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WP "남아시아, 인구 20억에도 의료 취약…미확인 감염자 우려도"

 

코로나19의  세계적인 확산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중국·유럽에 이어 남아시아가 새 유행 거점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현재 남아시아엔 전 세계 인구의 1/4이 거주 중이다.


20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는 남아시아가 새 코로나19 유행 거점이 될 수 있다는 내용의 기사를 보도했다.  지역 인구밀집도, 보건의료 서비스 상황, 전문가 우려 등을 고려한 전망이다.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아프가니스탄, 스리랑카, 네팔, 부탄, 몰디브를 비롯한 남아시아 8개 국가에서 지금까지 발생한 코로나19 확진자는 약 600명이다. 확진자는 주로 파키스탄과 인도에서 등장했다.

인도 정부 측은 아직 코로나19 확산 양상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인도에서 진행된 검사 수가 적어 해당 발표가 거짓일 수 있다고 보는 상황이다.


지금까지 인도에선 약 1만2400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진행했다. 이는 주민 100만명 중 9명꼴로 검사를 한 셈이다. 같은 기준을 적용했을 때 미국의 경우 약 114명, 한국은 6000명 수준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인도와 주변국이 치명적이 유행 곡선의 시작점에 있을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워싱턴포스트는 남아시아의 보건의료 서비스가 취약하고, 자금 지원, 서비스 접근성 등이 낮은 점을 특히 우려했다. OECD 자료 기준 병상 수가 1000명당 0.5개에 수준이기 때문이다. 같은 기준으로 이탈리아는 3.1개, 한국은 12개다.

 

이정연/연합뉴스/해동주말 제휴사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