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조 5,663억 위안' 한화로 약 2,552조 6,350억 원에 달한다. 올 상반기 중국 예산수입 총액이다. 그런데 전년동기 대비 2.6%나 줄었다. 중국 재정 수입규모가 줄어 들면서 중앙 정부가 갈수록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중앙 정부가 허리띠를 졸라매면, 중국 지방정부는 더욱 긴축을 해야 한다. 안 그래도 지방정부 공무원들은 박봉에 갖은 허드렛 업무를 해야하는데, 허리띠를 더욱 졸라매게 생겼다. 지방 정부 불만도 더욱 고조될 것으로 우려된다. 2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1월부터 7월까지 전국 일반 공공예산 수입은 13조 5,663억 위안(약 2,552조 6,35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 감소했다. 전년도 동기 중소기업의 세금 유예 입금으로 인한 기저 효과 상승, 작년 중반 시행된 감세 정책의 영향 등을 제외하면, 실제로는 약 1.2% 증가한 것이다. 중앙과 지방으로 나누어 보면, 중앙 일반 공공예산 수입은 5조 9,745억 위안(약 1,124조 1,61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4% 감소했고, 지방 일반 공공예산 본지 수입은 7조 5,918억 위안(약 1,428조 4,730억 원)으로 0.6% 증가했다. 동방금성 수석 거시경
중국의 올 7월 부가가치세수가 전년동기 대비 7% 이상 늘었다. 부가가치는 산업과 서비스에서 부가가치가 늘면 붙는 세금이다. 중국의 생산활동이 7% 이상 성장했다는 의미다. 중국 최근 중국 경제에 대한 서방 매체와 분석가들의 침체 우려가 커지자, 이에 대응해 안정적 성장을 강조하는 데이터들을 잇따라 발표하고 있다. 중국 국가세무총국에서 발표한 부가가치세 세금계산서 데이터에 따르면, 7월 경제는 전반적으로 회복세를 이어갔다. 제조업 측면에서, 세수 데이터는 7월에 동부와 서부 지역의 판매 수입이 전년 동월 대비 각각 5% 증가했음을 보여주었다. 성별로 보면, 광둥, 상하이, 저장 등 동부 경제 대성은 빠른 성장세를 보였으며, 전년 동월 대비 각각 5.8%, 5.9%, 7.8% 증가하였다. 또한, 내몽골, 충칭 등 지역도 전년 동월 대비 각각 7.3%, 6.7%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7월에는 산업 기업의 판매 수입이 전년 동월 대비 6% 증가하여 2분기보다 1.7%p 상승하였다. 그 중에서, 주요 상품 가격 상승에 따라 채광업은 전년 동월 대비 9.7% 증가하여 2분기에서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전환되었고, 제조업은 전년 동월 대비 5.7% 증가하였으며, 그중
'4조 8,800억 위안' 한화로 910조 6,080억 원 가량이다. 올 상반기 중국 식자재 소비 규모다. 전년 동기 대비 8% 가까이 늘었다. 중국 사회가 경제력을 갖춘 뒤 먹거리 문화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식자재 시장 역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28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물류 및 구매 연합회는 올 상반기 식자재 시장 현황 보고서를 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의 식재료 소비 규모가 꾸준히 증가했으며, 식재료 공급망에서 산지 직거래 비율이 다소 높아졌고, 현지 시장의 활력이 두드러져 식재료 소비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떠올랐다. 중국 물류 및 구매 연합회 식재료 공급망 분회가 추산한 바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의 식재료 소비 규모는 4조 8,800억 위안(약 895조 7,76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86% 증가했다. 그중 소매 식재료 소비 규모는 3조 8,300억 위안(약 714조 7,546억 원), 외식 식재료 소비 규모는 1조 500억 위안(약 195조 9,510억 원)이었다. 또한, 식재료 소비가 사회 소비재 소매 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식재료 소비 규모는 전국 사회 소비재 소매 총액의
