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와 아들만을 위한 화장실이 따로 있다.’ 모유 수유를 위한 공간은 있어도 좀 뜬구름 없어 보인다. 그런데 중국에서 이 화장실을 설치하자마자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 상하이에서 한 쇼핑몰이 '남성 부자 화장실'을 도입해 여론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일부 네티즌들은 이를 '부영실(父婴室)'이라고 부르며, 더 많은 장소에서 확대되기를 바랐다. 많은 공공장소의 모유수유실이나 모자(母子) 공간에는 '남성 출입 금지'라는 표시가 있으며, 설령 그런 표기가 없어도 남성들은 대개 쉽게 들어가기를 주저한다. 이는 방 안에 다른 엄마가 수유 중이거나, 다른 여자아이가 기저귀를 갈고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엄마가 혼자 모유수유실에서 아이를 돌보고 아이는 울고, 엄마는 분주한데, 아빠는 밖에서 어찌할 바를 몰라 무력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사실 난처한 건 아빠만이 아니다. 할아버지나 외할아버지 등 다른 남성 가족이 유아를 데리고 외출할 때도 마찬가지로 불편을 겪는다. 모유수유실에 들어가기 어렵고, 남성 화장실에는 기저귀 교환대 등 유아를 돌볼 수 있는 시설이 없기 때문이다. 어느 정도로는, 이것이 엄마를 '묶어두는' 역할을 하여, 외출할 때마다 엄마가
올 1~3분기 중국의 첨단 기술 산업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11%이상 급성장했다. 같은 기간 산업기업 판매 수익이 3%대, 장비 제조업이 4% 성장세를 시현했다. 중국 산업 성장을 첨단 기술 산업이 이끌고 있는 것이다.양식의 맨 위 15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세무총국은 올 1~3분기 부가세 신고사황을 토대로 이 같은 내용의 각 산업별 매출 현황을 발표했다. 발표 자료에 따르면 올 1~3분기 동안 전국 산업 기업의 판매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했다. 그중 장비 제조업은 전년 동기 대비 5.3% 늘었으며, 특히 컴퓨터 통신 장비 제조업과 계측기기 제조업 등이 각각 13.5%와 10.5% 증가하였다. 9월에는 장비 제조업 판매 수입이 전년 동기 대비 4.2% 늘었다. 이는 전월인 8월보다 성장률이 1.5%포인트 빨라진 것이다. 또 올 1~3분기 동안 대규모 설비 갱신 정책의 영향을 받아 전국 기업의 기계 설비 구매 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하였다. 그중 9월에는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하여 8월보다 성장률이 2.4%포인트 빨라졌다. 국가의 장려 정책, 지방의 지원 및 기업의 가격 인하 등의 요인으로 인해 텔레비전 등 가정용 시청
산업혁명의 발원지 영국에서 석탄 발전의 마지막 상징이던 노팅엄셔 소어 강변의 래트클리프 화력석탄발전소가 폐쇄됐다. 소식이 중국에 전해지자, 중 네티즌들은 “바람직한 현상”이라며 “녹색 산업이 대세”라는 반응이다. 사실 산업혁명의 시대는 석탄과 증기 내연기관의 시대였다. 영국 런던의 하늘을 가린 스모그는 글로벌 산업화의 상징이었다. 하지만 그 결과 지구촌은 환경오염과 기후변화 위기라는 거대하고 치명적인 위험에 직면했다. 그만큼 상징적 의미가 큰 것이 영국의 석탄 발전소다. 중국에서는 여전히 석탄 발전이 주를 이루고 있다. 중국의 석탄 발전소의 폐쇄가 글로벌 산업혁명의 마지막을 고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추정이다. 중국 매체들이 영국의 석탄 발전소 폐쇄에 관심을 표하는 게 이해가 가는 대목이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지난 9월 30일 자정이 지나고 1분 후, 영국 석탄 발전의 마지막 보루였던 노팅엄셔 소어 강변의 래트클리프 화력발전소가 문을 닫았다. 중국 매체들은 “한 시대가 막을 내렸다”고 평했다. 산업혁명의 발상지이자 세계 최초로 석탄을 사용해 전기를 생산한 나라는 공식적으로 석탄 발전소와 작별을 고했다.몇 시간 후, 발전소의 12층 높이의 8개
