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0월 중국 제조업 PMI 49.5, 전월 대비 0.7포인트 하락

 

참 알 수 없는 게 중국 경제의 추세다. 중국 경제가 침체냐, 회복이냐의 갈림길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는 모양새다. 

지표들 자체가 회복을 가르키기도 하고, 침체를 가르키기도 한다. 

부동산 경기는 여전히 나쁘지만, 문화 서비스업, IT 산업을 중심으로 성장세를 보이기도 한다. 최근 제조업 구매자관리지수(PMI)는 다시 한 번 중국 경기 침체 우려를 더했다.

불과 한 달 전 50을 넘어서면서 긍정적 신호로 해석됐지만, 한 달만에 다시 침체 우려를 더하고만 것이다. 

기업의 구매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되는 PMI는 관련 분야의 경기 동향을 보여주는 지표로 50보다 높으면 경기 확장, 낮으면 경기 수축 국면을 의미한다. 

31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10월 중국의 제조업 PMI는 49.5%로 전월 대비  0.7포인트 하락했다.

중국 제조업 PMI는 지난 4월 49.2포인트를 기록한 뒤 5개월 연속 50 보다 높게 올라서지 못했다. 하지만 상승세가 이어졌고, 지난 9월 6개월 만에 처음으로 50.2포인트를 기록해 경기 확장 국면에 진입했지만, 이달 들어 다시 50 아래를 기록하게 됐다.

10월 통계를 살펴보면 제조업 PMI를 구성하는 5대 지수 가운데 생산 지수(50.9)와 납기 내 납품 지수(50.2)는 기준치인 50을 넘겼지만, 신규 주문 지수(49.5)와 원자재 재고 지수(48.2), 종업원 지수(48.0)가 50 아래로 나왔다.

10월 비제조업 비즈니스 활동 지수는 50.6%로 전월 대비 1.1포인트 하락해 임계점을 웃도는 등 비제조업이 전반적으로 확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 PMI는 50.7(전월 대비 0.9 하락), 중형기업 PMI는 48.7(0.9 하락), 소기업 PMI는 47.9(0.1 하락)로 조사됐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