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38개 주요 도시 기업들의 1분기 월평균 급여 1만 323위안

 

'1만 323위안'

한화로 약 192만 원이다. 지난 1분기 중국 38개 주요 도시 기업들의 월평균 급여다.

중국의 대표적인 구인구직 업체인 즈롄자오핀(智联招聘)이 1분기 '중국기업 채용급여 보고서(中国企业招聘薪酬报告)'를 1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38개 주요 도시 기업들의 올해 1분기 월평균 급여는 1만 323위안(약 192만 원)으로 집계됐다.

즈롄자오핀이 모니터링하는 38개 도시 중 상하이(1만 3617위안), 베이징(1만 3316위안), 선전(1만 2751위안)의 월평균 채용 급여는 지난해에 이어 1분기에도 선두권을 유지했다.

1분기에 급여 수준이 가장 많이 증가한 부문은 엔터테인먼트 및 레저, 의료 및 미용 등 서비스 업종으로 나타났다.

1분기 오락/스포츠/레저, 의료/간호/미용/건강/보건 서비스 업종의 월평균 채용 급여은 각각 9448위안, 9713위안으로 순위가 7계단씩 상승했다.

전년 동기 대비 채용 인건비 증가율이 가장 높은 부문은 호텔·외식업으로 3분기 연속 성장세를 유지하며 1분기 성장률 10.6%를 기록했다. 이어 관광·휴가업이 채용 급여 증가율 9.3% 증가해 2위를 기록했다.

중국의 급여는 역사적으로 편차가 크다. 중국 공산화 초기에도 직급별 월급 책정을 놓고 논란이 일었다. 당시 중국 최고 월급을 받는 이는 마오쩌둥이었다. 이어 저우언라이 총리 등으로 공무원들의 월급이 직급별로 책정됐다. 문제는 이들의 연봉이 일반 노동자들의 수백 배에 달했다는 점이다. 노동자, 농민의 천국을 만들겠다고 공산혁명을 주도했던 이들이 정작 공산 독재 정권을 출범시키자 공무원 월급을 대거 높게 책정했던 것이다.

공산당은 자체적으로 문제를 인식하고 논의를 통해 월급을 깎았다. 하지만 그 감소폭은 미미했다.

한편 이번 조사 대상 38개 도시에는 베이징, 상하이, 선전, 광저우, 구이양, 선양, 텐진, 하이커우, 하얼빈, 청두, 창춘, 시안, 충칭, 다롄, 정저우, 란저우, 타이위안, 우루무치, 창사, 쿤밍, 우한, 스자좡, 난징, 항저우, 칭다오, 지난, 난창, 허페이, 난닝, 옌타이, 둥관, 쑤저우, 우시, 주하이, 푸저우, 포산, 샤먼, 닝보 등이 포함됐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