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종합시범구 132곳 설립

'132개'

중국이 최근 허가한 온라인 전자 상거래 수출입 가능 구역 수다. 이들 구역은 총 6개 묶음으로 나뉘어 단계별로 허가됐다. 이들 지역에서는 상품을 전자 상거래를 통해 자유롭게 수출하고 수입할 수 있다.

중국이 수출입 전문 전자 상거래 회사를 육성하고 나서 주목된다.

자칫 아시아 전자 상거래 플랫폼 주도권을 중국이 선점할 수 있어 한국 정부의 전략적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은 최근 정책 정례 브리핑을 개최하고 '전자상거래 수출입 회사 육성 계획'을 밝혔다.

이 계획에 따르면 국무원은 이미 전국에 132개의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종합 시범구를 6차례 걸쳐 설립했다. 올해 1분기 중국 전자상거래 수출입액은 4345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0.5% 증가했다. 1월부터 4월까지 시장조달무역 수출액이 2600억 위안을 넘어 동기 대비 5.7% 증가했다. 해외창고의 수와 규모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현재 해외창고의 면적은 1600만 평방미터를 넘어섰고 그 중 90%가 북미, 유럽, 아시아에 위치하고 있다. 한국에는 2,000개 이상의 대외무역 종합서비스 기업이 있다.

국무원은 지원 정책을 개선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국경 간 전자 상거래 수출 반품 및 교환을 가능한 한 빨리 촉진하고, 자격을 갖춘 국경 간 전자 상거래 기업이 첨단 기술 기업을 사용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 및 조치를 도입 할 것이다.

특히 전반적으로 실물 경제를 지원하는 국경 간 위안화 비즈니스의 능력은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국경을 넘는 위안화 거래액은 2조60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했다.

한국 전자상거래 업계 한 관계자는 "전자 상거래 시대가 되면서 국경이 사실상 무의미해지고 있다. 유일하게 언어가 문제인데, 이제 자동 번역기능으로 그 마저 벽이 낮아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어느 나라가 어떤 제도를 운영하느냐 향후 미래 전자상거래 시장의 주도권을 쥐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정부의 규제 개혁이 절실하다는 의미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