차이나유니콤의 올 상반기 영업 수익 1,973억 위안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9% 늘어난 수치다. 27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차이나유니콤은 올 상반기 영업수입 1,973억 위안(약 36조 7,747억원)을 달성, 전년 대비 2.9% 증가했다고 밝혔다. 주요 사업 수입은 1,757억 위안(약 32조 7,487억원)으로 전년 대비 2.7% 증가했으며, 총 이익은 168억 위안(약 3조 1,313억원)으로 전년 대비 10.2% 증가해 8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을 이뤄냈다. 차이나유니콤 올 상반기에 239억 위안(약 4조 4,547억원)의 고정자산 투자를 완료했다. 차이나유니콤에 따르면 네트워크 측면에서는 첫째, 모바일 인터넷의 커버리지를 지속적으로 향상시켰다. 상반기에 5G 중대역 기지국은 131만 개, 저대역 기지국은 78만 개에 달했고, 4G 중대역 기지국은 200만 개를 초과해 네트워크 능력이 꾸준히 강화됐다. 100개 이상의 도시에서 RedCap, 캐리어 집성 등의 5G-A 핵심 기술의 상용 배치를 완료했다. 둘째, 고속 광대역 인터넷 구축을 가속화했다. 기가비트 네트워크의 보급과 질적 향상을 추진했으며, 10GPON 포트의 비율이 79%에
중국의 올 4~7월 간 신에너지 자동차 판매량이 동기 대비 34.8%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중국 기업들의 기계 장비류 구매 금액도 전년 동기 대비 6.4% 늘었다. 이번 조사는 부가가치세 납부 현황을 통해 파악한 것으로 이미 물건의 인도 끝난 단계의 수치들이다. 26일 중국 관영매체들에 따르면 올 4월부터 7월까지 전국 기업의 기계 장비류 구매 금액이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했다. 특히 각 분야의 장비 교체 실행 계획이 점차 실현되면서 7월에는 전년 동기 대비 8.5% 증가하여 이전보다 가속화되었다. 산업 기업의 장비 교체와 관련해서는, 부가가치세 계산서 데이터에 따르면, 4월부터 7월까지 산업 기업의 기계 장비류 구매 금액이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하여 3월보다 6.4%p 상승했다. 이 중 제조업의 기계 장비류 구매 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하여 3월보다 6.8%p 상승했다. 정보 및 과학기술 산업의 장비 교체와 관련해서는, 데이터에 따르면, 4월부터 7월까지 정보전송 소프트웨어와 정보기술 서비스업, 과학 연구 및 기술 서비스업의 기계 장비류 구매 금액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7.5%와 20.4% 증가하여, 3월보다 각
무더위 속에 한국에서 연일 전기 사용량이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무더위는 중국도 마찬가지다. 일부 도시의 경우 섭씨 40도를 웃도는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자연히 전기 사용량도 연일 급증하고 있다. 23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 국가에너지국 위챗 공개를 통해 7월 중 중국 전기소비량이 9396억kWh로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했다. 일반 소비뿐 아니라, 산업 생산 각 분야에서도 크게 늘었다. 산업별 전력 소비량은 1차 산업이 142억kWh로 전년 대비 1.5% 증가했고, 2차 산업이 5,656억kWh를 소비해 3차 산업이 5.0% 증가했다. 1,871억kWh, 전년 대비 7.8% 증가, 도시 및 농촌 주민의 국내 전력 소비량은 1,727억kWh로 전년 대비 5.9% 늘었다. 올 1~7월 사회 전체 전력소비량도 7%대 증가세를 시현했다. 올 7개월간 사회 전체 전기소비량은 5조5971억kWh로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했으며, 이 중 지정규모 이상 산업용 발전량은 5조3239억kWh를 기록했다. 산업별 전력 소비량은 1차 산업이 764억kWh로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했고, 2차 산업이 3조 6,329억kWh를 소비해 3차
중국의 올 7월말 은행업 총 금융자산이 무려 423조 8천억 위안(약 8경 1,015조 8,32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한 수치다. 제조업 대출 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11.4% 늘었다. 첨단 기술 산업 대출 규모 증가가 전년 동기 대비 13.9% 늘면서 증가세를 견인했다. 23일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은 지난 21일 "고품질 발전 촉진" 와 관련한 브리핑을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이에 따르면 올 7월 말, 은행업 금융기관의 자산 총액은 423조 8천억 위안(약 8경 1,015조 8,32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했다. 보험업의 총자산은 33조 9천억 위안(약 6,345조 7,410억 원)으로, 연초 대비 7.7% 증가했다. 자산의 질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부실 대출 비율은 안정 속에서 감소하고 있다. 올해 들어 신용 위험은 전반적으로 통제 가능하며, 7월 말 은행업의 부실 대출 비율은 1.61%로, 전년 동기 대비 0.08%p낮아졌다. 부실 자산 처리 강도도 한층 강화되었으며, 올해 상반기 은행은 1조 4천억 위안(약 262조 660억 원)의 부실 자산을 처리했다. 리스크에
