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영 전력회사가 오만 국영 전력회사의 지분 49%를 인수했다. 중국과 오만은 일대일로 건설 등 경제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중국 국가전망(電網)공사는 15일 오만의 수도 무스카트에서 오만 국영 나마전력과 협약을 맺고 지분 49%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중국과 오만이 함께 '일대일로'를 건설하는 데 새로운 단계를 상승하는 것을 의미한다. 나마전력은 오만에서 제일 큰 국영 기업이다. 나마전력은 2018년 10월 민영화 계획을 발표하고 최대 49%의 지분을 공개 입찰 방식으로 매각하기로 했다. 국가전망공사는 올해 11월 낙찰됐다. 낙찰 금액은 현재까지 중산 기업들이 오만 투자한 것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전망공사 신보안(辛保安) 이사는 협약식에서 “나마전력 지분 인수는 중국과 오만 양국 간 전력 협력의 중요한 이정표”라며 “양국 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심화하고 양자 간 경제 교역을 확대해 ‘일대일로’를 건설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나마전력은 “중국 국가전망공사와 지분 인수로 세계 최고의 기술과 관리 경험을 도입할 뿐만 아니라 전력 자원을 합리적으로 이용 및 개발하고, 오만 경제가 안정적으로 성장도 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미중 첫 단계 무역협정이 타결됐지만 시장의 반응이 신통치 않다. 미국 경제에 가져다 줄 혜택은 크지 않은데다, 중국 상품에 대한 관세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중국의 불만이 크다. 불확실성이 유지되면서 내년 세계 경제가 그다지 밝지 않을 전망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은 16일 “12월 13일 미중 양국 관리들이 발표한 유한합의에 따라 미국은 올해 9월 1일 의류, 신발, 액세서리를 포함한 1200억달러 상당의 중국산 상품에 대해 15%의 부과관세를 낮출 것”이라며 “미국은 또한 15일 스마트폰, 노트북, 완구를 포함한 1560억달러 상당의 중국 상품에 15%의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었던 계획을 취소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 합의는 또한 미국의 중국으로 농산물 수출을 크게 늘리는 것을 포함하여 향후 2년간 미국의 대중국 수출을 2000억달러 확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미국 관리들은 말했다. 미국 관리들은 무역적자를 줄여 농업제조업과 과학기술 등의 활성화를 도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디애나주 디젤엔진 제조사인 커밍스 인크(CMI)는 “이것은 미국 근로자와 기업을 위한 공정한 경쟁 환경을 만들기 위한 시작인 것을 바란다”고 말했다. 경제학자들은 “이 합의가 일부 소비재
중국 중앙군사위원회가 이례적으로 올해 7월에 이어 또다시 상장(上將) 진급 인사를 단행했다. 상장은 인민해방국에서 가장 높은 계급으로 한국의 대장에 해당한다. 중국 중앙군사위 상장군 계급 진급식이 12일 베이징(北京)의 81빌딩에서 열렸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은 상장군으로 진급한 이들에게 임명장을 수여했다. 진급식은 이날 오후 4시 50분 장엄한 중국 국가로 시작됐다. 중국 중앙 군사위 부주석인 쉬치량(许其亮)은 시 주석이 서명한 상장군 계급 진급 인원 명단을 발표했다. 그리고 중앙 군사위 부주석인 장우협(张又侠)이 진급식을 주재하다. 이번 진급식에서 진급된 상장은 동부전구 사령관 하위동(何卫东)과 동부전구 정치위원 하평(何平), 남부전구 정치위원 왕젠무(王建武), 북부전구 사령관 이교명(李桥铭), 로켓군 사령관 저우야닝(周亚宁) , 전략 지원부대 사령관 이봉표(李凤彪), 군사 과학원장 양학군(杨学军)이다. 시 주석은 이들에게 명령장을 수여하고 악수를 하며 축하했다. 상장군 계급장을 받은 7명 장군이 시진핑 주석에게 경례를 하고 행사에 참석한 전원에게 경례를 했다. 진급식을 마치고 시 주석과 상장군 계급으로 진급한 장군들이 기념 사진을 촬영했다.
