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홈트 열풍으로 스포츠 AI 인기, 장애인 이용자 75만 명

 

중국에서 장애인들의 운동을 돕은 AI(인공지능) 운동 플랫폼 'AI 장애없이 운동해요'가 등장해 인기다. 이미 장애인 75만명이 가입해 운동에 도움을 얻고 있다.

출시는 지난해 됐다. 그보다 앞서 코로나19 팬데믹과 함께 출시된 'AI 스포츠'라는 플랫폼에 장애인 이용 기능을 더한 것이다. AI 운동원이 개별화된 운동 조언 등을 해주는 방식이다. 혼자하기 힘들고 트레이너가 붙으면 가격이 비싸진다는 점을 AI기술로 대체하면서 해결한 것이다. 

사실 코로나19로 모두가 집에 갇히게 되면서 특히 운동 분야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들의 격차가 더욱 벌어졌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비장애인들을 위한 각종 홈트(홈트레이닝) 플랫폼과 기구들이 등장했지만 장애인들을 위한 제품이나 서비스는 거의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장애인의 운동을 돕는 AI 운동 플랫폼이 중국에서 등장해 호평을 받고 있는 것이다. 

한국의 경우는 어떨까? 

더불어 잘 사는 '공동부유'를 국정 기조로 삼은 중국에서는 장애인 운동을 돕는 플랫폼이 나왔지만 아직 한국에서는 등장 소식이 들리지 않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장애인을 돕는 AI 운동 플랫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상위 3개의 동작이 '딥 스쿼트', '스트레이트 암 잭', '스쿼트 잭'이라고 전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