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만6000명’ 유엔난민기구(UNHCR)가 밝힌 지난 2024년 한 해 동안 해외 망명을 신청한 중국인 숫자다. 역대 최고치를 갱신했다. 시진핑 주석 집권이래 약 100만 명이상의 중국인들이 해외 망명을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망명허가를 얻으려는 중국인들의 노력도 갈수록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자유아시아방송 중국어서비스 등 중화권 매체들에 따르면 국제인권단체 세이프가드 디펜더(Safeguard Defender)는 최근 유엔난민고등판무관실이 발표한 통계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지난 2024년 망명을 신청한 중국 시민의 수가 17만6,239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UNHCR가 통계를 낸 이래 최대 숫자다. 팬데믹 이전인 지난 2019년 10만4,259명에서 169% 증가한 수치이다. 또 이는 2012년 시진핑(習近平) 집권 당시의 1만2362명에 비해 1426% 급증한 수치다. 해가 갈수록 많은 중국인들이 중국을 떠나 해외거주를 희망하고 있는 것이다. 세이프가드 디펜더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취임한 이후 점점 더 많은 중국인들이 외국에 망명을 신청하기 위해 극단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밝혔다. 단체에 따르면
‘134조 9,084억 위안’ 한로로 약 2경 6,761조 원 가량이다. 지난 2024년 GDP 총액이다. 중국 GDP 총액이 130조 위안은 돌파한 것은 역대 처음이다. 전년동기 대비 5% 안팎의 성장을 했다. 정확히 중국 당국의 목표치에 부합하는 숫자다. 이에 서방 언론 일각에서는 수치 조작, 분식회계의 의혹제기도 나온다. 그럼에도 세계 2대, 최대 경제체를 향해 나아가는 중국 규모에서 놀라운 성장이다. 한국 2024년 성장률을 2%에 그치고 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2024년 GDP 수치를 공했다. 발표에 따르면 2024년 국내총생산(GDP)은 잠정 계산 기준으로 134조 9,084억 위안에 달했다. 불변 가격으로 계산했을 때 전년 대비 5.0% 성장했다. 외부 압박이 증가하고 내부적인 어려움이 많아진 상황에서도 2024년 중국 경제 규모는 새로운 도약을 이루었다. 중국 GDP 총액은 세계에서 두 번째 큰 규모다. 제1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9조1,414억 위안(약 1,813조 3,795억 원)으로 전년 대비 3.5% 증가했다. 제2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49조 2,087억 위안(약 9,761조 5,298억 원)으로 5.3
‘10조 280억 위안’ 한화로 약 1,993조 7,669억 원 가량이다. 지난 2024년 중국의 전국 부동산 개발 투자액이다. 금액에서 전년보다 10% 이상 줄어든 수치다. 중국의 부동산 하강 국면이 좀처럼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최근 지난 2024년 전국 부동산 시장 기본 현황을 발표하였다.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전국 부동산 개발 투자액은 10조 280억 위안(약 1,993조 7,669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6% 감소하였다. 이 중 주택 투자는 7조 6,040억 위안(약 1,511조 8,272억 원)으로 10.5% 감소하였다. 부동산은 중국 국민들의 자산 80%를 차지한다. 부동산 가격 하락은 중국 국민 자산규모의 하락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적지 않은 중국 전문가들은 현재의 중국 소비 부진 역시 부동산 시장 침체에 따른 가계 자산 평가가치 하락 압박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는 상황이다. 2024년, 부동산 개발 기업의 주택 건설 면적은 73억 3,247만㎡로 전년 대비 12.7% 감소하였다. 이 중 주택 건설 면적은 51억 3,330만㎡로 13.1% 감소하였다.