1995년 이후 출생자인 ‘95허우(95后)’들은 쇼핑과 관광을 즐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재테크에도 관심이 많지만 고위험 상품보다는 정기예금 등 안정적인 투자를 하고 선호한다. 아이돌 ‘팬심’도 깊고 국산품에 대한 애착도 있는 등 이들의 소비형태는 다른 연령대와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중신경위(中新经纬)는 12일 "95허우(95后·95년 이후 출생자) 의 소비관은 어떠한가"라는 기사를 보도했다. 기사는 아이리서치(艾瑞咨询)의 '2019년 중국 95 허우 통찰 보고서(이하 보고서)'를 인용해 “95허우는 매달 평균 3000위안이 넘는 돈을 소비한다”며, 작년과 비교해서, 상당히 많은 95허우는 인터넷 쇼핑, 관광 그리고 지식 지불 분야에서 더 많은 돈을 쓰고 있다“고 보도했다. 절반이 넘는 95허우는 재테크를 하는 습관이 있어 평소 소비가 이성적이고, 초과 소비를 수용할 수 있지만 개인이 감당할 수 있는 범위 안에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재테크는 펀드, 위어바오(余额宝·알리바바의 금리지급 수익상품) 등 재테크 상품과 정기예금을 주로 구입하며 고위험 재테크 상품 구매에 대해 상대적으로 신중하다. 95허우는 인터넷 쇼핑이 일상화됐다. 95허우는 타오바오 사
미국의 방해로 WTO(세계무역기구) 항소기구가 유명무실해 지고 있다. 미국이 자국의 이익에 배치된다며 판사 2명에 대해 임명을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WTO 로베르토 아제베도(Roberto Azevedo) 사무총장은 10일 기자회견에서 “WTO 항소기구(Appellate Body) 개선 초안이 채택되지 않아 다음날인 11일부터 업무가 중단된다”고 밝혔다. WTO ‘최고법원’으로써 항소기구는 다변무역의 공정성을 시켜주는 중요한 장치이다. WTO의 항소기구의 마비 뒤에는 미국의 지속적인 방해가 있다. 2년 동안 트럼프 정부는 항소기구의 새 판사 임명을 방해함으로써 현재 판사 한명 밖에 남지 않아, 의사에 필요한 최소 3명 판사라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게 만들었다. 로이터는 “WTO에 대한 미국의 불만은 이 조직이 중국에 대응할 때 발목을 잡히기 때문”이라며 “항소기구의 업무 중지는 미국이 전 세계 경제 질서의 파괴하고 있는 것”이라고 평했다. 2년 동안 트럼프 정부는 WTO 항소기구가 “간섭이 지나치다”, 미국 이익을 방해한 이유로 계속 새 판사 임명 절차를 막고 있다. 로이터에 따르면 WTO 회원국은 지난 9일 또 다시 한번 판사 자리 공석에 대해 의견의 일
마카오가 일국양제의 모범사례로 떠오르고 있다. 마카오는 중국에 귀속된 지 20년 만에 재정 흑자 규모가 193배나 늘었고, 세계문화유산에도 등재됐다. 중국 중앙정부의 지원으로 국제기구에도 110개나 참여하면서 국제적으로 신용도도 높아지고 있다. 시진핑 국가주석은 며칠 전 중앙정부가 임명한 새로운 마카오 특별행정구의 제5대 행정장관인 학이청(贺一诚)을 만났다. 시 주석은 “마카오가 중국으로 돌아온 지 20년 만에 역사적 성과들을 이루었고, 마카오의 특색 있는 '일국양제' 정책도 성공하며 세계에 보여줬다”고 말했다. 실제로 '일국양제' 정책은 완전히 통하고 민심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20년 전 300명의 어린이는 마카오에서 가장 유명한 건축물인 세인트 폴 성당(大三巴) 앞에서 '칠자의 노래'를 불러 마카오 동포의 귀국하는 마음을 표현했다. 마카오는 귀속 20년 만에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각종 거시경제 지표가 눈에 띄어나고 마카오 지역 생산 총 가치가 1999년 519억달러에서 2018년 4447억달러로 크게 늘었다. 2018년 말까지 누적 재정흑자는 귀국 초보다 193배 늘어났다. 마카오 인민 생활 수준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주민의 획득
오바마 전 대통령이 민주당 후보에게 한마디 훈수했다. 그는 이상적인 공약이 난무한다며 뜬 구름 잡지 말고 현실에 발을 굳건히 딛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 민주당 출신 버락 오바마 미국 전 대통령이 2020년 미국 대선에 이례적으로 개입해 민주당 후보에게 모든 정책이 '현실에 바탕을 두라'고 경고했다고 영국 BBC방송이 17일 보도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지난 16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논단에서 민주당 대선 후보자들에게 "현실을 거려하여 정책을 세워야 된다"라는 말했다. 그는 “'일반 미국인'이 '완전히 체제를 무너뜨리려 하지 않는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정치자금 기부자들에게 "이 나라는 여전히 혁명에 대한 관심이 개혁만큼 크지 않다"라고 말했다. 보도에 따르면 오바마 전 대통령의 발언을 명시적으로 반박하는 민주당 후보자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사람이 자신의 정책 강령을 변호했다고 전했다. 버몬트 주 연방 상원의원 버니 샌더스는 오바마 대통령의 말이 맞는지 물어봤을 때 “체제 파괴가 무슨 뜻인지 봐야 한다. 우리의 경제 체제는 대다수 노동 인민의 지지를 얻었다. 최저임금을 올리겠다고 했을 때 저는 이 체제를 무너뜨리는 것이 아니라 정의를 위해 싸우고 있었
