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외교부, 자국 학생 비자 거부한 미국에 강력 반발



중국이 자국 유학생의 미국 비자 발급이 거부됐다면 강력 반발했다.
중국 외교부의 자오리젠(趙立堅) 대변인은 6일 자국 유학생에 대한 비자 거부 조치와 관련, "미국에 엄정한 교섭을 제기했다"고 말했다.
자오리젠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인문교류는 중미관계의 기초이고, 학술교육과 과학기술 교류는 인문교류의 중요한 부분"이라며 "비자 제한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의 악습을 지속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이번 조치는 중국 유학생들의 권익에 심각한 손해를 끼치고 양국 인문 교류와 교육 협력을 파괴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은 '엄중한 교섭'이란 용어를 특정 사안에 대해 외교 경로로 항의한 경우 사용한다. 공식적인 항의이고 이에 대한 대응을 봐 맞대응 할 수도 있다는 의미다.
앞서 미국은 최근 중국인 유학생 500여 명에 대해 대통령령 10043호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비자 발급을 거부했다. 대통령령 10043호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해 5월 미국의 민감한 기술과 지식재산권을 빼내려는 중국의 시도를 저지해야 한다면서 내놓은 포고령이다.
일부 중국인 유학생과 연구자의 미국 입국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겨있다. 미국의 이 같은 조치는 미국 내 중국 유학생들이 지나치게 자국 이익만을 위해 일하고 있다는 지적 끝에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실제 중국 당국은 유학생 등 학술활동을 빙자에 미국내 간첩활동을 한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자오리젠 대변인은 미국 당국의 조치가 "미국이 말하는 개방과 자유 등의 이념과도 완전히 상반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각종 핑계로 중국인 유학생을 억압해서는 안 된다"며 "그들의 합법적 권익을 보호하고 중미 인문교류와 교육협력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