한국과 중국은 가깝고도 먼 나라다. 이 거리 개념에는 일본도 포함되지만, 중국과 일본은 서로의 의식지형에서 대척점을 이루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는 정란(정치적 혼란)이 일어나 중국과 일본 내부에서도 초유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아예 현직 대통령이 구속되는 사태가 벌어지면서 중국, 일본은 물론 세계 각국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국의 사태를 바라보는 중국의 시각은 더욱 남다르다. 정치적 자유가 극도로 제한된 중국에서는 정치적 자유가 극도로 허락되고 있는 한국은 좀처럼 이해하기 어려운 나라다. 다른 어떤 반응보다 “결과가 궁금하다”는 반응이 가장 솔직하고 직접적인 중국 네티즌들의 내심인 듯 싶다. 결과? 한국인도 궁금하다. 19일 새벽 한국에서 구속된 윤석열 대통령이 피의자 사진 촬영 등 관련 절차를 마친 후, 한국 헌정사상 처음으로 현직 대통령 신분으로 구치소에 정식 수감된 대통령이 되었다. 중국 매체들은 한국 언론보도를 인용해 서울서부지방법원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승인하였다고 일제히 관련 소식을 중국에 전했다. 중국 매체들 보도 속에서는 윤석열 대통령은 서울구치소 피의자 대기실을 떠나 구치소 수용동으로 이감되었다. 피의자 신분으로서 윤 대통령은
중국 당국이 대대적인 인터넷 정화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 인민일보는 최근 중국 인터넷에서 매크로 작업 등을 통해 인터넷 트래픽을 조작하는 등의 작업을 벌여온 인터넷 댓글 조작조직들을 대거 검거했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사이버공간관리국은 인터넷 질서를 문란 시킨 혐의로 400개 이상의 웹사이트 플랫폼을 폐쇄조치했다. 또 주요 플랫폼에 법률 및 규정을 위반하는 482만 개의 정보를 정리하도록 촉구했다. 239만 개의 계정 및 가맹점 및 5만2,000개의 그룹을 관련 법규에 따라 조치했다. 중국 당국에 따르면 이들 조직들은 체계적으로 하위 통제 댓글을 조작하고, 팔로워를 늘리고, 투표를 독려하는 등 네트워크 생태계를 심각하게 위험에 빠뜨렸다. 중국 당국은 지난 2024년부터 이들 온라인 조직에 대한 단속의 강도를 지속적으로 높여 왔다. 또 이들 조직이 댓글 하수인들을 모집하는 과정 등의 문제를 진지하게 조사해 왔다. 조사결과, 이들 조직은 자체 셀프 서비스 주문 플랫폼을 구축하여 짧은 동영상, 라이브 방송, 소셜 네트워킹 및 기타 플랫폼을 제공하여 리뷰, 좋아요 및 인기를 얻었다. 중국 당국은 이들 플랫폼을 찾아 대대적인
중국의 지난 2024년 소비가 전년보다 3.5% 가량 성장했다. 2025년 소비 역시 안정적 성장을 할 것이라고 중국 당국이 자신했다. 이에 해외 주요 매체들은 지난해도 당국의 강력한 재정정책 덕이었다며 올 해 더욱 강력한 정책을 펼치지 않는 한 중국 소비가 늘기는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지난해 5% 안팍의 성장목표를 달성했다고 밝힌 상황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마가’(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정책에 맞서 중국이 어떤 정책을 펼칠지 주목되는 대목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은 최근 ‘중국 경제의 고품질 발전 성과" 시리즈 뉴스 브리핑’을 개최했다. 중국 당국은 중국 경제에 대한 글로벌 투자자들의 올바른 이해를 돕는다는 취지로 경제 관련 정규 브리핑을 지난해부터 진행해오고 있다. 이번 브리핑에서는 상무부 관련 책임자가 상무 업무가 고품질 발전을 지원하는 상황을 소개하였다. 리강 상무부 시장운영 및 소비촉진사 사장이 참석해 브리핑을 주도했다. 그는 “2025년을 전망할 때, 중국 경제는 기초가 안정적이고, 장점이 많으며, 유연성이 강하고, 잠재력이 크다”고 평가했다. 또 “장기적인 긍정적 발전을 뒷받침하는 조건
목표의 50점 이상이면 성공인 게다. 서청(徐淸)하며, 서생(徐生)하라! 천천히 맑아지며, 느리게 살아가라. 생이 짧다. 하지만 서둘지 마라. 서둘면 아무 것도 이룰 수 없다. 어려운 것을 피하고 쉬운 것을 하나씩 하나씩 해가다보면, 반드시 도달하게 된다. 설사 목적지는 아니어도 원했던 곳에 이르는 그 길 위 어딘가에 반드시 다다르게 된다. 그게 성공 아닌가? 묘한 게 화초다. 잎이 항상 빛을 향한다. 그런데 언제 움직였지? 그래서 화분을 돌려본다. 하루가 지나고 어느새 잎은 다시 햇볕을 향해 있다. 하루 종일 잎을 봐도, 잎이 언제 움직였는지 알 길이 없다. 바람은 잎을 흔들 순 있어도 햇볕처럼 잎의 방향을 바꾸지는 못한다. 하지만 어찌 흔들리지 않는 잎이 방향을 바꾸랴. 흔들림은 변(變)이요, 전전(輾轉)은 화(化)다. 변화의 묘미다. 순기자연(顺其自然)의 도리다. 변화는 필연이다. 원하든, 않든 일어난다. 사람, 자연 구성물 모두는 변의 요소다. 스스로 원해서 변하기도 하지만, 옆의 변에 연쇄작용으로 변을 초래 당하기도 한다. 결국 모두가 변과 화를 한다. 의(意)로 변(變)을 추구하지만 뜻대로 되는 변의 결과, 화는 뜻대로 되지 않기 일쑤다. 변(變)
