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노점경제활성화로 맥주주가 상한가, 성수기 여름맞아 더블호재 고공행진.

여름밤 경제활동많은 도시생산 맥주브랜드 판매량급증 예상.

 

리커창총리가 노점상을 양성화 활성화한다는 정책에 따라, 그렇지 않아도 여름철을 앞둔 맥주산업이 더블로 호황국면을 맞아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다.

 

중국의 대표적인 경제매체인 신랑차이징 (新浪财经)은 오늘, ' 노점경제의 호재속에 빛나는 맥주업계' 라는 제목으로, 정부의 새로운 정책의 파급효과가  확실한 효과를 발휘하기 시자했다고 전했다.

 

이 신문은 지난 2일 궤이저우 마오타이 주가가 1,400위엔을 넘었다는 소식을 전하며 바이지우 (白酒백주)의 주식상승에 이어 맥주계의 주가상승이 시작됐다고 보도했다.

 

최근 중국에선 궤이저우 마오타이 시가총액이 사상최고를 기록하면서 ( 본보 5월 19일 기사, '中대표술 '마오타이' 중국시총 1위 이어 삼성전자도 넘어서' 참조)  중국 맥주산업계의 포스트 마오타이를 어떤 브랜드가 차지 할 것인가가 화두가 되고 있다.

 

우선 이 신문은 올해들어 중국맥주업계 주식의 상승율은 약 20%에 달해, 일반 주류업계의 평균 3.3%보다 매우 높다고 전했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서북부 깐수성의 성도 란저우시 (甘肃省 兰州)에서 생산하는 란저우황허피지우 (兰州黄河 Lanzhou Yellow River Beer) 와  동남부 푸젠성의 츄안저우 ( 福建省 泉州) 시에서 생산하는훼이츄안 피지우 (惠泉啤酒  Huiquan Beer ) 、그리고 수도 베이징에서 생산하는 옌징피지우 ( 燕京啤酒 Yanjing Beer ) 의 성장세가 예사롭지 않다고 분석했다.

 

한국에도 잘 알려진 칭다오 맥주는 지난 4월에 이미 전년대비 두 자리수의 성장을 기록했고 지난 4일에도 최고가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고용과 성장률의 저하의 악재를 떨쳐버리려는 중국정부는 올해 약 900만개의 일자리창출을 공언한 바 있다. 그 방법으로 맨 처음 제시한 것이 바로 노점경제의 활성화이다..

 

이 신문은 노점경제는 날씨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만큼, 여름철 노점경제의 활성화와 이에 따른 맥주판매량의 증가의 효과가 두드러지려면,  야간경제가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는 적당한 기후와 여건을 가진 도시에서 생산되는 맥주브랜드에 주목해야 한다는 이색적인 안목도 제공하고 있다.

 

이 기준에서 본다면, 이 신문이 대표적인 상승브랜드로 꼽은 란저우황허 피지우와 훼이츄안 피지우는 이 조건에 부합하는 도시에서 생산되고 있다.

 

란저우피지우가 생산되는 란저우는 중국 서북부의 중심도시로 인구가 400만명이 넘고 황허가 도심을 따라 길게 관통하면서, 강변에 수많은 야외 노점들이 즐비한 도시이다.

 

 

또 훼이츄안피지우가 생산되는 남동부 푸젠성의 츄안저우는 인구도 약 1,100만명이 넘는 매우 큰 도시로 게다가 바다로 나오는 강 어귀에서 발달한 전형적인 수변 해변도시이다.

 

옌징피지우는 수도 베이징에서 생산되고, 바로 위의 훼이추안피지우의 최대 주주이기도 하다. 두 회사는 모두 국영기업이다. 옌징피지우는 1980년부터 맥주를 생산해 그 노우하우가 업계최고수준에 이른 회사이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