'601억 달러' 한화로 약 79조 8,428억 원가량의 돈이다. 중국이 올 상반기 아프리카에서 수입한 수입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14% 증가한 규모다. 중국은 이 같은 경제교류를 통해 아프리카 각국을 중국의 영향권내 묶어두고 있다. '2024년 중국-아프리카 협력 포럼 정상회의'를 앞두고 중국 당국은 기자회견을 열고 중국과 아프리카 간의 경제 교류 현황을 밝혔다. 이번 정상회의는 9월 4일부터 6일까지 베이징에서 열린다. 탕원홍 부장조리는 이에 대해 "중국은 아프리카로부터의 수입 확대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자국의 초대형 시장의 이점을 충분히 발휘해 아프리카를 포함한 각국 기업에게 넓은 시장 공간과 협력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탕 부장조리에 따르면 아프리카로부터의 농산물 수입 금액이 7년 연속 증가했다고 밝혔다. 아프리카 농산물은 중국 당국이 수년전 수입을 허용했다. 중국 당국에 따르면 지난 2023년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부터의 신선한 배 수입 규모가 전년 대비 1,733% 증가했고, 케냐로부터의 아보카도 수입 규모가 전년 대비 624% 증가했다. 중국과 아프리카 간의 협력은 지난 2021년, 중국-아프리카 협력 포럼 제8차 장관급
중국에서 지난 7월 중국 국내 자동차 판매에서 전기차 판매가 일반 내연차 판매 수치를 넘어섰다. 전기차 판매가 내연차 판매보다 많은 것은 역대 처음이다. 하지만 한국을 비롯해 글로벌 각지에서 중국 산 전기차들의 화재 사건이 잇따르고 있어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질지는 아직 미지수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자동차 시장이다. 중국 시장의 이 같은 변화는 향후 자동차 시장의 변화가 어떤 방향으로 이뤄지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자동차공업협회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7월 자동차 매매 동향 보고서를 냈다. 보고서에 따르면 7월 중국 내 승용차 판매량은 159만 5,000대에 달했다. 이 중 신에너지 승용차 판매량이 85만 3,000대, 기존의 내연차 판매량은 국내 판매 74만 2,000을 각각 기록했다. 신에너지, 즉 전기차의 판매가 내연차 판매보다 9만대 가량 더 많은 것이다. 중국이 전기차 생산과 기술 확보에 주력한 지난 20여 년의 성과가 본격적인 나타나기 시작하는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중국산 배터리의 안정성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산 배터리를 단 전기차들이 글로벌 각지에서 과열로 폭발하는 사고가 잇따르고 있기
'고정자산 투자 3.6%, 인프라 투자 4.9%, 제조업 투자 9.3%' 중국을 올 1~7월 간 국가 투자 현황이다. 중국 미래를 준비하는 투자 규모가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중국 당국은 최근 서구의 부정적인 경제 전망에 맞서, 경제 운용의 자신감을 보여주려 노력하고 있다. 21일 신화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당국이 자신있게 중국 전역의 1~7월 간 투자 현황을 공개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의 류아이화 대변인은 이와 관련 "앞으로 초장기 특별국채, 중앙 예산 내 투자, 지방 정부 특별채권, 그리고 2023년 정부 발행 국채 등의 프로젝트가 빠르게 추진되고 실물 작업량이 증가함에 따라 정부 투자의 유발 확대 효과가 지속적으로 발휘될 것"이라고 밝혔다. 류 대변인은 7월에 일부 지역의 고온 다습한 극단적인 날씨로 인해 고정자산 투자가 다소 둔화되었지만, 전반적으로 규모가 확대되고 구조가 최적화되는 발전 추세를 유지했다고 강조했다. 첫째, 투자 규모가 계속 확대되었다. 1~7월 동안 전국 고정자산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했으며, 그중 인프라 투자는 4.9%, 제조업 투자는 9.3% 증가하여 고정자산 투자 전체 성장률을 앞질렀다. 둘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