중국의 지난 국경절 상하이 푸동, 홍차오 2개 공항 이용자 편수만 1만 6000여편에 이르는 등 상하이를 중심으로 한 장삼각 지대 유동인구 수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중국 여행 수요가 이미 코로나 이전 회복은 물론, 그 이상으로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하이공항그룹에 따르면, 올 국경 연휴(10월 1일부터 10월 7일까지) 동안 상하이 푸동공항과 홍차오공항에서는 총 1만 6000여 편의 항공편이 이착륙을 했다. 푸동공항이 1만 1000여 편, 홍차오공항 5000여 편이 이착륙했다., 일평균 2309편에 달하는 것으로 전년동기 대비 8.1% 늘어난 수치다. 출입항 여객 수는 262만 3000 명에 달했다. 푸동공항이 162만 9000 명, 홍차오공항은 99만 4000 명이었다. 일평균 37만 5000 명으로 전년동기 대비 17.4% 증가한 수치다. 국경 연휴가 시작된 지난 1일에 가장 많은 여객들이 이용했다. 이날 이용자 수는 총 38만 2000 명에 달했다. 상하이공항의 일평균 여객 수와 하루 여객 수 모두 국경 연휴 역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저장성 공항 그룹에 따르면, 10월 1일부터 7일까지 저장성 내의 운송 공항 이용편수는 총 1만 230
한 때 중국 공안에게는 통과세(?)조로 담배값을 주는 관례 아닌 관례가 있었다. 중국 공안의 월급이 적었을 때 이야기다. 중국 사회가 발전하고, 경제적 부가 쌓이면서 지금은 금전을 요구하는 공안을 찾기 힘들다. 하지만 그렇다고 모든 중국 공안이 다 좋아진 것은 아니다. '나쁜 버릇 개 못준다'고 여전한 이들도 적지 않다. 최근 중국 인터넷에서는 이런 공안이 화제다. 최근 한 중국 네티즌이 게시한 글에 따르면, 본인이 해외여행을 위해 쿤밍 장수이 국제공항 출국 심사대에서 절차를 밟던 중, 한 공안이 국경절 연휴 기간 동안 출국 시 사전 신고가 필요하다고 알렸다고 한다. 교섭 끝에 그 공안은 본인에게 100위안(약 18,000원)을 요구하며 이를 "상사에게 줄 담뱃값"이라며 받아갔고, 이후 '융통성 있게' 출국을 허가했다고 한다. 현재 글을 통해 해당 공안은 조사를 받고, 징계를 받았다. 쿤밍 출입국 국경검사소는 해당 사건이 외지 공안이 공항에서 작업 중 일어난 일이라고 답변했다. 후난성 샹시 자치주 공안국은 공식적으로 "사건 당사자인 천 모 공안은 해당 주에서 쿤밍 장수이 공항으로 파견되어 업무를 수행하던 중이었다"며 "'신고' 요구와 금품 수수는 천 모의 개
중국의 올 1~8월 스마트폰 생산량만 7억 5000만 대를 훌쩍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스마트폰을 비롯한 중국의 IT제조업 부가가치는 전년동기 대비 13%이상 두자릿수 증가세를 시현했다. 미국의 강력한 제재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IT굴기'가 지속되고 있어 주목된다. 11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공신부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데이터를 공개했다.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올 1월부터 8월까지 중국 IT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13.1%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산업 성장폭보다 7.3%p, 일반 첨단기술 제조업 성장율보다는 4.2%p 높은 것이다. 8월 한 달 동안 규모 이상의 전자 정보 제조업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11.3% 증가하였다. 주요 제품을 보면, 휴대폰 생산량은 10억 1,500만 대로 전년 대비 8.8% 증가했다. 스마트폰 생산량은 7억 5,100만 대로 전년 대비 10.4% 늘었다. 미니 컴퓨터 장비의 생산량은 2억 1,700만 대로 전년 대비 2.9% 증가하였고, 집적회로 생산량은 2,845억 개로 전년 대비 26.6% 증가하였다. 올 1월부터 8월까지 규모 이상의 전자 정보 제조업의 수출 인도액은 전년
부모 병 치료 때 받은 고가의 약품들이 부모가 돌아가시면서 처치 곤란한 물건이 됐다. 고가 의약품이라 그냥 버리기 너무 아까웠다. 고심 끝에 남은 의약품을 당근마켓에 올려 팔았다. 뭐가 문제일까? 중국에서 실제 이 같은 일이 벌어졌다. 당연히 남은 약품을 팔던 이는 법에 저촉돼 조사를 받았다. 더욱 문제는 중국의 사례 경우, 마약성 의약품이었다는 점이다. 결국 해당 인물은 중국 검찰에 의해 마약죄로 기소됐다. 중국에서 마약죄는 웬만하면 사형이다. 물론 이번 사건의 경우 벌금에 그쳤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랴오화(가명)씨는 이전에 환우들이 모인 약물 양도 그룹에서 부모가 돌아가신 후 남겨진 약품 사진을 올리고, 그 약품을 양도하고 싶다고 밝혔다.진통 처방약인 염산 트라마돌 서방정과 아세트아미노펜 옥시코돈을 260위안(약 49,000 원)에 환우 약물 양도 그룹에서 재판매한 이유로, 광저우에 사는 여성 랴오화는 산둥성 빈저우시 양신현 경찰에 의해 타 지역에서 체포되었다고 했다. 그녀가 혐의를 받은 죄명은 마약 밀매죄라고 했다.2023년 8월 31일, 양신현 법원은 이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리고, 랴오화를 마약 밀매죄로 유죄 판결하여 구류 2개월에 집행유예
