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조 7천억 위안’ 한화로 약 2,807조 9,940억 원 가량이다. 올 1~4월 중국의 고정자산 투자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4% 성장한 수치다. 흔히 경제 성장의 3축으로 투자, 소비, 수출을 꼽는다. 중국의 소비와 수출은 미국의 강력한 관세 포문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번 투자 역시 중국 당국의 성장 목표에는 살짝 밑도는 수준이지만,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장세를 구가하고 있어 주목된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을 4월 경제지표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1~4월 중국의 전국 고정자산 투자(농가 제외)는 14조 7천억 위안에 달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 늘어난 수치다. 다만 증가폭은 이전보다 0.2%p 줄어들었다. 중국 당국은 국유 지분 투자 증가율은 6.2%에 달해 전체 투자 증가를 견인했으며, 민간 투자는 0.2% 증가했다고 밝혔다. 중국 매체들은 “투자, 소비, 수출이 경제 성장의 세 축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 중 투자가 가장 중요하다”며 “제조업, 부동산, 인프라 분야 투자가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산업 투자 증가율은 11.7%에 달했으며,
중국 베이징시의 올 1~4월 규모 이상 공업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6.6% 늘었다. 이는 중국 당국의 성장 목표인 5% 안팎을 훨씬 웃도는 수치다. 베이징시 당국이 중국 중앙정부의 지침에 따라 내수 진작에 적극 나선 때문이라고 중국 매체들은 분석했다. 전국적인 ‘이구환신’(구형을 신형으로 교체하는 것을 지원하는 재정정책) 정책으로 중국 제조업의 활기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중국 당국의 정책 목표인데, 베이징 시에서는 성공적인 결과를 낳고 있다는 것이다. 베이징완바오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실제 올 1~4월 주요 산업 중에서는 컴퓨터, 통신 및 기타 전자장비 제조업 부가가치가 22.6% 증가했다. 같은 기간 자동차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14.9% 늘었다. 동시에 산업 수출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으며, 규모 이상 공업의 수출 납품액은 4.3% 증가했다. 그중 자동차 및 의약품 제조업은 각각 42.8%, 23.3% 늘었다. 자동차와 바이오는 21세기 가장 주목받는 산업분야들이다. 경제 성장을 견인하는 주요 동력 중 하나인 투자는 그 동력을 충분히 축적하고 있다. 1~4월 동안 전 시의 고정자산 투자(농가 제외)는 전년 동기 대비 21.2% 증가했다. 그
베이징 시의 올 1~4월 고정자산 투자가 무려 21% 이상 급증했다. 미국의 관세전 속에 내수 시장을 새롭게 개척하려는 게 중국 당국의 복안이다. 이번 베이징시의 고정자산 투자 역시 이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신화통신은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베이징시 통계국과 국가통계국 베이징조사총대는 최근 공동으로 올해 1~4월 베이징시의 경제 성적표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1~4월 동안, 베이징시 규모 이상 공업의 부가가치는 비교 가능한 가격으로 계산했을 때 전년 동기 대비 6.6% 늘었다. 특히 고정자산 투자(농가 제외)는 전년 동기 대비 21.2% 증가했다. 중국 매체들은 베이징시의 자동차 생산 공정을 소개하며 베이징시 경제가 새로운 출구를 찾아가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순이(顺义)에 위치한 리샹(理想) 자동차 베이징 녹색 지능형 제조 기지에서 올해 새롭게 출시된 MEGA Home 특별판 차량이 첫 출고를 마쳤다. 이 신차는 곧 전국으로 배송되어 인도될 예정이다. 이 스마트 자동차 공장에서 자체 개발한 지능형 생산관리 시스템은 ‘슈퍼 브레인’처럼 기능하며, 생산·공급·판매 전 과정의 협업을 원활하게 연결해 빠른 생산 증
‘9조 3,581억 위안’ 한화로 약 1,809조 4,822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 1~4월 일반공공예산 지출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4.6% 가량 늘었다. 중국은 막대한 재정 지출을 하고 있다. 중국 당국이 경기활성화를 위한 지출은 늘리면서 다른 지출에는 최대한 지출을 억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재정부는 최근 1~4월 재정 수지 운영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1~4월 전국 일반공공예산 지출은 9조 3,581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4.6% 증가했다. 전국 일반공공예산 수입은 8조 616억 위안(약 1,558조 7,909억 원)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4월 세수 수입은 1.9% 증가해 월간 증가율이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전환했다. 자료에 따르면 1~4월 전국 일반공공예산 수입은 8조 616억 위안(약 1,558조 7,90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4% 감소했으며, 감소폭은 1분기보다 0.7%포인트 축소되었다. 중앙과 지방별로 보면, 4월 중앙 수입은 1.6% 증가해 올해 들어 처음으로 플러스 성장을 실현했으며, 지방 수입은 2.2% 증가해 1분기와 동일한 증가율을 유지했다.
