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코로나19는 왜 동양보다 서양에서 더 기승을 부리는가? 원인모르면 대책도 없다?

 

지구인구의 4/5가 살고 있는 북반구의 겨울이 성큼 다가오면서 , 코로나19 와 함께 독감의 기승으로 호흡기질환의 만연과 사망자 급증이 우려되는 가운데 ,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미국 영국 이태리등 서방의 코로나19에 대한 인식이 다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동서양의 인구대비 코로나19 발병률과 사망률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에 대한 논란의 출발은 , 완벽한 통제의 문제와 연결돼 있다.

 

확진자와 사망자가 서방의 약 1/10도 안되는 동양의 국가들은 방역의 기본을 거리두기에 두고 있다. 즉 마스크 착용 외출금지 집합금지 접촉금지 등 인간대 인간간의 감염의 기본인 접촉을 억제하자는 것이다.

 

그 차이의 시작은, 코로나19가 가장 먼저 발생한 중국에서 후뻬이성 우한시가 전격 봉쇄로 초기 확산을 막았고, 이후에도 그 많은 인구의 이동에서도 마스크착용을 의무화 한데서 비롯된다.

 

이후 한국과 일본등 아시아 전역은 중국의 봉쇄에서 얻은 성과를 바탕으로 거리두기 집합금지 책으로 그나마 패닉의 발생을 막아 오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서방국가들은 유럽으로 건너간 초기부터 아시아 국가들의 마스크 착용이나 집합금지정책에 대해 기본적으로 신뢰를 보내지 않았다.

 

코로나19의 전염성자체가 종래 감기나 독감의 수준이어서, 특별히 위협될 게 없다는 관성적인 의학적 판단에 근거해, 특별한 사회통제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지 않았고, 아시아 국가에 비해 20배 혹은 최고 100배에 이르는 확진율을 보였음에도 기본 사고를 변경하지 않았다.

 

그렇다고 자국민들이 동양국가에 비해 훨씬 더 많이 확진되어 사망하는 현상에 대해, 의학적인 분석을 비롯한 어떠한 차별적인 연구결과도 발표하지 않았다.

 

일부에서는 중국과 한국등이 비교적 최근에, 싸스 ( 급성호흡기 중증증후군 ) 나 메르스 사태를 겪으면서, 호흡기관련 바이러스의 해악을 직접 겪으면서 확산대응과 방역의 요체를 미리 깨달았던 동양의 사정에 대한 공감이 없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그나마 설득력을 얻고 있을 뿐이다.

 

현재상황에서 보면, '소위 맞아 본 사람이 아픈 줄 알고 미리 대비한다 ' 는, 이와 같은 경험의 유무가 대응의 차이를 초래했을 것이라는 분석 이외에 다른 설명이 불가능한 것처럼 보인다.

 

굳이 개념화 하자면,  '뭔지 모르지만 피해가 컸으므로 미리 대비한다 ' 와 ' 뭔지 모르니까 대비책도 없다 ' 로 정리할 수 있겠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