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올해 1분기 중국 혼인 신고 196만 9000쌍, 전년 동기 대비 17만 8000쌍 감소

 

중국이 인구감소, 고령화, 저출산이라는 3고가 겹친 가운데 올해 1분기 혼인 신고 건수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혼인 건수가 줄어든다는 것은 그만큼 아이를 낳을 기회가 줄어든다는 의미다. 

지난 14일 중국 민정부(民政部)가 발표한 1분기 통계에 따르면 전국 혼인 신고 수는 196만 9000쌍으로 2023년 1분기의 214만 7000쌍에 비해 17만 8000쌍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혼 신고 역시 작년 동기의 64만 1000쌍에서 57만 3000쌍으로 6만 8000쌍이 줄었다. 

중국의 혼인 신고 데이터를 추적해온 인구학자 허야푸(何亚福)는 중국 현지 매체 계면신문(界面新闻)과의 인터뷰에서 "가임 인구가 줄어들면서 중국의 혼인 신고 수는 2013년 피크를 기록한 이후 9년 연속 감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2023년 혼인 신고 수가 2022년의 683만 5000건에서 768만 건으로 증가한 것은 2020년~2022년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젊은이들이 결혼을 미루었기 때문"이며 "중국 인구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혼인 신고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막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허야푸의 분석에 따르면 첫번째 이유는 젊은층의 감소이다. 중국의 1980년대생, 1990년대생, 2000년대생은 각각 2억 1500만, 1억 7800만, 1억 5500만 명으로 집계됐다.

두번째 이유는 결혼 적령기 인구의 성비가 불균형하다는 점이다. 20-40세의 남성이 여성보다 1752만 명 더 많다. 

아울러 초혼 연령도 점차 늦어지고 있다. 인구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2010년 중국의 평균 초혼 남성 연령은 25.75세, 여성은 24세였으나 2020년에는 남성 29.38세, 여성 27.95세로 늦어졌다.

특히 결혼에 투입되는 비용이 지나치게 많고 자녀 양육관이 변하면서 혼인에 대한 가치관 자체가 달라졌다. 대부분 도시의 주택 마련 가격은 이미 평범한 근로자의 급여 수준으로는 감당하기 어렵다. 일부 농촌 지역에서는 천정부지로 치솟은 예단 및 예물로 인해 젊은 남성은 결혼을 꿈도 꾸지 못하는 상황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