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2021년 엥겔계수 20%대 진입, 전년 대비 하락...GDP 8.1% 성장

'8.1%'

중국 국내총생산(GDP) 전년동기 대비 증가세다.

코로나 봉쇄를 통한 반응을 이뤄냈다. 코로나 기저효과를 살피기 위해 코로나로 인해 경제가 크게 위축됐던 2020년을 더해 2년 평균으로 보면 5%대 성장을 이뤘다.

이는 중국이 추구하는 연 5% 성장세 목표를 꾸준히 달성하고 있다는 의미여서 주목된다.

현재 중국에서는 올 한 해 경제 계획을 확정하는 양회를 개최하고 있다. 올해는 지난 5년을 마무리하는 회기여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과거의 경우는 차기 지도부를 결정하는 하반기 당대회의 여러 면모를 짐작케 하는 변화들이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올해의 경우 시진핑 주석의 연임이 확실시 되면서 이 같은 움직임은 없다.

다만 시진핑 지도부의 경제 등 국정 운영의 방점이 어디에 찍히는지가 최대 관심사다. 그래서 양회가 진행되면서 중국의 경제 수치들이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GDP는 최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했다.

발표된 잠정치에 따르면 연간 GDP는 114조 367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8.1% 증가했다. 이는 평균 5.1% 증가한 것이다.

연간 1인당 GDP는 80,976위안으로 전년 대비 8.0% 증가했다. 국민총소득은 1133518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7.9% 증가했다. 총 노동 생산성은 1인당 146,380위안으로 전년 대비 8.7% 증가했다.

수요 구조는 계속 개선되었다. 경제성장에 대한 국내 수요의 기여도가 지배적이다. 2021년 국내 수요의 경제성장 기여율은 79.1%, 이 중 최종소비지출 기여율은 65.4%로 전체 자본조성보다 51.7%포인트 높다. 소비 구조는 계속 업그레이드되었다.

2021년 국민 엥겔 계수는 29.8%로 전년 대비 0.4%p 하락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