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인공지능 핵심산업 규모 4000억 위안 돌파... 인공지능과 실물경제 융합 가속화

 

'4000억 위안'

대략 77조 원 규모다. 중국의 올 6월 현재 AI(인공지능)관련 산업 규모다. 중국은 정부 차원에서 AI산업 육성에 나서 매년 관련 산업 규모를 따로 점검하고 있다.

중국 당국의 이 같은 노력에 힘입어 중국의 AI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그 속도 역시 다른 나라의 부러움을 살 정도로 빠르다. 특히 중국은 세계 최대의 빅데이터 생산국가다. 이 같은 장점을 바탕으로 중국 당국은 AI 산업을 중심으로 한 4차 산업 혁명을 이뤄낸다는 복안이다.

최근 중국 공업정보화부가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6월말 현재 중국의 인공지능 핵심 산업 규모가 4000억 위안(약 77조 원)을 넘어섰고 기업도 3000개 이상으로 많아졌으며 기초, 기술, 응용 수준을 아우르는 산업 사슬이 완성단계에 이르렀다.

특히 중국의 인공지능 핵심 산업의 규모가 4000억 위안을 넘어선 것은 2019년 동기 대비 6배나 증가한 수치다. 또 인공지능 핵심 기업이 3000개를 넘어선 것은 2019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것이다.

중국 당국 관계자는 "중국의 인공지능과 실물경제의 융합은 적극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주요 산업에서는 이미 인공지능을 응용해 산업의 각종 솔루션을 구축하고 있다"고 자평했다.

중국 당국 관계자는 "중국의 인공지능 핵심 산업의 규모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며 "무엇보다 드론, 음성인식, 영상인식 등 분야에서 다양한 선도 기업과 브랜드가 생겨났다"고 말했다. 또 "스마트 로봇, 스마트 자동차, 가상현실 등 새로운 분야에서도 많은 기업이 빠르게 발전했다"
고 밝혔다.

중국 AI 산업 분야의 이 같은 빠른 발전은 중국 인터넷 발전에 기반한 것이다. 중국은 세계 최대규모의 인터넷 기반을 자랑하고 있다. 10억 명에 이르는 인터넷 이용자들은 매일 수천조 단위의 빅데이터를 생산해 내고 있다. 

본래 AI는 빅데이터를 통한 심화 학습이 중요하다. 중국 당국 이에 신형 인프라 구축에 더욱 힘쓴다는 방침이다. 

올해 6월 말까지 중국의 5G 기지국 수는 185.4만 개이며 대형 공업 인터넷 플랫폼은 150개에 달했다. 전국적으로 데이터 센터 등 공공 서비스 플랫폼 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서비스의 질이 향상되고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