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일(一), 첫 이야기

만물의 기준, 쌓는 수와 나열하는 수의 차이

 

 

무엇이 세계를 만들었을까? 무엇이 차이를 만들었을까?

한자는 만물을 담은 글자다.

또 만물에 인간의 생각을 투영한 글자다. 상형자를 기본으로 발달한 한자야말로, 플라톤이 만든 이데아(본질)와 티마이오소(이데아의 모조) 관계 설정에 딱 어울린다.

한자는 이데아요, 티마이오소다. 둘 사이의 관계인 미메시스(모방)다.

한자는 사물의 모방에서 시작해

거꾸로 인간의 생각을 사물에 투영해내고 있다.

 

 

그 모든 것의 시작은 무엇일까? 원천이요, 근원이다.

본래 점이지만, 한자는 좀 입체적이다.

점들의 모임, 연결된 하나, 바로 선이다. 수렴선이요, 기준이다.

한자의 일(一)이다. 일은 통계의 수렴선이다. 기준은 사물을 대표하는 것이며, 수렴되는 변화들의 집합이다.

그래서 변하지 않는다.

공자의 ‘일이관지’(一以貫之)의 일(一)이다. 만물을 관통하는 하나의 선, 그것은 위치도, 변화의 모양도 다를 수 있지만 모두가 하나의 선일뿐이다.

5000년 전의 갑골문에서 오늘날까지 일(一)자는 단 한 번도 변하지 않았다.

 

 

기준, 아니 수렴선이기 때문이다. 만물의 원천이기 때문이다.

일이 수렴선이요, 기준인 것은 인간의 한계 탓이다.

수렴선은 산포된 점들이 자연스럽게 만드는 것이요,

그것을 기준으로 산포된 점들의 차이를 구분하는 건 인간이다.

때론 수렴선의 변화가 중요하고,

수렴선을 기준으로 아래, 위의 거리가 중요하지만

우린 많은 경우,

그저 기준의 위만 보고

그저 기준의 아래만 본다.

그저 시작만 보고

그저 그 끝만 본다.

수렴선은 그저

가장 많은 산포된 점들의 모임, 특성일 뿐인데

그것을 모범이라 하고

다른 것을 배척하는 건 인간일 뿐이다.

 

 

한자 일(一)은 가장 단순한 글자지만, 이렇게 깊고 넓은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

산포된 점들의 수렴선이기 때문이다. 때론 세워 놓고 보고, 때론 눕혀 놓고도 볼 필요가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