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시진핑, 99%인 중국식량자급도 더 높히자. 한국은 23% 세계 최하위권.

 

중국 시진핑주석이 코로나19 판데믹으로 인한 2020년 말 세계식량부족사태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할 것을 지시해 그 배경이 주목되고 있다.


중국공산당 기관지인 치우스왕 (求是网)은, 시진핑주석이 지난 22일 지린성 리슈현의 옥수수표준화연구시설 (梨树县 国家百万亩绿色食品原料(玉米)标准化生产基地核心示范区) 을 순시하는 자리에서, 올해 코로나사태로 인한 세계적인 식량생산부족으로 최고 8천 3백만명에서 최고 1억 3천 2백만명이 기아사태를 맞을 수 있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시주석이 방문한 이 곳은 100만 무 ( 약 6억6천만 평방미터) 면적의 대평원에서 100% 완전기계화농업을 갖추고 주로 옥수수를 생산하는 시범지구이다.

 

 

그는 식량의 부족문제는 날씨에 의지하는 요행을 바랄 수도 없고, 일단 식량부족사태가 한 번 발생하면 그 여파로 인한 참상은 수년동안 지속될 수 있다며 사전 대책을 확실히 세울 것을 당부했다.

 

치우스왕은, 백성이 있어야 나라가 있고, 식량이 있어야 백성의 생명이 유지된다 (民为国基,谷为民命) 는 고사를 인용하며, 특히 14억 인구의 세계 최대의 인구를 가진 중국에게 식량자급은 가장 중요한 문제임을 특별히 강조했다.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2018년 현재 식량 그 중에서 곡물류의 자급률은 약 98,9 % 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최대의 곡창지대는, 이번 시진핑주석이 방문한 동북부 지린성(吉林省)의 동북평원의 평야지대를 포함해 더 북쪽의 헤이롱지앙성( 黑龙江省)의 삼강평원, 일명 베이다황 (北大荒)이다.

 

중국은 1942년 국공내전중,  허난성의 대기근으로 약 300만명이 아사(饿死)하는 불행을 겪기도 했다.

 

이후 1949년 신중국을 건국한 중국공산당은, 신중국 첫사업으로 50년대부터, 그동안 버려졌던 이 지역들을 대대적으로 개간해 곡물자급률을 지속적으로 상승시켜왔다.

 

 

 

농촌경제연구원의 2018년에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식량 (곡물)의 자급률은 약 23% 로 사막국가인 사우디보다 낮은 세계 최저수준으로 알려졌고, 일본은 27%으로 알려졌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