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문재인 대통령, 북한 개별 관광 적극 검토

개별 방문이지만 국제 제재 위반 논란도 일어

 문재인 대통령이 교착상태에 빠진 남북관계에 개별 관광으로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문 대통령과 통일부는 북한 개별 관광이 국제 제재 위반이 아니라는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은 개별 관광도 한국 정부가 독자적으로 추진하지 말고 워킹그룹에서 논의하자는 입장이고, 한국 내에서도 북한 관광에 대해 비판도 일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한국 정부는 15일 남북 이산가족 상봉과 관련 의견을 발표했다. 이산가족 상봉의 방북 문제는 문재인 대통령의 새해 대북 구상의 최우선 항목으로 정하고, 한국은 대북 관광 개방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통일부 김은한 부대변인은 "한국 관광객 신변안전 보장이 된다면 한국 관광객의 방북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새해 남북 협력의 공간을 독자적으로 넓히자는 구상을 내놓았다. 정부는 이산가족 상봉과 관련 국민을 위한 자유여행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통일부는 지난해 12월 31일 제3차 남북 이산가족 교류 촉진 기본 계획(2020~2022)을 발표하고 제3국을 통한 민간 이산가족 교류를 적극 지원했다. 친족의 생존 여부 확인, 대면 상봉, 친족 통신을 위한 경비 보조 방법이 포함될 예정이다.

 

 한국 정부는 개인 방북에 따른 관광비용 지급이 안보리 결의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보고 있지만 개별 방문과 형식, 규모 등에서 국제 제재 위반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여론도 있다.

 

 연합뉴스는 “외교부 이도훈 한반도 평화교섭 본부장이 관광객의 북한 관광 재개와 관련해 미국 국무부 부장관 겸 대북 특별대표인 베겐과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교환하고 이해를 구하겠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