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억5100만 대'
지난 2021년 중국에서 생산된 스마트폰 케이스 숫자다. 스마트폰이 일상화하면서 액세서리인 케이스 역시 일상용품이 되고 있다.
그 숫자도 숫자지만 갈수록 고급화해 주목된다.
젊은이라면 적당한 시점에 바꿔주는 게 유행이다. 뒤처지지 않으려면 더 자주, 더 세련되게 바꿔줘야 한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중국 스마트폰 케이스 시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보도에서 한 중국 매체는 다음과 같이 단언했다.
"요즘 핸드폰 케이스는 젊은 층이 자주 바꾸는 독특한 액세서리가 되고 있다. 이는 젊은이들의 심리적인 시대적 변화이며, 어떻게 케이스 시장의 "장사"를 잘 읽어야 할지는 많은 기업들이 생각하는 문제이다."
스마트폰 케이스 시장의 디자인 변화 추세 등을 보면 젊은 소비자들이 보이고, 다른 사업에도 이 같은 젊은 소비자들을 겨냥한 매출 전략을 짤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중국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스마트폰 케이스는 이제 필수 부품이다. 한 매체의 집계에 따르면 중국에서 지난 2021년 출하량은 3억5100만 대로 집계됐다.
케이스는 휴대폰을 보호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장식, 심미적 기능까지 담당한다. NPD그룹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자의 75% 이상이 케이스를 사용하고 25% 이상이 케이스를 두 개 이상 구매한다.
케이스라는 작은 패션 아이템을 통해 젊은 층의 생활 태도를 엿볼 수 있다. 심플한 케이스, 만화풍 케이스, 계절별, 명절에 맞춰 바꿔주는 폰케이스 등 즐길 수 있는 시장도 있다.
결국 맞춤형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다른 기업과 동질화를 피해야 '케이스 열풍'이 지속될 수 있다. 한마디로 케이스의 개별화가 트렌드인 만큼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맞춤형 케이스를 선호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티몰, 타오바오, 징둥처럼 많은 소비자가 몰리는 온라인 쇼핑몰은 실제 소비 트렌드에서 사용자의 취향, 정서, 수요를 더욱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