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틱톡, 폭풍 질주...왓츠앱 이어 앱 다운로드 세계 2위

가입제한 없어 젊은 층에 폭발적 인기

 틱톡으로 알려진 도우인의 성장이 거침이 없다. 2016년 출시하자마자 전 세계 젊은이들을 사로잡으면서 왓츠앱을 위협하고 있다. 틱톡은 보안문제 등으로 미군 등에서 사용이 제한되고 있지만, 짧은 동영상을 선호하는 젊은층의 지지를 받으며 성장 가도를 달리고 있다.

 

 16일 데이터 통계 회사인 센서타워(Sensor Tower)가 발표한 2019년 앱 다운로드 차트에 따르면, 중국 도우인(국제판 틱톡)은 7억여회 다운로드되면서 차트 2위에 올랐다. 1위를 차지하는 앱은 다운로드 8억5000만회인 왓츠앱(WhatsAPP)이었다.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라이크, 샤프트, 유튜브, 스냅샷, 넷플릭스가 그 뒤를 이었다. UC브라우저도 넷플릭스와 별 차이 없이 11위에 올랐다.

 

 도우인은 중국에서 2017년 서비스를 시작한 소셜 미디어 앱으로, 15초~60초 이내의 짧은 동영상을 공유하는 플랫폼이다. 동영상 제작 장벽을 낮춰 유튜브와 페이스북을 초월하며, 중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선풍적 인기를 구사하고 있다. 도우인이 2016년 9월 출시하자마자 젊은 측으로 인기를 끌었다. 도우인이 성공한 것은 다른 짧은 동영상 앱의 시장이 일찍 열린 데다 가입 제한이 거의 없다는 편리함이다.

 

 차트 1위에 오른 왓츠앱은 문자와 그림, 오디오, 동영상 등의 정보를 받아 보낼 수 있는 스마트폰용 앱으로 중국의 위챗과 한국의 카톡과 유사한 형태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