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의 시대, 연구개발(R&D)는 미래를 위한 투자다. 더 나은 기술, 더 강한 시장에 대한 지배력을 갖는 유일한 방법이다. R&D에 아낌없이 투자할 수 있는 나라가, 기업이 바로 시장 주도력을 갖게 된다. 그럼 글로벌 사회에서 가장 R&D 투자 규모가 큰 나라는 어디일까? 1위는 역시 미국이었다. 그 뒤를 중국이 바로 쫓고 있다. 중국의 굴기는 우연이 아니었던 것이다. 유럽연합(EU)이 전 세계 2500개 주요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2년 글로벌 연구개발(R&D) 투자 보고서'를 최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글로벌 2500개 기업의 R&D 규모는 총 1조 2499억 유로(약 1783조 1323억 원)으로 조사됐다. 점유율은 미국이 42.1%로 1위를 차지했고 중국(17.8%), 유럽연합(17.5%)이 뒤를 이었다. 중국 기업 가운데 R&D 투자가 가장 많은 곳은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 화웨이(HUAWEI, 华为)로 209억 유로(약 29조 8222억 원)을 기록했다. R&D 투자액 중국 기업 Top 5는 다음과 같았다. 1위 화웨이 209억 유로 (29조 8222억 원) 2위 텐센트홀딩
중국 토종 브랜드 휴대폰의 시장 점유율이 가파른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올해 초 화웨이가 글로벌 최강자인 애플을 누르고 중국 스마트폰 시장의 1위로 자리잡았다. 이런 중국 브랜드의 강세의 이유는 무엇일까?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가성비였다. 중국 네티즌들도 일제히 공감하며 격려하고 나섰다. 중국 정보통신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데이터를 보면 지난해 중국 브랜드 휴대폰의 국내 시장 누적 출하량은 2억 3100만 대로 전체 휴대폰 출하량의 79.9%를 차지했다. 중국 휴대폰 시장의 약 80%를 장악한 셈이다. 중국 브랜드는 글로벌 휴대폰 시장에서도 출하량 상위 5위 가운데 3개를 차지했다. 글로벌 마켓의 절반가량을 차지한 것이다. 이는 중국이 자체 기술로 휴대폰을 생산한 지 20여년 만에 거둔 비약적인 성과다. 그렇다면 중국 네티즌들이 뽑은 중국산 휴대폰의 장단점은 무엇일까? 첫째 장점은 중국의 휴대폰 시장 상황에 최적화된 제품이라는 점이다. 중국내 5G 서비스가 빠르게 보급되고 국민 소비 능력이 향상되면서 중국산 휴대폰은 시장에서 비교우위를 점하게 되었고 현지에 적합한 제품을 내놓았다는 분석이다. 둘째 장점은 뛰어난 가성비다. 중국산 휴대폰은 중국내에서 생산, 보급
'1위 한국' 이동통신(모바일) 속도 이야기다. 글로벌 공신력을 갖춘 조사 기구의 발표다. 중국 등 아시아 다른 국가들은 한국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시장조사기관 오픈시그널(OpenSignal)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아시아·태평양지역 주요국 가운데 모바일 통신 속도가 가장 빠른 국가로 조사됐다. 한국의 모바일 다운로드 속도는 140.2Mbps에 달했다. 이는 조사 대상국 평균의 거의 배에 달하는 속도다. 속도에서 2위를 차지한 싱가포르는 71.1Mbps에 그쳐 한국의 절반 수준이었다. 인도는 51.5Mbps이고 중국 대륙은 50.5Mbps 수준이었다. 일본은 그 보다 못해 46.7Mbps의 속도로 아시아 8위를 차지했다. 보고서는 인도가 과거보다 3배 빠른 속도로 5G 도입 측면에서 놀라운 성장을 이루었다고 평가했다. 유럽의 경우 노르웨이 (102.3Mbps), 덴마크 (98.8Mbps), 네덜란드 (81.7Mbps), 핀란드 (71.6Mbps) 등 북유럽 국가들의 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오픈시그널이 2023년 10월 1일부터 12월 29일까지 아시아·태평양지역 25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5G 실질 평균 다운로드 속도 역시 한국
