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타오바오 인기상품] 타오바오 인기 검색어 급상승 순위!

 

중국 최대 명절이라고 할 수 있는 '춘제'(春节) 기간입니다. 
이 시기에는 중국 내의 모든 택배회사들도 쉬기 때문에 타오바오 거래량도 비교적 적은 편인데요. 
타오바오에서는 최근 어떤 상품이 많이 검색되고 있을까요? 검색어 급상승 순위를 알아보시죠!

3위는 '페인트'(漆)입니다.

 

 

춘제 기간에 페인트가 유행이라니 흥미로운 순위인데요. 
2017년 한국 무역 협회의 조사 결과에서는 중국의 페인트 시장이 거대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글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http://www.kita.net/trade/global/overmarketing/05/index.jsp?sCmd=VIEW_CHINA&nPostIndex=15924&nPage=1&curno=24240 


 

하지만 개인 단위 구매가 많은 타오바오에서 페인트가 왜 이렇게 인기가 있을까요? 
정확한 원인은 확인이 어렵지만 많은 사람들이 검색하여 3위에 올랐습니다! 

2위는 '금속'(金属)입니다. 

 

 

'금속'(金属)으로 검색했을 때 가장 많이 팔린 제품은 바로 '피젯 스피너형 열쇠고리'였습니다. 
'피젯 스피너'란 베어링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장난감입니다. 
아래처럼 심심하면 돌리는 게 가능한데요. 

 

 

피젯 스피너와, 열쇠고리 기능, 병따개 기능까지 3가지 기능이 함께 있다고 합니다. 
또한 배송료를 포함해서 10위안 (한화 약 1677 원)이라는 저렴한 가격이기 때문에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어 보입니다!

1위는 바로 '키우다'(树)입니다. 

 

 

'树'라는 글자는 일반적으로는 '나무'와 뜻이 유사한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타오바오에서 '树'라고 검색하면 집에서 '키울' 수 있는 화분들이 나오는데요. 
'树'라는 글자에는 동사의 의미로 '키우다', '기르다'의 뜻이 있다고 합니다. 
총 24종의 여러 식물들을 기르고 있었는데요. 

 

 

1달 판매량(月销量)이 6만 5천 건이나 될 정도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합니다. 
고객들의 평가도 38만 건 이상이 될 정도나 되기 때문에 믿고 살 수 있는 환경입니다. 

1위부터 3위까지의 '타오바오 인기 검색어 급상승 순위'를 알아보았는데요. 
그 아래의 순위는 아래에서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인기 급상승 순위는 아래와 같았습니다.  

4위 : 조각기 (雕刻机)
5위 : JIYOUJIA 분재 (绿植 极有家)
6위 : 의자 (椅子)
7위 : iphonex 핸드폰 케이스 (iphonex 手机壳)
8위 : 항저우 웨딩사진 (杭州婚纱照) 
9위 : 닌텐도 스위치 (switch)
10위 : 백팩 (双肩包) 

곧 있으면 3월이 되고 봄의 계절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검색어 순위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학기 및 봄을 맞을 준비를 하는 것처럼 보이는데요. 
다가오는 봄에는 어떤 상품들이 인기가 있을까요? 

다음 주에도 타오바오 인기상품에 대해 계속 알아보시죠!

글=최현승 (崔炫承) (gustmd1113@hanmail.net)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