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틱톡 중국내 라이벌 홍콩상장,콰이쇼우 하루 이용자만 3억 200만명

 

미국인들도 즐겨사용하는 중국의 짧은동영상 SNS인 틱톡이, 트럼프행정부의 중국견제로 인해 타격을 받는 동안, 중국 동영상 SNS시장을 양분해왔던 콰이쇼우(快手)가 내년 신년 초에 홍콩시장에 상장할 것으로 알려졌다

 

콰이쇼우(快手)는 중국어로 ' 빠른 손'  이란 뜻이다.

 

콰이쇼우는 지난 달에 홍콩 증시당국에 기업공개(IPO) 의향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자금모집규모는 외부로 알려지지 않았다.

 

콰이쇼우의 기업가치는 지난 2019년 말 약 300억 달러 수준으로 평가받은 바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콰이쇼우의 홍콩증시 상장이 주목받는 가장 큰 이유는, 중국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를 확보한 SNS 위챗과 영화 드라마 인터넷사이트를 운영중인 텐센트(텅쉰)와의 합작설 때문이다.

 

즉, 경쟁사인 틱톡이 미국등 글로벌 시장에로의 진입에 전념하면서 중국판 틱톡인 더우인의 중국내 회원확보에 소홀한 틈을 타서, 텐센트와의 합작을 내세워 막대한 자금을 홍콩증시 상장을 통해 확보해 중국내 1위 짤방 사이트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때문이다.

 

현재 중국의 동영상 서비스공유 어플시장은 연간 1000억 위안 (약 17조3000억원)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콰이쇼우는 틱톡의 중국판 인 더우인과 함께 이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콰이쇼우의 앱을 사용하는 회원수는 올해 코로나의 영향으로 크게 늘어, 하루 평균 이용자가 3억 200만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콰이쇼우측은 이와같은 천문학적인 회원을 기반으로 전자상거래 , 온라인 게임, 온라인 지식 공유 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멀티플랫폼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11월에 상장 신청서를 제출한 콰이쇼우는, 내년 2021년에 홍콩증시에 상장되는 제 1호 기업이 되는 것을 목표로 상장심사기간을 줄이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통상 증시상장 적격성을 심사하는 기간이 최소 2달이었던 홍콩증시의 사정으로 보아, 콰이쇼우의 목표가 달성될지는 여전히 미지수로 남아있다.

 

2021년 홍콩증시에 상장을 목표로 한고 있는 중국의 동종기업으로는, 바이트댄스가 보유한 틱톡의 중국판인 더우인 과 함께, 미국 나스닥의 상장기업인 비리비리((Bilibili)등이 거론되고 있다.


사회

더보기
중 허베이 한 도시 "빨강, 파랑, 검정색 광고 금지" 조치 논란...중 네티즌, "황당하다"
‘간판에서 빨강, 파랑, 검정색 금지’ 중국 허베이성 산허시의 『산허시 도시계획건설관리 가이드라인』이 중국 사회 논란이 되고 있다. 이 가이드 라인은 “국제 및 국내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빨강, 파랑 바탕색이나 글씨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실제 중국 매체에 따르면 이 지역 일부 상점의 간판이 빨간색에서 초록색으로 바뀌었고, 일부 간판은 아예 철거됐다고 전했다. 한 상인은 “장사가 눈에 띄게 영향을 받았다”고 하소연했다. 중국 인민일보은 이에 “멀쩡히 걸려 있던 간판이 대체 누구에게 피해를 줬다는 말인가? 억지로 색상을 바꾸라고 하는 조치는 어떤 논리로 설명할 수 있을까?”라고 반문하고 있다. 신문에 따르면 실제 이 같은 간판 색상 변경을 강요한 것은 상인의 영업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지출을 떠안도록 했다. 신문에서 한 상인은 “새 간판 제작에 거의 2,000위안(약 38만 8,820 원)이 들었는데, 이는 반달치 임대료에 해당한다”고 밝혔으며, 이 비용을 누가 책임질 것이냐는 의문도 제기됐다. 간판은 오랜 기간 사용되며 고객의 기억에 남는 상징이 되었고, 고객 유치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간판이 법규를 위반하지 않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