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샤오미, 미국의 블랙리스트 지정에서 해제

 

중국 가전업계의 중저가마케팅의 총아인 샤오미 ( 小米)가 지난해 트럼프시절 미국수출금지대상의 블랙리스트명단에 포함된 것에서 벗어날 것이 확실시 되는 가운데, 화웨이등 많은 중국기업들에 대해 내려졌던 각종 제재들이 풀리면서, 미 중간 무역의 새로운 국면이 전개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미국 법원이 지난해 트럼프 임기 말에 행해진 샤오미에 대한 블랙리스트지정이 부당한 조치였다는 판결을 최근 내렸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미 국방부도 법원의 판결에 따라 곧 해제를 위한 행정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같은 미국 행정부와 사법부의 입장변화는 , 바이든체제 이후 미국이 중국과의 새로운 무역질서를 설정할 수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지면서, 트럼프 임기 중반부터 지금까지 2년 넘게 캐나다에서 재판을 진행중인 화웨이 문제등도 조만간 해결의 실마리가 풀릴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고 신랑커지등 중국 경제매체들이 보도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이같은 기대는 속단일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최근 바이든 신임대통령이 취임후 화웨이에 대한 미국당국의 제재기간을 연장하는데 서명했었다는 소식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 코로나 백신접종으로 미국내 코로나19 판데믹이 안정세로 접어들면서, 미국도 대중관계에서의 경색국면을 완화할 필요가 적지 않다는 관측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이에 대해 중국 외교부는 어제, ' 미국이 중국 화웨이등 첨단기업들이 미국의 안보를 해치고있다는 주장은, 근거도 없는 구실찾기에 불과하다면서, 공정한 경쟁을 억압하는 이와 같은 주장은 결국 미국기업의 발전과 확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는 정치적 주장' 이라며, 조속한 억압해제를 촉구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