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국정 신뢰도가 91%라고?...중국 국정 신뢰도의 진실은?

미국을 비롯한 한국, 일본 등 50% 미만
학자들, "언론 통제가 그만큼 심하다는 것"

국정 신뢰도 91%

국민 10명중 9명꼴로 정부 정책에 대해 신뢰하고 있다는 의미다. 엄청난 정부다.

어딜까?

중국이다. 국정신뢰도로는 세계 1위다. 순간 많은 독자가 ‘엉?’하고 만다.

‘어떻게 중국의 국정신뢰도가 이렇게 높지?’

놀라서 찾아보니 조사한 곳은 중국이 아니다. 미국의 단체다. 미국에 본부를 둔 에델만이 세계 각국의 현지 국민들을 설문조사한 결과다.

에델만은 이 같은 조사를 22년째 이어오고 있다. 조사 방법은 온라인 설문조사이며 이번 조사는 지난해 11월 세계 3만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아 그럼 믿을 수 있네.’

정말 그럴까?

 

이 좋은 소식을 중국 당국이 그냥 지나칠리 만무하다.

환추스바오, 런민르바오, 신화통신 등 정부 기관들이 운영하는 기관지들이 대대적으로 보도를 했다.

중국 외교부도 나서 한마디 했다.

“중국 공산당의 ‘하면 한다’는 국정 운영 철학이 반영된 것이다.”

 

그러자 전문가들이 공식적인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다.

학문적 근거까지 제시하고 나섰다.

‘언론통제가 심한 나라일수록 국정지지도가 높다’는 것이다.

“중국의 언론 탄압에 중국에서 설문조사 결과는 대단한 제약이 있을 수밖에 없다.”

성토마스대학의 언론학자 예야오 교수의 말이다.

그는 계속 다음과 같이 분석한다.

“언론 탄압의 상황에서 중국 민중은 진실을 말하기보다 비교적 안전하다고 느끼는 답을 할 수밖에 없다. 또 다른 면에서 언론탄압이 강한 나라일수록 국민들이 접하는 해외 정보가 한정돼 있어 상대적 평가를 할 수가 없다.”

 

실제 이 같은 사실은 에델만의 조사결과 자체에서도 찾을 수 있었다. 중국 외 아랍에미리트 연합, 사우디아라비아 등의 국정 신뢰도가 70% 이상을 차지했다.

반면 한국, 일본 등 아시아에서도 언론 자유도가 높은 나라에서는 국정 지지도가 50%에 미치지 못했다.

 

학자들은 중국 등의 인터넷 보급률이 낮으며 통제 정도가 심하다는 문제도 지적됐다.

실제 중국에서는 설문조사를 하기 위해서 중국 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 사실만으로 중국 당국에 대한 평가 설문조사는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에델만은 자체 조사를 위해 중국 당국의 허가가 필요했다는 사실을 언급하지는 않았다.

 

단 국정지지도가 이처럼 높은 중국에서 중국 상품 브랜드에 대한 신임도는 34%에 뚝 떨어지고 있었다. 이는 캐나다 65%, 미국 53%에 비해 크게 낮은 수치다.

무엇이 중국인들의 자국 상품에 대한 신임을 거둬갔을까? 중국 정부는 입을 닫았지만, 많은 해외 학자들은 고개를 끄덕인다.

말 할 필요도 없다는 뜻인가?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