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3년 글로벌 화장품 매출 Top 10, 1위 로레알

 

지난 2023년 글로벌 뷰티시장은 ‘향기로운 전쟁’이 펼쳐졌다. 글로벌 뷰티 시장 장악을 위해 수많은 전통의 브랜드들이 생사를 건 경쟁을 벌였다.

가장 뜨거운 경쟁 영역은 ‘고급 향수 시장’이었다. 여성 뿐 아니라 남성들 역시 이 고급 향수 시장의 주요 고객이 됐다.

 

10대 주요 화장품 기업 순이익 11억 위안 육박 … 뒤바뀐 순위

 

지난 12일 브라질의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 ‘나투라앤코(Natura&CO)’를 마지막으로 글로벌 대형 화장품 회사들이 일제히 지난해 경영실적을 밝혔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3년 매출 기준 세계 10대 화장품 회사는 비화장품 사업 매각 후 로레알, 유니레버, 프록터 앤 갬블, 에스티로더, LVMH, 바이어스도르프(Beiersdorf), 시세이도, 코티, 나투라앤코, 푸이그 등 10개 기업이었다.

이들의 총 수익은 10억 8820억 위안으로 집계됐다.

로레알, 바이어스도르프, 푸이그는 모두 두 자릿수 성장을 유지한 반면 에스티로더, 시세이도, 나투라앤코는 심각한 매출 감소세를 보였다. 에스티로더는 지난해 전년 대비 매출이 10%, 100억 위안 이상 줄었다.

자연히 10대 주요 글로벌 화장품 기업들 순위도 바뀌었다.

로레알과 유니레버가 P&G에 공식 인수된 뒤 '글로벌 3위' 자리를 지켰다. 지난해 에스티로더의 미주, 유럽,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태평양 지역 매출은 모두 감소했다. 그러나 연간 매출이 1000억 위안이 넘는 만큼 여전히 후발업체에 비해 상당한 우위를 점하고 있다.

Beiersdorf는 8위에서 6위로, Procter & Gamble은 4위에서 3위로, Coty는 10위에서 8위로 올랐다.

세계 10대 화장품 기업 중 시세이도의 매출은 8.8% 감소했고, 전체 매출은 Beiersdorf를 앞지르며 7위를 기록했다. 중국 내 일본 화장품 업체들은 전반적으로 원전 오염수 유출 사고로 인해 큰 타격을 입었다.

하지만 글로벌화 전략, 특히 일본 내수시장 포지셔닝 전략에 힘입어 여전히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매출을 보이고 있다. Kao의 2023년 매출은 전년 대비 1.2% 감소한 1조 5,326억엔, Kose의 2023년 순매출은 전년 대비 3.9% 증가한 3,004억엔, POLA ORBIS 그룹의 2023년 순매출은 전년 대비 4.2% 증가한 1,733억엔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스페인 출신 향수, 화장품, 패션 그룹 푸이그(Puig)가 지난해 전년 대비 매출 19% 시장을 이뤄내며 역대 처음으로 세계 10대 화장품 기업에 진입했다.

상위 10위권 밖에는 화장품 사업을 매각한 존슨앤드존슨이 지난 2022년 소비자 건강 사업을 분사해 설립한 켄뷰(Kenvue)으로 좋은 성과를 냈다. 지난해 매출만 318억 위안에 달했다.

 

갈수록 글로벌 ‘뷰티대전’ … 가장 뜨거웠던 전투는 ‘향수전투’

 

로레알은 지난해 4월 시세이도, LVMH, 록시땅 등 잠재적 경쟁사들을 물리치고 나투라앤코로부터 호주 고급 뷰티 브랜드 이솝을 25억 2500만 달러라는 '역사상 최고가'에 인수하면서 전력을 보강했다.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들의 본격적인 브랜드 대전의 포문을 연 것이다.

로레알 그룹은 앞서 지난해 6월에는 20억 유로를 들여 니치 향수 브랜드 크리드를 인수하기도 했다. 이 브랜드는 구찌 모회사 케어링 그룹이 블랙록의 장기 사모펀드와 하비에르 페란이 관리하는 펀드 소유였다.

지난해 향수 브랜드들의 격전을 갈수록 격화했다. 그동안 향수 카테고리에는 관심을 크게 보이지 않았던 유니레버는 지난해 11월 벤처 캐피탈 부서에서 독립 향수 브랜드인 The 7 Virtues에 투자하면서 고급 향수시장 공세를 위한 교두보를 확보했다.

스페인의 향수, 화장품, 패션 그룹인 푸이그는 지난 2022년 인수 예정인 샬롯 틸버리와 향수 브랜드 바이레도를 그룹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꼽고 있다.

지난해 글로벌 매출 10대 화장품 브랜드에는 프랑스 3개, 미국 2개, 스페인 1개, 일본 1개, 영국 1개, 독일 1개, 브라질 1개가 각각 포함됐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