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5일은 우리의 한식날이다.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고 불에 데우지 않은 차가운 음식을 먹는 날이라고 해서 한식날로 불린다.
중국에서 이날은 칭밍제(淸明節)라고 한다. 풍습은 우리와 그 뿌리가 같다. 이름만 다를 뿐이다.
칭밍은 24절기의 하나다. 춘분과 곡우의 사이다. 양력 4월 5이나 6일쯤이다. 동지 후 105일 째 되는 날이다.
한식은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4대 명절의 하나다. 칭밍제 다음 날이거나 같은 날이 된다.
올해 칭밍제 때 중국에서 온라인을 통해 조상의 묘를 찾은 이들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민정부(民政部) 자료에 따르면 올해 칭밍제 연휴(4월 3~5일) 기간에 현장 성묘객은 1754만 명이었다. 전년 대비 74% 감소한 수치다. 대신 온라인 성묘객은 2156만 명으로 전년 대비 192% 증가했다. 중국 대도시를 강타한 코로나19 방역 봉쇄의 영향으로 온라인 성묘객이 급증했다는 분석이다.
한식에 찬 음식을 먹는데는 춘추전국시대 진나라 개자추의 고사가 있다. 개자추는 진나라 문공을 살린 공을 세웠지만 문공이 제대로 대접을 해주지 않자 어머니를 모시고 면산에 들어가 은거를 한다. 뒤늦게 이 사실을 안 문공이 개자추를 찾았지만 개자추는 만나주지 않았다.
문공은 개자추를 산에서 나오게 하려고 산에 불을 지른다. 하지만 개자추는 끝까지 나오지 않고 불에 타죽고 만다. 문공은 그를 애도하는 뜻에서 불을 금하고 찬 음식을 먹었다. 이게 전통이 오늘까지 이어져 한식에 불을 피지 않는다는 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