‘7,721억 킬로와트시’ 중국의 올 4월 사회 전력 사용량이다. 전년동기 대비 5% 가량 늘어난 수치다. 중국의 사회 발전과 함께 사회 전기 소비량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사실 현대 사회는 전기가 ‘핵심 에너지’다. 전기없으면 거의 모든 사회 도시 기능이 순간 정지된다. 학생들의 스마트폰 역시 멈춘다. 그만큼 사회 발전에는 안전적 전기 공급이 필수불가결한 사안이 된 것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에너지국은 이 같은 내용의 올 4월 전기 소비 현황을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올 4월 전 사회 전력 사용량은 7,721억 킬로와트시로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했다. 산업별 전력 사용량을 보면, 1차 산업은 110억 킬로와트시로 13.8% 증가했고, 2차 산업은 5,285억 킬로와트시로 3.0% 증가했으며, 3차 산업은 1,390억 킬로와트시로 9.0% 증가했다. 도시와 농촌 주민의 생활용 전력 사용량은 936억 킬로와트시로 7.0% 증가했다. 전기를 쓰면서 어떤 전기를 쓸 것인가는 글로벌 각국이 직면한 가장 곤혹스런 문제다. 일단 기후 협약을 통해 석탄에 대한 소비는 최대한 억제를 받고 있다. 원자력이 현존하는 가장 적합
친구를 구하려다 수능 시험을 보지 못한 중국 학생이 결국 다시 시헙을 보게 됐다고 중국 매체들이 전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산둥의 한 수험생이 발작을 일으킨 동급생을 구하려다 봄철 수능을 놓쳤다"는 사건이 여론의 뜨거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번개뉴스 보도에 따르면, 5월 10일 아침, 산둥도시서비스직업학원 2022학번 학생인 장자오펑은 동급생과 함께 온라인 차량을 이용해 시험장으로 향했고, 산둥성 직업교육 수능에 응시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차량에 탑승한 지 약 1분 만에 동행한 친구가 급성 심근경색을 일으켜 쇼크 상태로 장자오펑에게 쓰러졌고, 발작과 심정지 등의 증상도 함께 나타났다. 위급한 순간, 장자오펑은 학교 전공 수업에서 배운 응급처치 지식을 활용해 심폐소생술과 인공호흡 등 응급조치를 실시했다. 그의 의로운 행동은 친구의 생명을 구했지만, 그로 인해 시험장에 지각해 그날 오전 국어 시험에 응시하지 못했다. 많은 누리꾼들은 장자오펑의 품행이 고결하다며, 사람의 생명을 구한 일이 시험 한 번의 의미를 훨씬 뛰어넘는다고 평가했다. 장자오펑 본인도 “시험은 한 번 못 보면 다음 기회가 있지만, 친구의 생명은 단 한 번뿐이기에 놓치면 다시는 되돌릴
‘4,167억 위안’ 한화로 약 80조 2,855억 원 가량이다. 올 4월 중국의 전국 외식업 매출 현황이다. 전년동기 보다 5% 이상 성장한 수치다. 중국 당국의 성장 목표에 부합하는 것이다. 다만 중국 사회의 경제적 부 성장과 함께 급속히 성장했던 중국 요식 산업이 이제는 본격적인 성숙기에 접어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4월 중국 요식업 현황을 발표했다.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5년 4월 전국 외식업 매출은 4,167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했다. 이 중 일정 규모 이상 단위의 외식업 매출은 1,230억 위안(약 23조 6,98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했다. 중국의 문화는 본래 여러명이 같이 식사를 즐기는 방식이다. 글로벌 어느 나라보다 잔치가 많은 것도 이 같은 문화 때문이다. 개별 식사보다 요리 중심이 중국 요리의 특징이다. 유럽도 그렇지만 한국만해도 1인이 자신의 식사를 하면서 반찬은 나눠 먹는 방식이다. 하지만 중국은 여러 요리를 식탁에 있는 이들이 같이 나누는 방식이다. 이 같은 식사 방식은 중국에서 식사를 아주 독특한 행사로 만