중국에도 하이힐이 있었다? 중국에도 하이힐이 있었다. 청나라 만주족 이야기다. 청나라 만주족은 ‘화분저혜’(花盆底鞋)라는 중국판 하이힐이 있었다. 힐이 뒤꿈치에 있는 게 아니라 발바닥 중앙에 있는 게 다를 뿐이다. 중국 청나라 역사극에도 자주 등장을 한다. 발 중앙에 높다란 기둥이 있는 신발이다. 사실 형태만 보면 하이힐이라기보다 요즘 여성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바닥 높은 운동화에 가깝다. 다만 기둥이 좁아 걷기 불편했을 뿐이다. 중국에서는 화분저혜를 ‘말발굽신’ 혹은 ‘꽃장식신’이라고도 한다. 말발굽처럼 신발 아래 받침을 댔다는 의미이고, 그 기둥부터 신발 자체를 꽃으로 장식한 경우가 많아서 나온 별칭이다. 불편한 이 신발은 왜 유행했을까? 먼저 화분저혜가 언제부터 유행했는지를 살펴야 한다. 청나라 복식은 지금도 남아 있는 청나라 복식 관련 문서들이나 귀족 여성들의 초상화를 통해 이뤄진다. 화분저혜는 아쉽게도 문서에서 그 유행시기를 파악할 수는 없다고 한다. 그럼 어쩔 수 없이 초상화를 통해 알아볼 수밖에 없다. 화분저혜는 청나라 초기만 해도 이런 초상화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청 초기 황후의 초상화 속에는 화분저혜가 나오지 않는다. 즉 청나라 초기만해도 이
배달라이더의 권리는 누가 챙길까? 배달라이더는 독특한 직업이다. 마치 개인사업자 같지만, 업무상 종속돼 일한다는 점에서 노동자, 아니 노동자보다 더 열악한 상태에서 일할 수 있다. 어찌보면 배달 라이더는 노동자에게 성과급을 대거 부여하는 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일을 많이 할수록 수익도 커지는 게 장점이다. 반면, 노동 복지차원에서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는 게 치명적 단점이다. 최근 한국에서는 배달 라이더 조직들이 만들어져, 계약 조건과 노동환경 개선 규제 등을 위한 단체 활동을 벌이고 있다. 한국에서 이런 단체활동은 대단히 자연스러운 일이다. 배달 라이더 조직의 활동이 어떤 법에 의한 규제를 받고 보호를 받는지는 여전히 논란의 소지가 있지만, 조직 활동이 자유로운 한국에서는 일단 배달 라이더 개개인의 자구권을 강화하는 좋은 수단이 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중국은 어떨까? 노동자의 나라, 노동당이 독재하는 나라가 중국이지만 그 사정은 한국과 사뭇 다르다. 그런 중국에서 배달 라이더 처우 문제는 한국보다 심각한 새로운 사회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중국 매체들이 배달 라이더 권익 보호 문제를 정식으로 제기하고 나섰다. 중국 네티즌들도 “서민의 삶을 돌봐
‘1,286만6000 대’ 지난 2024년 중국에서 팔린 전기차 총수다. 전년보다 35% 이상 늘어난 수치다. 중국의 전기차 시장이 성숙기에 들어서 발전이 정체되고 있다는 우려를 불식시키는 규모다. 지난해 하반기 중국 당국의 ‘이구환신’(구형을 신형으로 교체하는 것을 지원하는 보조금 지급) 정책 덕에 구매가 늘어난 것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자동차공업협회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2024년 중국 자동차 산업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4년 신에너지차의 생산 및 판매량은 각각 1,288.8만 대와 1,286.6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4.4%와 35.5% 증가했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는 “중국 자동차 생산 및 판매 총량이 16년 연속 세계 1위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4년 국내 소비자 신뢰가 여전히 부족하고 국제 무역 보호주의의 상황이 더욱 심화되며 업계 경쟁이 더욱 치열 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일련의 정책들이 지속적으로 효과를 발휘하고 각 지역의 보조금 정책이 효과적으로 시행되었으며 기업들의 판촉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러한 다각적인 조치로 인해 자동차 시장의 소비 활력을 촉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