중국 당국이 ‘중국 굴기’를 나치 독일의 확장 정책에 비유해 파문을 일으킨 호주 국회의원에 대해 신뢰 관계 훼손을 이유로 입국을 거부해 파장이 일고 있다. 12월 중국방문 예정인 호주연방자유당의원 앤드류 하스티(Andrew Hastie)와 제임스 패터슨(James Paterson)이 입국을 거부당했다. 중국 주 호주 대사관 사이트는 16일에 "중국 측은 상호 존중·평등·구동존이(求同存異)의 기초 위에서 외국 측 각계각층 인사들과 건설적인 대화와 교류를 전개하는 것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며 "무단으로 중국을 말살하고 중국 측에 압력을 가하고, 중국의 주권과 존엄성을 도발하고 중·호 상호간에 신용을 파괴하는 사람에 대해 중국 국민은 환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지금 세계는 더 이상 서방열강이 식민지를 하는 시대가 아니다. 중국은 절대로 가치관이나 이데올로기의 '식민'을 받아드리지 않겠다"며 "관련 인사가 각성하고 객관적으로 중국을 바라보고 중국인민이 선택한 도로와 제도를 존중하면, 중국 측의 교류와 대화이 문은 여전히 열겠다"고 말했다. 이 두 명 의원은 애초 12월 9일부터 11일까지 베이징으로 방문 교류할 예정이었다. 하티스, 패터슨
중국의 전투기 기술 개발이 국제무대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젠-7에 이어 젠-10C의 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면서 중동과 아시아, 아프리카 국가에서 러브콜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 군사전문 잡지 ‘군사관찰’은 “중국 젠-10C 전투기가 뛰어난 비행성능과 무기장비로 국제 바이어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고 보도했다. 군사관찰은 “젠-10C 전투기의 현대 레이더 시스템을 배치 있고 최적화된 비행성능과 기동성, 최대 비행 높이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의 '벼락-15'인 초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포함한 무기체계와 호환이 가능하다”며 “이 미사일은 러시아의 R-77과 미국의 AIM-120 미사일보다 더 좋다”고 평했다. 러시아 위성통신은 “젠-10C는 중국의 3세대 초음속 전투기로 2017년 7월 첫 출시했다”고 보도했다. 위성통신은 이어 “이 전투기는 두바이 에어 전시회에서도 전시됐다”며 “2013년 이전에 중국은 젠-7 전투기를 대량 수출했다”고 전했다. 현재 젠-7 전투기는 전 세계 여러 나라 군사 훈련에 사용하고 있다. 이란은 젠-10C 전투기의 주요 잠재 구매 바이어다. 이란은 세계에서 비교적 큰 규모의 공군을 보유하고 있는데, 1980년 이후 젠-7은
한중일 정상이 중국 청두에서 만난다. 중국과는 한반도 사드배치 문제로, 일본과는 위안부와 강제징용자 배상 등의 문제로 정상간 만남이 한동안 없었다. 이에 따라 청두 한중일 정상회담이 주목되고 있다. 제8차 한중일 정상회의 24일에 쓰촨(四川)청두(成都)에서 열릴 예정이다. 회의는 중국 총리 리커창(李克强)가 회의를 주재하고,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과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가 참석할 예정이다. 중국 화춘잉 외교부 대변인은 “올해는 한중일 협력 20주년을 맞아 3국 협력이 결실을 본다”며 “10년간 3국이 협력 수준을 높이고 지역과 세계의 평화와 번영을 증진하는 데 초점을 맞출 예정”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23일 2박2일 일정으로 쓰촨을 방문해 실질적인 협력 방안과 동북아 국제정세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문 대통령은 방중 기간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아베 신조 총리와 각각 만날 가능성이 있다고 연합뉴스가 10일 보도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중일 양국과 조율 중"이라며 "양측 작업이 끝난 뒤 발표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