‘674억 건’ 올 1~4월 간 중국 택배 물량이다. 전년동기 대비 무려 20% 이상 급증한 수치다. 물류가 는다는 것은 그만큼 재화가 빠르게 유통되고 있다는 의미다. 재화의 유통이 바로 부가가치의 생산이다. 경제의 활력이다. 신화 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우정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택배 물류 통계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1월부터 4월까지 중국 우정업계의 누적 발송 물량은 674억 건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18.3% 증가했다. 이 중 택배 물량은 누적 614억 5,000만 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9% 증가했다. 업무 규모 측면에서는, 올해 들어 택배 기업들이 산업용품, 채소·과일, 꽃, 의약품, 자동차 부품 등 분야에 깊이 진출하며 현대 농업과 첨단 제조업을 적극 지원했고, 소비자의 다양화된 발송 수요를 충족시켜 사업 규모의 안정적인 확장을 이끌었다고 밝혔다. 중국의 택배는 중국의 인터넷 플랫폼 사업을 글로벌 사회로 연결해주는 핵심 고리다. 중국은 현재 ‘세계의 공장’에서 ‘세계의 중국판 쿠팡’으로 거듭나고 있다. 글로벌 소비시장의 유통까지 장악하는 수준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각국의 소비재 제조와 유통이 중국에
“2025년 5월 2일에 사랑스러운 딸의 첫돌을 맞아 잔치를 연다”, “새집으로 이사하여 조촐한 연회를 연다”…… 노동절 연휴 전후로 서부 지역의 한 농촌에서는 마을 주민들이 여러 잔치 초대장을 받았다. 이른바 ‘잔치 남용’의 절정기에는, 어미 돼지가 새끼를 낳아도 잔치를 열고, 집을 수리해도 잔치를 열며, 차를 사거나 병원에서 퇴원해도 잔치를 열었고, 심지어 무당 굿을 해도 ‘액막이 술자리’라는 명목으로 잔치를 열었다. 도무지 이유를 찾지 못하면, “친지들의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리며, 조촐한 술자리를 마련했다”고 둘러댔다. ‘신화시점’ 기자의 취재에 따르면, 일부 지역 농촌에서는 잔치 남용이 반복적으로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성행하고 있었고, 많은 주민들이 인사치레 때문에 경제적으로 큰 부담을 떠안고 있었다. 서부의 한 군에 사는 주민은 “하루에 11건의 잔치에 참석해야 해서 다 가지도 못하고 일부는 위챗 송금으로 대신했다”며 “그날만 해도 4천 위안(약 77만 7,000 원) 넘는 축의금을 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음력 12월부터 올해 정월 대보름까지 거의 매일 잔치에 초대받았고, 지금까지 총 3만 위안(약 582만 7,500 원) 정도를
중국에서 과일 등 냉동 식품 물류가 늘면서 전기 냉동차 판매도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 1분기 중국의 전기 냉동차 판매가 2969대에 달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무려 71% 이상 급증한 수치다. 중국의 사회 생활상이 갈수록 선진국의 그 것과 유사해지고 있는 것이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1분기 신에너지 냉장차 판매량은 2,969대로 전년 동기 대비 71.03% 증가했고, 신에너지 냉장차의 시장 침투율은 27%로, 전년보다 10%포인트 상승했다. 중국 매체들은 이 같은 결과는 국가 차원에서 신규 구입 신에너지 도시 냉장물류 차량에 대한 보조금 지원을 계속하면서 신에너지 냉장차의 판매가 고속 성장을 이어간 것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중국 사회 생활이 선진화하면서 과일, 소고기, 신선 해산물 등 식자재 냉장물류 수요가 급증한 게 주된 이유라고 강조했다. 중국 매체들은 “중국의 국경 간 물류 통로가 지속적으로 최적화되면서 과일, 소고기, 신선 해산물 등 제품을 중심으로 한 국경 간 냉장물류 운송도 활발해졌다”라며 “항공 직항, ‘화물열차+냉장물류’ 등 운송 모델을 통해 해외의 우수한 농산물이 점점 더 많이 중국 소비자의 식탁으로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