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8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중국 외교부 대변인 루캉(陸慷)은 북중정상회담에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응답했다. ⓒ 봉황망(凤凰网) Q : 시진핑 중국공산당 총서기 및 국가 주석의 초청으로 조선노동당 위원장이자 국무위원장인 김정은이 3월 25일부터 28일까지 중국에 비공식 방문했고 시진핑총서기와 김정은 위원장간에 회담이 이루어졌다. 중국 입장에서 이번 방문이 북중관계에 어떤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하나?ⓒ 봉황망(凤凰网) A : 시진핑 총서기와 김정은위원장은 북중관계 및 공통관심문제에 대해 심도깊은 대화를 나누었다. 김정은 위원장의 첫 중국 방문이자 북중 최고 지도자간에 이루어진 이번 회담을 통해 중국과 북한이 북중관계를 매우 중시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역사깊은 중국과 북한간의 우의는 양국 모두에게 귀중한 자산이다. 시진핑 총서기는 회담중에북중관계를 옹호하고, 견고히하고, 발전시켜야 하는 것은 중국과 북한 양국양당간에 확고부동한 방침이었다고 강조했다. 우리는 조선(북한) 동지들과 손잡고 깊은 소통을 나누고, 교류의 폭을 넓히며, 평화를 향해 나아가고, 민의에 기초하여 양국의 우의를 다지고, 장기적 관점에서 건강하고 안정적인 북중관계의 발전을 위해 힘써 양
출처 : 웨이보 微博설로만 무성했던 김정은의 방중 사실이 확인되었습니다! 중국 언론들은 김정은 방중에 대해 일제히 보도하였는데요. 웨이보 실시간 검색어 5위까지 올라갈 만큼 중국인들 역시 엄청난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시진핑과 김정은의 만남, 과연 중국 네티즌들은 어떤 반응인지 함께 살펴보실까요? - 강대한 조국! 중국 국민으로서 더할 나위 없이 자랑스럽다.- 중국과 북한과의 우의가 앞으로 더 오래가길- 초심을 잃지 말고 함께 앞으로 나가자! 짱짱짱- 웨이보로 전파하자!현재 위의 영상은 빠른 속도로 웨이보 곳곳으로 퍼져나가고 있습니다 한동안 냉랭했다고 평가받던 두 나라의 관계가 이번 비공식 회담을 통해 다시 돈독해졌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합니다. 또한, 이후 미국과의 회담을 앞두고 중국 방문을 통해 미국에 무언의 압박을 주었다고도 하는데요. 과연 이번 회담이 다가올 북미 정상회담에 어떠한 영향을 줄지, 그리고 한반도의 정세는 어떤 쪽으로 나아갈지주목이 되는 바입니다. 글=김상태
외신들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중국 방문 소식을 잇따라 전하고 있다. 아직 어느 곳에서 확인된 것 없이 모두 익명이다. 때맞춰 미국의 소리 중국 서비스가 전문가들의 분석을 통해 보도의 사실 여부와 향후 한반도 정세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했다. 미국의 소리에 출연한 전문가는 뉴저지 주의 북핵 문제 전문가 장자둔章家敦 교수, 스팀슨센터의 북한 중국 문제 연구원 쑨윈孙韵, 이전 오바마 정부의 동북아 사무를 담당했던 러셀 등이다.보도에 따르면 장 교수는 이번 김정은 방중 소식이 사실이라고 믿고 있었다. 장 교수는 [핵대결, 조선이 세계에 도전을 하다]는 저서를 가지고 있다. 장 교수는 "조선은 본래 중국의 제후국과 같다. 중국은 조선 경제, 외교에 있어 영향력이 크다. 이번 일은 그리 놀랄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중국은 그동안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을 피해왔을 뿐이다. 필요한 경우 중국은 북한 목줄만 잡아당기면 된다."며 "중국은 이번 한반도 비핵화 과정에 개입하고 싶어한다. 이를 위해 김정은에게 남한이나 미국과 대화하기 전에 중국에 오라고 명령을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쑨윈 역시 김정은의 방중을 사실로 여겼다. 그는 "최근 북
