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지난 10년간 유아 교육에 1730억 위안 투자...올해 전년보다 10% 늘려.

'1730억 위안'

32조 8,924억 9,000만 원 가량이다. 중국이 지난 10년간 유치원 교육에 쏟은 예산이다. 

적지 않지만 중국 규모로 볼 때 크다고 하기도 그렇다. 

중요한 것은 금액이 갈수록 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이 인구 확산을 위해 아이 부양을 적극 지원하고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유아 교육을 위해 2022년 발전자금 230억 위안 지출을 의결했다. 이는 전년보다 30억 위안, 15% 는 수치다.

당국은 이 예산을 유아 교육 사업을 위해 사용할 예정이다. 

크게 네 부문으로 구성돼 있다. 우선 통합 자원 공급 확대 지원,이다. 공공어린이집 신·개축 지원, 민영단지 육성 지원 등에 쓰인다.

이어 지방의 통합 유치원 교육을 위한 자금 조달 메커니즘을 개선하고 공공 공원의 학생 1인당 재정 책정 기준 또는 학생 1인당 공적 자금 기준 및 통합 사설 공원에 대한 보조금 기준을 마련하도록 지방 정부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 지방자치단체의 영유아 보조금 체계를 공고히 하고 경제적으로 취약한 가정, 고아, 장애아동의 취학 전 교육을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통합유치원의 여건 개선을 지원하고 적절한 놀이도구와 그림책을 구비하여 교육의 질을 향상시킨다. 자금을 배정할 때 농촌 활성화를 위한 주요 현에 우선권을 부여한다. 동시에 빈곤 지역의 유치원 교육에 대한 지원을 계속 확대한다.

그동안 중국은 교육부 및 기타 부처와 함께 통합 교육 자원 확대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지역에서 유치원 교육 실행 계획의 시행을 지원했다.

통계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중앙 정부는 유치원 교육의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총 1730억 위안을 배정했으며, 이는 지방 정부가 투자를 늘리고 유치원 교육의 발전을 가속화하도록 유도한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합동 노력으로 전국 유치원 3년 총 취학률은 2010년 56.6%에서 2021년 88.1%로 높아졌고 통합유치원의 적용률은 87.78%에 달한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