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현급행정구역(县域) 가운데 43곳 GDP 1000억 위안 돌파

 

'43곳'

중국 현(县) 가운데 지역총생산(GDP)가 1000억 위안(19조3700억 원)이 넘는 곳의 숫자다. 

중국 행정구역 체계는 크게 1급 성급 행정구(省级行政区), 2급 지급 행정구(地级行政区), 3급 현급 행정구(县级行政区), 4급 향급 행정구(乡级行政区)로 구분된다. 

3급 현급 행정구 가운데 총생산이 1000억 위안을 넘는 곳이 40곳을 훌쩍 넘어선 것이다. 중국 경제 규모가 갈수록 커지고 있어 주목된다. 

특히 현 단위 행정구역은 도시가 아닌 농촌에 많다. 이들의 경제 규모가 커진다는 것은 중국 사회가 경제적으로 그만큼 안정화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무엇보다 중국 당국이 그토록 희망하는 도농 격차가 줄어들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2022현역경제창조발전포럼'에 따르면 중국의 100대 현급 행정구역(县域) 중 GDP가 1000억 위안이 넘는 곳이 43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급 행정구역은 중국 경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는 요소 중 하나다. 2011-2020년, 중국의 현급 행정구역은 1996개에서 1871개로 줄었다. 인구 수 또한 9억5256만 명에서 8억9076만 명으로 감소해 총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0.0%에서 63.1%로 내려갔다.

하지만 GDP는 24조1000억 위안에서 39조2000억 위안으로 2011년보다 1.6배 증가했다. 전국 GDP의 38%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다. GDP가 1000억 위안 이상인 곳은 2011년 5개에서 2021년 43개로 증가했다.

현급 행정구역의 GDP가 크게 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1인당 공공시설 투자 비용은 2급 지급(地级) 행정구 이상 도시의 2분의 1이며, 1인당 평균 지출은 지급 이상 도시의 3분의 2에 불과했다.

현급 행정구역의 경제를 발전시키는 것은 각 산업의 기초를 다지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으며, 중국의 소비와 투자를 증가시키는 핵심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당국의 현급 행정단위 경제 규모 확대에 아직 여지가 많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전문가들은 중국 경제 규모가 갈수록 커지고 있어 이웃한 한국 입장에서는 기회이자 위기라고 지적하고 있다.

시장이 커지는 것은 분명 공산품 공급망에서 한 단계 위인 한국에게 기회이지만, 자체 산업규모를 갖추면서 중국 경제가 내수산업 위주로 돌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