런민르바오는 중국 제일의 신문이다. 공산당 기관지다. 가장 권위가 있다. 그런 신문이 최근 SNS에 글을 올렸다가 망신을 당하고 글을 삭제해야 했다. © perfectfitsolutions, 출처Pixabay 도대체 무슨 글일까? 둬웨이多维 등 중화권 매체에 따르면 글은 최근 미국의 무역 도발에 대해 이를 비판하고, 중국의 입장을 옹호하는 것이었다. 전문은 다음과 같다. 미국이 중국에 무역전 도발을 해왔다. 상무부는 이에 바로 상응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외교부는 강하게 반발했다. "받기만 하고 주는 게 없으면 예의가 아니다. 우리는 도전을 받들어 끝까지 대응할 것이다. '지혜로운 자는 다리를 놓고, 우둔한 자는 벽을 쌓는다'했다. 세계 1,2위의 경제체들이 서로 손실을 입을 것이다. 함부로 막 행동하는 것으로 결코 승리할 수 없다. 경제 세계화는 대세다. 바닷물이 다시 역류할 수는 없는 법이다. 중국의 합법적인 이익을 지키기 위해, 중국은 겁내지 않고, 피하지도 않을 것이다." 참 잘 쓴 문장이다. 간결하고 힘이 있고, 하고 싶은 말은 다 했다. 그런데 아쉽게도 문제가 있었다. 이 글을 올린 게 중국에
출처: 뉴스1 22일(미국 현지 시간)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기업의 중국 투자의 제한과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부과를 지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반발하여 현재 중국 정부에서는 미국산 상품에 대한 관세 보복을 시사했는데요, 당사자의 입장인 중국 내부에서도 많은 반응들이 나오고있습니다. 출처 :微博 중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인이면서, 또한 중국의 국민 감정을 건드리는 사안이기에 다양한 반응들이 나타났는데요, 웨이보 상에서 중국 네티즌들의 반응 함께살펴보겠습니다. -전에 이미 롯데를 쫓아냈었지. 이번에 애플을 쫓아내면 우리의 완승이야. 아이폰을 쓰던 사람은 계속 쓰고, 포드를 타던 사람은 계속 타. 하지만 다시 구매하지는 말고, 미국인(佬는 폄하의 의미가 담겨있습니다.)들을괴롭혀주자. -망치는 준비했어, 언제 미국차를때려부술까? -외교부가 드디어 독하게 말했네, 그렇게 해야지. 강한 나라는 큰 목소리를내야해 -한편 살펴보니까 댓글에10명 중 8명은 아이폰을 쓰네, 국산품을쓰자 -강경하게 나가야지, 무르게 굴면 상대방이 얕잡아본다고 -아무도 왜 미국이 중국에 관세를 더
시진핑 주석이 연임을 하자,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메르켈 독일 총리, 김정은 북한 위원장은 바로 축하를 했다. 전화를 하기도 했고, 전보를 보내기도 했다.그런데 유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축하를 했다는 보도는 중국과 미국에서 나오지 않았다. 사실 둘은 최근 북핵 문제로라도 서로 전화를 할만하다. 그러나 둘은 서로 연락을 하지 않았다. 물론 축하를 하는 입장이니, 트럼프 대통령이 전화를 하는 게 맞다. 이러는 사이 중국 관영 매체들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 메르켈 독일 총리의 시진핑 대통령의 연임 축하에 대한 소식을 주요 소식으로 전했다. 그러자 자연스럽게 중화권 매체에서 궁금증이 커지기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왜 아직 시 주석을 축하지 않는가? 혹 종신제로 가는 반 민주화에 대한 반발이 아닌가? 등등의 의혹이 불거지기 시작했다. 그런데 22일 런민르바오 등 관영 매체들이 관련 기사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도 시 주석 연임을 축하했었다는 사실을 공개했다. 그런데 관영 매체들의 기사는 오히려 중화권 매체들의 궁금증 더 증폭시키고 있어 주목된다. 중화권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관영 매체들이 기사를 통해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축하를 해왔으며, 다만 그 방식이 다
