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틱톡과 아이치이 협업 계약 체결

 

세계에 '숏폼' 영상을 유행시킨 틱톡이 아이치이(爱奇艺)와 손을 잡고 긴 영상 시장에 도전장을 냈다. 

그동안 일반적인 동영상은 유튜브가 장악해왔다. 틱톡은 숏폼으로, 그 틈새를 파고 든 뒤 정식으로 유튜브에 도전장을 내민 것이다. 

반면 유튜브는 숏폼 영상을 강화하며 틱톡이 만든 틈새를 채우려 노력해왔다.

틱톡은 과연 유튜브가 장악한 세계 영상 시장에서 다시 한번 새로운 고지를 점령할 것인가? 아니면 유튜브가 아예 틱톡을 몰아내고 글로벌 영상시장의 독점적 지위를 유지할 것인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 아이치이(爱奇艺)와 중국 틱톡이 손을 잡았다. 긴 동영상 콘텐츠의 2차 창작과 확대 등을 중심으로 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계약에 따르면, 중국 틱톡이 아이치이의 콘텐츠 중 정보 네트워크 송신권과 2차 라이선스가 있는 긴 동영상 콘텐츠를 쇼트 클립으로 2차 창작할 수 있다. 편집과 관련해서는 구체적인 협약을 추진할 예정이다.

지난 몇 년 간 중국에서는 틱톡, 콰이쇼우, 시과쓰핀 등 쇼트 클립 플랫폼이 고속 성장 중이다. 아이치이와 틱톡이 협업하는 것처럼 여러 형식을 통해 콘텐츠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플랫폼의 형식도 더욱 발달하고 있다.

2021년 12월 쇼트 클립 MAU(Monthly Active Users, 한 달 동안 해당 서비스를 이용한 순수한 이용자 수)를 살펴보면, Top 5 플랫폼의 MAU는 콰이쇼우를 제외하고 모두 작년 대비 증가했다. 특히 틱톡 이용자 수는 6억7200만 명으로 전년도 5억 명 보다 크게 증가했다.

아이치이와 중국 틱톡의 협업은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어내 더 많은 이용자를 유입하고, 이용자들이 틱톡의 쇼트 클립을 본 뒤 아이치이에서 원작을 시청하는 구도가 구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간단히 숏폼으로 영화의 트레일러 역할을 하겠다는 것이다. 과연 숏폼이 영화의 미리보기 처럼 소비자들의 판단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해낼지, 아이치이가 유튜브 내 수많은 동영상 제작자처럼, 최소한 넥플리스와 같은 역할을 해낼지가 성패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중국 아이치이는 그동안 동영상에서 선전을 했지만, 그 것은 중국 당국이 만리방화벽으로 보호하고 있는 중국 인터넷 내에서의 성과였다"면서 "글로벌 시장에서도 통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