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코로나19로 중국에서 피트니스 왕홍 사이트 인기

 

2015년 이후, 소득이 증가한 중국인들이 요가교실이나 체육관등을 찾아 체력과 몸매등 건강관리하는 트렌드가 널리 퍼진 가운데, 지난해 부터는 코로나19를 맞아 그동안의 오프라인 교습이 온라인 동영상시스템으로 대체되면서, 중국에서는 하루에 약 2천만 명이 온라인동영상 플랫폼을 방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트렌드계의 유명웨이보인 션샹 ( 深响 )은 , 지난 달말 현재 자택등에서 유명 트레이닝 브랜드샵의 온라인 홈페이지 동영상서비스에 접속하거나, 동영상 숏클립 앱인 콰이쇼우 ( 快手)등을 통해 체력등 건강관리를 하는 이용자 수가 하루에 2천만 명 이상이라는 보고서를 게재했다.

 

즉 이 말은 , 과거 오프라인 피트니스 사업이 집합금지등의 조치로 인해 심각한 영향을 받으면서, 피트니스 산업 전체가 그동안 빠르게 온라인으로 변신할 수 밖에 없는 트렌드가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변화에 편승해,  특히 개인 트레이너들이 휴대폰의 동영상 숏클립 앱을 통해 무한한 시장을 열어가고 있다는 뜻이다.

 

 

션샹웨이보가 개인 트레이너가운데 유명인사로 소개한  웨이샤오웨이 (为小伟) 나 청라오쉬 ( 程老师 ) 같은 여성 피트니스 왕홍( 网红 、인터넷 스타) 들과 쉬져 ( 许哲) 같은 남성 피트니스 왕홍등 개인사이트들의 방문자 수입은 이미 상상을 초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여기에 그치지 않고, 유명 피크니스 왕홍들은 나아가, 방문자들에게 피크니스와 체력관리에 필요한 기구는 물론 영양제를 비롯한 푸드, 그리고 피부관리제품과 화장품까지를 판매하는 종합쇼핑몰로 진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이들 피트니스 왕홍의 종합쇼핑몰들은 1- 2백만명의 펀쓰( 粉丝 / 팬클럽)들을 확보하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으며 , 최근 월 최대 약 2백만 위안 ( 한화 환산 약 3억 5천만원 ) 의 매출을 기록하는 경우도 있다고 소개했다.

 

즉 이러한 피트니스 왕홍들은, 이미 개인이 아니라 수명에서 수십 여명의 직원들과 협업을 하는 기업가들로 건강 종합기업을 운용하고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는 의미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