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음식낭비금지 캠페인, 49년만의 대홍수 코로나 여파 식량차질 대비

중국의 식량자급자족률은 세계식량농업기구 자료에 따르면 약 99% 달한다.

 

즉 완전한 식량자급을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로 한국은 약 23% 로 세계최저수준이고, 일본은 그나마 27%로 우리보다 높다. ( 본보 2020년 7월 24일 시진핑, 99%인 중국식량자급도 더 높히자. 한국은 23% 세계 최하위권. 참조) 

 

그런데 거의 100% 식량자급을 이루고 있는 중국에서 시진핑주석이 지난 13일 직접 나서서, '음식 낭비현상을 너무 심해 버려지는 음식을 보니 가슴이 아프다' 라고 훈시가 있고 나서, CCTV가 기다렸다는 듯이 각종 특집을 내보내면서 식량절약, 더 정확히 말하자면 음식 낭비 금지 캠페인이 전국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형국이다.

 

 

전 중국에서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이 음식절약 캠페인은 막연하지 않고 아주 구체적인다.

 

바로 “N-1” 캠페인이다.  즉 사람수 보다 한사람분을 덜 시키자는 캠페인이다.

 

10 명이 모여서 식사를 할 때  9명 분을,  다섯 사람이 가면 네 사람 분을 시켜서 먹고 모자라면 더 시키자는 켐페인이다. 구체적이고 합리적인 캠페인 인 듯하다.

 

 

한국도 요즘엔 일 인분씩 음식을 시키고 일 인분씩 따로 나오기 때문에, 일 인분을 적게 시키는게 어려운 시스템이지만, 중국은 이와 같은 절약방침의 실행이 비교적 용이한 식습관을 갖고 있다.

 

핌의실얼벼리 적이 나와서 한국에서는 불가능하고 외국에서는 더욱 비현실적이지만, 중국처럼 원탁에 둘러앉아 큰 그릇에 담겨 나오는 요리를  돌려가면서 덜어먹는 식습관하에서는 가능한 일이다.

 

코로나19가 재확산되던 지난 여름부터는 중국TV에서, 공용젓가락 공용 숫가락 사용하자는 캠페인이 시작됐다.

 

즉 자기 젓가락으로 여러 사람이 함께 먹는 그릇에서 음식을 집으면 감염의 우려가 있으니 공용젓가락으로 집어 먹을 많큼을 자기 접시에 덜어 먹자는 캠페인이다.

 

이 캠페인은 지금도 열심히 진행돼, 많은 식당과 손님들이 호응하고 있는 추세이다.

 

중국은 식량 자급국가지이긴 하지만, 미국과의 분쟁에서 비상사태를 우려하는 것도 있지만, 사실 아프리카나 서남아시아의 빈국들은 이번 코로나19를 맞아 그렇지 않아도 부족한 식량결핍사태를 우려하는 것이 사실이다.

 

중국내부에서 나오는 소식에 따르면, 자국의  올해 추수상황도 대비할 것이지만, 혹시 중국의 상황이 정상으로 돌아가면, 중국이 식량을 절약해 이들 식량부족 후진국들을 지원하려는 계획을 세운 것이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시주석은 지난번 아프리카연합기구 국가의 정상들과의 영상통화에서, 백신을 비롯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아프리카 국가에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공표한 바 있기 때문이다.

 

 

사실 중국은 체면을 중시해서 이기도 하지만, 부족함이 없는 대륙의 풍성함을 보이고 사각의 탁자에서 마주보는 게 아니라 둥근 탁자에 둘러 앉아 식사하는 위엔쮸어( 圆桌)가 오랜 풍습이기도 하다.

 

중국의 인구 14억명이 한 사람당 10%만 줄인다 하면,  계산상으로 1억 4천 명분의 식량이 절약된다는 산식이 나오는 만큼, 낭비와 절약의 차이가 매우 큰 것이다.

 

과연 어마 어마한 인구의 힘이 가공할 만하다.

 

중국의 북부에서는 좀 있으면 추수가 시작되고, 남부에서는 2-3모작을 하기 때문에 가을철 코로나19 의 엄청난 재 확산만 없다면 식량 자급엔 큰 문제가 없을 듯도 하다.

 

그렇지만 올 가을과 겨울의 코로나19 확산가능성은 누구도 예상할 수 없는 것이기에, 미리 대비하자는 중국의 캠페인은 수긍이 가는 일이 이기도 하다.

 

중국의 식량자급에 문제가 없다면, 중국은 예년처럼 저속득층의 구휼에 쓰거나, 이번에 약속한 것처럼 저개발국등 후진국의 기아를 더 돕게 될 것이니, 식량절약은 건강을 위해서도 자선을 위해서도 좋은 일임에 틀림없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