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공자학원에 대한 반발 세계 곳곳에서 확대

 

미국, 유럽에 이어 한국과 일본에서도 중국 공자학원에 대한 반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자금 지원을 받는 공자학원은 중국 언어와 문화를 알리는 기관으로 2004년 서울 강남에 처음 등장한 이후 지금까지 160여 개국에 500여 곳이 문을 열었다.

미국과 유럽, 호주 등지에서는 예전부터 공자학원이 중국 정부의 선전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돼왔다.

또 공자학원이 둥지를 틀고 있는 현지 대학의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고 있으며, 심지어는 간첩 활동을 한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0일 공자학원 1호가 세워진 곳이자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22개의 공자학원이 있는 한국에서 보수단체들이 공자학원에 대해 중국 정부의 '세뇌 도구'라고 공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SCMP는 지난 2일 서울 중국대사관 앞에서 한 시민단체가 한국과 미국 국기를 흔들면서 공자학원 추방을 촉구하는 시위를 펼쳤다고 소개했다.

한국에서 관련 운동을 펼친 전 문화체육관광부 공무원 출신의 한민호씨는 "공자학원은 간첩세력"이라고 못 박아 규정한다. 일견하기에 지나치다 싶지만 한 씨의 의지는 확고하다. 안보차원에서도 공자학원을 이 땅에서 철수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내 대학에서 공자학원을 운영하는 한 중국 교사는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한편, 일본에서는 교육당국이 공자학원에 대한 조사에 나설 예정이다.

일본 문부과학상은 지난달 미국과 유럽에서 공자학원의 폐지나 정보공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며 일본 내 14개 공자학원에 대한 조사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공자학원의 취지는 나쁘지 않다. 문제는 그 운영이다. 과연 세계 곳곳의 공자학원은 그 명맥을 유지할 것인가? 

중국 당국의 노력에 달려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중국 당국이 그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한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