중국의 이 수치가 지난 7월 작년 동기 대비 3.8% 증가했다.
1~7월의 부가가치는 작년 동기 대비 3.5% 증가했다. 부가가치의 증가 속도는 가격 요인을 제외한 실제 증가율이다.
중국은 올해 목표인 5.5% 성장을 달성하기가 어려워 보인다. 정부과 가계 부분의 부가가치가 최대 10%대 성장을 해야 국가 GDP가 5.5%에 이를 수 있어 보인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3대 업종으로 보면 7월 중 채광업은 작년 동기 대비 8.1%, 제조업은 2.7%, 전기·열에너지·가스·물 생산 및 공급업은 9.5% 증가했다.
경제 유형별로 보면 7월 국유 지주기업의 부가가치는 작년 동기 대비 5.4% 증가했고, 주식회사는 4.4%, 해외 및 홍콩·마카오·타이완 기업은 1.9%, 사기업은 1.5% 증가했다.
산업별로 보면 7월 41개 산업 중 25개 산업의 부가가치가 작년 동기 대비 성장했다. 증가폭은 석탄 채굴 및 세광업 11.0%, 석유 및 천연가스 채굴업 4.5%, 술·음료·정제차 제조업 10.8%, 화학원료 및 화학제품 제조업 4.7%, 비철금속 제련 및 압연 가공업 2.3%, 특수설비 제조업 4.0%, 자동차 제조업 22.5%이다.
한편 농산물 가공업은 0.8%, 방직업은 4.8%, 비금속 광물 제품업은 3.8%, 철화합물 제련 및 압연 가공업은 4.3%, 일반 설비 제조업은 0.4% 감소했다.
품목별로 보면 7월 617개 품목 중 250개의 생산량이 작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 자동차가 31.5%, 발전량(发电量)이 4.5% 증가한 반면 철강재는 5.2%, 시멘트는 7.0%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