중국 베이징대가 겨울방학 기간에 캠퍼스를 외부에 개방한다. 캠퍼스 문을 활짝 열어 많은 청소년들이 베이징대에서 심층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베이징 대학 안에는 아름다운 호수를 가진 공원이 있다. 캠퍼스 곳곳에 중국 건국 및 문화대혁명과 맞물려 중요한 의미를 지닌 사적지들이 존재한다. 베이징대 캠퍼스를 걸으면 마치 중국 청나라 말기의 민국시대로 돌아간 듯한 착각도 든다. 고풍스런 각 단과대 캠퍼스 곳곳에서는 봉건 중국의 운명을 개혁하려는 젊은 지식인들의 목소리가 들리는 듯 하다. 중국인은 물론이고, 중국을 찾는 적지 않은 이들이 베이징대를 하나의 관광코스로 삼아 관람하기를 즐겨한다. 물론 학생증이 없다면 경비원에 의해 캠퍼스로 들어가는 것이 통제된다. 하지만 이번 겨울방학 기간에 캠퍼스가 외부에 공개돼 중국 네티즌들 역시 크게 환영하고 있다. 학교측에 따르면 베이징대 방문을 위해서는 온라인 개별 신청 및 단체 예약이 가능하다. 단체의 경우 중·고생과 교육행정기관 등을 대상으로 예약을 받고 있으며 200명 이하 구성, 3일 전 예약이 필수사항이다. 베이징대 캠퍼스 투어는 총 6개 코스가 마련돼 매일 9시, 10시 30분, 14시, 15
중국의 올해 1월 주택 판매량이 급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 부동산 경기 침체 추세가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악화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 경제에는 빨간불이 들어온 셈이어서 주목된다. 중국 가계 자산의 80%는 부동산 자산이다. 부동산 자산 가치가 떨어지면, 가계는 자연히 소비를 보수적으로 할 수밖에 없다. 2023년 중국 경제를 이만큼이라고 이끌어온 3대 마차, 즉 수출, 소비, 투자 등이 모두 흔들리는 모양새다. 중국 부동산 시장조사기관인 CRIC 보고서에 따르면 100대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1월 주택 판매량은 2350억 6000만 위안(약 43조 4300억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34.2%, 전월 대비 47.9% 감소했다. 무엇보다 감소폭이 시장에 충격을 주고 있다. 실제 1월 주택판매량은 시장 전망치인 10%보다 3~4배 이상 더 떨어진 것이다. CRIC는 1월 주택 판매량 급락은 현재 침체냐 회복이냐의 갈림길에 서 있는 중국 경제와 주택 구매자들의 약해진 심리를 반영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최근 부동산 규제 당국이 개발업체들의 자금 조달 요구를 반영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지만 시장 신뢰도와 기대감이 회복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예상
중국 동부지역 허브공항이자 상하이의 관문인 푸둥공항에서 온라인 차량호출 서비스가 전면 금지된다. 온라인 차량호출 서비스는 모바일 앱을 통해 택시 등 차량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승객 입장에서는 택시를 이용하기 위해 공항 택시 승차장에서 줄을 설 필요도 없고, 차량 운행자 입장에서는 손님을 태우기 위해 장시간을 기다릴 필요가 없으며 원하는 시간대와 장소로의 운행을 선택할 수도 있다. 지난달 29일 상하이시 도로운수관리국은 '푸둥공항 온라인 차량호출 서비스 운영에 대한 통지'(이하 통지)를 발표했다. 통지에 따르면 푸둥공항의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위해, 특히 춘제(春節, 설) 연휴 기간 푸둥공항에서 온라인 차량호출 서비스가 엄격히 금지된다. 이번 통지 발표 이후 온라인 차량호출 플랫폼 업체인 디디추싱(滴滴出行), 가오더띠투(高德地圖), 메이투완(美團) 등은 더 이상 푸둥공항에서는 예약을 받지 않고 있다. 통지와 관련 없는 상하이 훙차오(虹橋)공항, 훙차오역, 상하이역에서는 예약이 가능하다. 온라인 차량호출 서비스 기사들은 이번 통지에 대해 우려스럽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온라인 차량호출이 금지된 틈을 불법 택시가 푸둥공항에서 더 활개칠 수 있다는 것이다.
