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1분기 GDP 29조 6299억 위안, 전년 동기 대비 5.3% 성장

 

'29조 6299억 위안'

한화로 5614조 2734억 원 가량의 거액이다. 중국의 올 1분기 국내총생산(GDP) 총액이다. 전년 동기 대비 5% 이상 성장했다.

중국 정부의 성장 목표에 정확히 부합하는 수치다. 중국 경제의 성적표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갈수록 짙어지는 상황에서 대단히 우수한 수치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지난 16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올해 1분기 주요 거시경제 데이터를 발표했다.

중국의 1분기 GDP는 29조 6299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를 초과한 것으로 특히 내수가 경제 성장에 85.5%를 기여해 소비가 여전히 중국 경제 성장의 중요한 엔진임을 확인시켰다.

성라이윈(盛来运) 국가통계국 부국장은 이날 베이징 국무원 신문판공실 기자간담회에서 "소비가 1분기 GDP 성장에 기여한 비중은 73.7%”라며 "소비를 뒷받침할 수 있는 유리한 여건을 계속해서 높여 경제회복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가통계국 데이터에 따르면 1분기 소비재 소매 총액은 12조 327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했고, 서비스 소매 판매는 10.0% 증가했다. 3월 소비재 소매판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3.1%, 전월 대비 0.26% 증가했다.

또 서비스 소비가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 서비스 소매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했는데, 이는 상품 소매판매보다 6%포인트 높은 수치이다. 주민 1인당 서비스 소비지출이 전년 동기 대비 12.7% 증가했다.

한편 온라인 소비가 지속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새로운 온라인 판매 모델이 지속적으로 혁신을 거듭하면서 온라인 소매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11.6% 증가했다.

녹색소비도 인기를 끌었다. 중국자동차제조협회 데이터에 따르면 1분기 신에너지차 판매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30% 이상 성장했고 신에너지차 보급률은 40%를 넘어섰다. 

1분기 농업(재배산업)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했고, 규모이상 공업 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했으며, 서비스업은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