‘미주지역 40, 중국 20’ 지난 8월 반도체시장 매출 전년동기 대비 증가폭이다. 미주지역이 40% 이상 늘었고, 중국이 20% 가까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글로벌 총 판매액은 531억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20% 이상 늘었다. 미주와 중국 등 두 지역의 매출 증가폭이 사실상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성장을 좌우하고 있는 것이다. 아쉽게도 미국이 미 중심의 반도체 생태계에서 중국을 배제하려 하면서 두 시장을 동시에 진출하는 일이 갈수록 개별 기업에게는 부담스러운 일이 되고 있다. 10일 중국 매체들은 최근 미국 반도체 산업 협회(SIA)가 발표한 이 같은 내용의 보고서에 관심을 높였다. 먼저 미 협회 보고서에 따르면 올 2024년 8월 전 세계 반도체 판매액이 531억 달러에 달했다. 이는 전년 대비 20.6%, 전월 대비로는 3.5% 증가한 수치다. 현재 글로벌 반도체 월간 판매액은 5개월 연속 증가세를 시현하고 있다. 전년 동월 대비 판매액 증가율은 2022년 4월 이후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특히 미주 지역은 전년 대비 43.9% 증가했고 중국이 19.2% 늘었다. 이밖에 아시아·태평양 및 기타 모든 지역(17.1%), 일본(2.0%)의 판매액이
반려동물도 함께 비행기 좌석에 앉아서 갈 수 있다면? 인기일까? 현재 대부분 비행기는 반려동물의 좌석 착석은 금지 돼 있다. 우리에 넣어 화물칸에 따로 가는 방식으로 비행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반려동물도 주인과 함께 좌석에 앉아 갈수 있다면 어떨까? 중국에서 실제 서비스가 나왔다. 중 네티즌 반응은 "동물과 함께라면 안 탄다"는 반응과 함께 "환영한다"는 반응이 공존했다. 사천항공과 상펑항공이 청두 출발 항공편에서 '반려동물 동반 탑승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한다. 상펑항공은 승객 1인당 최대 1마리의 반려동물을 기내로 반입할 수 있으며, 소형 항공기는 항공편당 최대 2마리, 대형 항공기는 항공편당 최대 4마리까지 허용된다고 밝혔다. 반려동물 동반 시 1구간당 1,399위안(약 26만 원)의 요금이 부과되며, 반려동물은 전 구간 동안 반려동물 전용 케이지에 넣어져야 한다고 했다. 한편, 사천항공은 반려동물 전세기를 도입하여, 10명의 전문 인력과 2명의 반려동물 의료진을 배치해 반려동물의 안전한 운송을 보장한다고 한다. 반려동물이 기내에 들어갈 수 있게 된 것은 매우 신선한 변화이다. 과거에는 승객이 반려동물을 동반할 경우 화물칸에 넣어 탑승해야
중국 국경절 황금연휴가 마무리 된 가운데 이 기간 중국 전역에서 생활서비스 소비가 전년동기 대비 무려 40% 이상 훌쩍 늘었다. 중국 당국이 소비 진작을 위한 각종 부양정책을 편 덕이다. 다만 중국의 소비 추세가 증가세를 지속적으로 이어갈 지 여부는 더 지켜봐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국경절 연휴 동안 각 지역의 관광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올랐고, 문화 오락 및 여가 수요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10월 6일에 발표된 메이투안의 '10월 1일' 황금주 소비 데이터에 따르면, 전국 생활 서비스의 매장 방문 소비가 전년 동기 대비 41.2% 증가하였다. 상하이, 베이징, 청두, 선전, 충칭의 소비 규모가 전국 상위 5위에 들었다고 하였다. 메이투안의 데이터에 의하면, 국경절 연휴 첫 5일 동안 식당에서의 외식 소비 일평균 값이 2023년 국경절 연휴 대비 33.4% 증가하였고, 시간대별로 보면 야간 시간대 소비가 2023년 연휴 대비 44.8% 증가하였다. 식음료 관련 소비에서 관광객들의 소비는 2023년 연휴 대비 75% 이상 증가하였으며, 야시장 검색은 2023년 연휴 대비 170.3% 증가했다. 야시장은 올해 연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