자동차 판매량은 제조업체에서 출하 후 판매업체를 거쳐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된 총량을 말한다. 판매량 관련 통계를 통해 자동차 제조업체는 시장의 수요와 판매 현황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어 더욱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세울 수 있다. 지난 2023년 중국 자동차 판매량이 6% 이상 성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자동차 시장 성장세가 그 위세를 소폭 줄었지만, 성장 추세는 여전히 강하게 유지하는 모양새다. 중국 자동차 시장은 이미 세계 최대 규모다. 이 시장을 기반으로 중국 자동차 브랜들이 성장해 이제는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이미 전기차 부문에서는 가성비로 세계 소비자들의 수요를 이끌어내고 있다. 이에 지난해 중국은 일본을 제치고 세계 최대 자동차 수출국으로 자리잡았다. 중국 가이스자동차연구원(盖世汽车研究院)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내 승용차 판매량은 매월 꾸준한 추세로 증가했다. 1, 7월에만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하였고, 나머지 월에는 모두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해 전년 대비 6.2% 증가한 누적 판매량 2110만 대를 기록했다. 그 가운데 신에너지차(전기차, 하이브리드차, 수소차)는 724만 대로 전년 대비 판매량이 38.4% 증가했다. 지난해
지난 2021년 중국 푸단대학(複旦大學)에서 발생한 살인사건의 판결이 중국 온라인에서 화제가 됐다. 당시 사건은 중국의 최상급으로 꼽히는 대학의 연구진이 저지른 사건이어서 주목을 받았다. 무엇보다 연구에 대한 압박이 어느 정도인지가 중국 네티즌들의 관심을 끌었다. 1일 중국 현지 매체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이날 오전 상하이시 제2중급인민법원(上海市第二中级人民法院)은 피고인 장원화(姜文華)에게 살인죄로 사형 및 집행유예 2년 판결을 내리며 정치적 권리를 종신 박탈하고 감형은 제한한다고 선고했다. 장원화는 푸단대 수리과학부의 초빙 청년 연구진으로 재직하던 중 업무가 잘 풀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분노에 가득차 왕(王)모 푸단대 당위원회 서기를 살해했다. 장 씨는 2021년 6월 7일 미리 흉기를 준비해 푸단대로 들어갔고 칼로 왕모 서기를 수십 차례 찔러 그 자리에서 사망케 했다. 이후 장 씨는 다른 사람에게 신고하라고 알렸고 현장에 출동한 공안에 체포됐다. 상하이시 제2중급인민법원은 피고인 장 씨에게 고의살인죄가 성립된다고 보았다. 사전에 범죄를 모의하였으며 잔인하고 무도한 벙법으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였으므로 법에 의거하여 엄중히 처벌하기로 했지만, 재발성 우울장애
'디지털 리터러시'는 국가의 잠재성장 동력인 인재육성에 가장 중요한 포인트다. 정보통신(IT) 사회를 이끌기 위해서는 노동력의 질이 문제인데, 무엇보다 디지털 친화적(IT 기기와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느냐가 그 질을 좌우하는 관건이기 때문이다. 중국 당국이 주목하는 것은 바로 이 부분이다. 교육과정에 디지털 인재 육성을 위한 과정을 넣고 수시로 점검하고 있다. 글로벌 사회에서 중국의 디지털 교육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매번 체크하는 것이다. 지난달 31일 중국 상하이에서 막을 내린 '2024 글로벌 디지털 교육 대회(2024世界数字教育大会)'에서 세계 각국의 디지털 교육 발전 순위가 발표됐다.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미국 2위 핀란드 3위 한국 4위 싱가포르 5위 프랑스 6위 독일 7위 영국 8위 호주 9위 중국 10위 에스토니아 글로벌 디지털 교육 발전 지수는 중국교육과학연구원(中国教育科学研究院)이 실증 데이터 기반 패러다임을 혁신적으로 적용해 다양한 국가의 디지털 교육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종합 지수이다. 올해 순위에서 중국은 전년도 24위에서 9계단 오른 15위를 차지했다. 중국교육과학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중국은 국가
열차 안에서 떼를 쓰며 우는 어린 아이, 아무리 예쁘게 봐주려고 해도 아이의 태도는 주변 승객에게는 소음일 수밖에 없다. 보호자가 당황하는 게 당연하고 주변 승객들의 못마땅한 눈초리가 쏠리는 것도 당연하다. 공공장소에서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말썽꾸러기 아이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 최근 중국의 한 누리꾼이 그와 관련해 SNS에 올린 글이 화제가 됐다. 아이처럼 소리 지르고, 고함을 쳐서 아이에게 자신의 행동이 얼마나 남에게 피해를 주는지 '눈에는 눈, 이에는 이'의 방법으로 교육시켰다는 사례를 전한 것이다. 상황은 이렇다. 글을 올린 해당 누리꾼은 열차 객실 맞은편에 앉은 어린 아이가 계속 시끄럽게 소란을 피우자 아이의 부모에게 말려달라고 말했지만 아무런 소용이 없었다.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해당 누리꾼은 그야말로 ‘난리굿'을 피웠다. 해당 누리꾼이 큰 소리로 노래를 부르고 비명을 질러대고 웃다가 울다가 하는 등의 행동을 이어가자 아이와 부모는 소스라치게 놀라며 객실을 옮겼다고 한다. 이번 사례에 대해 중국 네티즌의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찬성하는 측은 "속이 다 시원하다"며 현장에 있었다면 글을 업로드한 누리꾼을 적극 지지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반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