시진핑 주석의 중국 정권의 거의 모든 일에 지시를 내리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앙정치국이 건국 이래 처음으로 서면 업무보고를 당서기에게 하고 지시를 받았다. 22일 런민르바오 등 중국의 관영매체들에 따르면 당 중앙정치국이 7개 분야에 대한 업무 보고서를 시진핑 주석에게 제출해 지시를 받았다. 정치국이 업무 보고서를 제출하기는 중국 건국 이래 이번이 처음이다.이번 조치는 새롭게 만들어진 '당 중앙의 집중 통일 영도 강화를 위한 중공중앙정치국 약간의 규정'에 따른 것이다. 중국 관영 매체들은 시 서기가 서면 보고서를 신중하게 읽고, 관련해 "19기 정치국은 인민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는 만큼 초심과 그 사명을 잊지 말고, 대국의 추세를 파악해 할 일을 과감하게 하도록 하라"라고 강조했다. 이번 서면 보고서에는 총 7개 분야로 나누어져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첫째 시진핑 서기를 핵심으로 한 당 중앙 권위 확보와 집중 통일 영도 등 4개 의식에 대한 강화다. 둘째 시진핑 특색사회주의 사상과 19차 당 대회 사상을 학습 선전에 앞장서는 것, 셋 째가 중요 문제에 대해 바로 보고해 지시를 받는 것, 넷 째는 철저히 민주 집정제를 실시하는 데 앞장서는 것이다. 다섯째는
'아무리 미중 관계가 나빠도 그렇지….' 미국의 소리가 시진핑 주석 연임과 관련 투표를 해 화제다.출처 = 미국의 소리 중문망 21일 오전 미국의 소리 중문망 사이트(https://www.voachinese.com/)에서는 시진핑 주석 연임과 관련한 설문조사가 지난 20일 이후 한창 진행 중이다. 이날 오전 10시 현재 응답자의 압도적인 수인 79%는 '연임할 필요도 없다. 그전에 사퇴하라'라는 응답을 지지했다. 기존처럼 2회를 하면 좋겠다는 답은 6%, 3회 연임을 하면 좋겠다고 답했고, 4회 혹은 그 이상이라고 답한 이들도 11%에 달했다. 설문은 아직 몇 명이 참여했는지 등의 내용이 공개되지 않고 있다. 기사 = 박선호 https://www.voachinese.com/
시진핑习近平 주석은 이번 양회를 통해 국가 주석 임기 10년 제한을 없앴다. 과거 중국 국가 주석은 한번 연임만 가능했지만 시 주석은 이제 원하는 순간까지 재임이 가능해진 것이다.과연 이 같은 조치가 앞으로 중국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중국 안팎 중화권은 물론 서방 국가들의 주요 관심사다. 중국의 변화를 지켜보고는 새로운 이유이기도 하다. 가장 많은 이들이 우려하는 것이 시 주석에 대한 1인 우상화다. 실제 당장 적지 않은 부분에서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미국에 서버를 둔 둬웨이多维는 당장 시 주석 연임에 대한 중국 1호 신문 '런민르바오'人民日报의 보도 태도를 과거 사례와 비교했다. 과연 확연히 달랐다. 먼저 이번 시진핑 주석의 연임 관련 런민르바오 최근호의 보도다. 전면이 시 주석에 대한 이야기다. 얼굴 증명사진과 함께 이번 양회를 통해 처음 도입된 헌법 선서 모습도 실렸다. 그럼 후진타오胡锦涛 전 주석과 그 직전의 장쩌민张泽民 전 주석의 사례는 어떨까? 이 기사를 통해 얼마나 런민르바오 편집 양식이 과거 전례를 따르고 있는지 알 수 있다. 후진타오 전 주석의 연임 때 런민르바오의 편집은 장쩌민 전 주석 때와 싱크로율 100%다. 연임된 주석
중국의 문화를 알리는 게 공자학원이면, 중국 내 미국 문화를 알리는 것은 미국 문화교류센터다. 미국 문화교류센터가 지난 20년 새 절반가량이 문을 닫은 것으로 최근 파악됐다. 바로 중국 당국의 압박 때문이라고 한다. 14일 미국의 소리 중문 서비스에 따르면 중국 내 미국 문화교류센터는 이날 현재 10곳이 정상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미국 문화교류센터는 중국인들에게 미국 문화를 알리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 미 국무원이 당초 미 대학들과 비정부기구에 자금을 지원해 중국에 29개 소의 교류센터를 만들었다. 주로 음악회, 영화 방영, 미국 관계자들의 중국 방문 등 활동을 펼쳐왔다. 그러나 중국 당국이 다양한 방법으로 탄압을 해 이미 10곳이 문을 닫았다. 이름을 바꾸고 미 정부 지원을 거부하고 다른 곳의 자금 지원을 거부한 채 운영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2016년 1월부터 2017년 4월 간 총 150여 건의 '외국 적대세력'을 단속하기 위한 중국 당국의 교류센터에 대한 탄압 사례가 기록돼 있다. 중국 공안은 극단적 상황에서 교류센터 직원을 1시 30분가량 조사를 하기도 했다. 조사 내용은 어떻게 강사들이 결정되는지, 미국 정부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