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2년 중국 도시별 관광객 만족 순위 Top 10, 1위 항저우

 

천하를 유람하는 일, 자금성은 반드시 보겠다는 각오.

중국인들의 버킷리스트는 대체로 여행과 관련이 깊다. 워낙 땅이 넓어 곳곳에 볼거리가 많은 때문이다. 지역별 문화 차이도 커 마치 이국을 여행하는 듯한 느낌을 준다. 

지역별로 남아있는 문화유물의 시기도 달라, 중국을 여행하는 것은 마치 시간여행을 하는 듯한 흥미로움을 안겨준다. 

이러한 여행친화적인 환경으로 인해 자연히 중국인들은 여행을 좋아하는 DNA를 갖게 됐다고 보는 전문가들이 많다. 어쨌든 그 덕에 중국인들은 세계 곳곳에서 중시되는 여행객이 되었다. 중국이 코로나 봉쇄 정책을 풀고 다시 해외 여행에 나서면서 한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관광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들썩거렸을 정도다. 

중국내 상황도 마찬가지다. 베이징은 물론 계림 등 주요 관광지들이 다시 북적일 기대감에 부풀어 올랐다.

중국관광연구원이 최근 '2022년 전국 관광객 만족도 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중국 도시별 관광객 만족 순위를 비롯해 전국 관광객 만족도 종합지수, 2020~2022년 주요 공휴일 전국 관광객 만족도 종합지수 등이 포함됐다. 2022년 관광객 만족 도시 순위 Top 10은 다음과 같다.

 

1위 항저우

2위 칭다오

3위 충칭

4위 샤먼

5위 지난

6위 우한

7위 우시

8위 시안

9위 베이징

10위 쑤저우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관광객 만족도는 2016년 이후 처음으로 하락했다. 2022년 전국 관광객 만족도 종합지수는 80.52로 전년 대비 2.37% 감소했다.

아무래도 코로나 봉쇄로 기존 관광시설들이 제대로 보수 확충되지 못한 탓으로 풀이된다. 한국에서도 여행지에서 코로나 탓에 근무지를 어쩔 수 없이 떠나야 했던 관광 산업 종사자들이 이제 코로나 이전 상황으로 되돌아 가고 있지만, 아직도 돌아오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자연히 관광 산업 종사자들이 줄어 든 상황에서 여행이 과거처럼 만족스러울 수는 없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코로나 이전 상태를 회복하려면 시간이 좀 더 필요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이번에 발표된 자료에 따라 중국 도시를 찾은 관광객의 만족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022년 모니터링에 포함된 60개 도시의 관광객 평균 만족도는 80.58로 전년 대비 1.5% 감소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